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목차
1)실내 디자인의 의미
가)디자인의 의미
나) 디자인의 성립
다) 디자인조건
2) 실내디자인의 목표
3)실내디자인의 분류
4)실내디자인의 영역
5)실내 디자이너
6)실내디자인 종합
나. 디자인의 요소
다. 공간
라. 실내공간의 구성기법
마. 실내 디자인의 역사적 요소
바. 실내디자인 재료의 종류와 특성
사. 실내공간에서 색채 표현
아. 조명계획의 역할 및 특성
자. 실내공간의 가구계획
차. 한국전통공간과 실내공간
카. 실내디자인과 환경
타. 인간행태와 공간구성
참고문헌
가)디자인의 의미
나) 디자인의 성립
다) 디자인조건
2) 실내디자인의 목표
3)실내디자인의 분류
4)실내디자인의 영역
5)실내 디자이너
6)실내디자인 종합
나. 디자인의 요소
다. 공간
라. 실내공간의 구성기법
마. 실내 디자인의 역사적 요소
바. 실내디자인 재료의 종류와 특성
사. 실내공간에서 색채 표현
아. 조명계획의 역할 및 특성
자. 실내공간의 가구계획
차. 한국전통공간과 실내공간
카. 실내디자인과 환경
타. 인간행태와 공간구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화이며, 모듈러 적용에 따르는 융통성 있는 환경개선이 질적 변화이다.
사) 토털 디자인
설계 조직에 있어 다수의 관계적 전문가에 의해 협동체 또는 경영조직을 취해 설계기획에서부터 세부설계에 이르기까지 전부분에 걸쳐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아) 대학캠퍼스 다목적 홀의 특성 고찰-다목적 홀
경제의 발전, 고도성장에 의해 우리는 어느 정도 물질적인 풍요를 얻었고, 일부계층만이 대사이던 문화적 요구가 널리 각 계층과 세대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요구의 확산은 대중매체에 의한 것이며 사람과 사람의 접촉에 의한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어 왔다. 사람들이 한 곳에 모여서 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행할 장소로서 집회행사시설의 의미는 더욱더 커졌다고 할 수 있으며, 대학생활의 여러 서클활동과 문화적 행사, 지역주민의 다양한 교유의 장으로 대학교 내의 문화예술의 장소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모든 홀 공간은 그 자체가 다목적이라 하겠으나 여기서는 어떤 공간에 대해서 무엇인가 부가, 또는 제거 되어서, 당초의 공간에 대응하고 있던 공용종목과는 다른 종류의 공연에 적합한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구조 및 장치를 구비한 홀을 다목적 홀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행사나 집회는 고정적인 형식을 갖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그 장소에 대응한 연출에 의해 여러 가지로 변화되며 다이내믹하고 자유로운 연출과 활동이 용이하게 전개되는 공간장치로서 상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문제는 다목적 성을 어떻게 본질적으로 표착하여 질적 수준을 유지시키면서 기술적인 전개로 대처하느냐 하는 점이다.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다목적 홀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능상의 모순을 해결해야 하는데 그것은 홀 공간에 여러 가지 가변성을 도입함으로써 기술적인 해결을 하는 방법과, 사용상의 중점을 명확히 하고 그 계열이 항목을 묶음으로써 자주적인 문화, 예술 활동과 연결해서 운영의 자주성을 강조해 나가는 방법이 있다. 대학생의 교육, 여가활동, 창작, 집회 및 여러 문화 행사의 장으로서 폭넓은 사용과 참여를 위하여 홀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복합적 시설물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홀 공간으로서 다목적 홀의 발전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다목적 홀의 성격을 고찰할 필요가 있는데, 가변성과 복합성이 바로 그것이다. 다목적 홀이란 여러 종류의 사용목적에 부합하도록 계획되어져야 하나 그 각 공연 종목마다의 홀 공간에 대한 요구는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음으로 갖가지 모순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는 홀 공간이 가변성을 높여 갖가지 공연 종목에 대해 보다 부드럽게 대응하는 방향과, 사용목적을 명확하고도 그에 적합한 홀 공간을 구성해야 하며 새로운 홀 공간으로서의 다목적 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과제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 하나는 다목적이 되기 위해서 기능사의 모순을 해결해야 할 것이고, 두 번째로는 다목적이라고 하나, 사용상의 중점을 명확히 하고 그 계열의 공연 종목을 묶는다는 배려이다. 전자에 대해서는 홀 공간에 갖가지 가변성을 도입함으로써 기술적인 해결이 요구되고 후자에 대해서는 대학생들과 또한 지역사회에서의 자주적인 예술 활동과 연결해서 운영의 자주성을 강조해 가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공간의 가변성은 홀 공간을 다목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며 홀의 이요형태에 따른 연출가의 연출의도와 일체가 되어서 기능해야 하며, 무대나 객석의 관계에 있어서 서로의 위치를 바꾸어 사용 할 수 있도록 설계당시 같은 비중을 가지고 만들어져야 하고, 건축가가 객석과 무대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나 연출가, 사용자가 위치를 새로이 정하는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관점에서 가변객석, 가변무대, 또는 가변 잔향 장치 등에 의해 홀의 여러 가지용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의도되고 설계되어지고 있으며, 그 기법으로는 무대의 여상 및 치수, 객석 수 및 배치형상, 음향반사판의 위치, 홀의 용적, 천장, 바닥, 등 변화 있는 이용이 있다.
시설을 결합하여 시설의 활발한 이용을 촉진하고 공간의 이요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성격이다. 단순 시설물이 아닌 교육, 집회, 행사 등 다양한 행위의 관련성 있는 하나의 유기적 군으로 통합, 서로 보충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몇 종류 이상의 공연을 하는 것이 다목적 홀이라고 부른다는 정의는 없으나 대학교 내의 다목적 홀을 다음과 같은 종류의 기능을 만족시키는 상태에서 연출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1) 다목적 홀의 기능
(가)교육 (시청각 수업, 세미나, 토론회, 화상 수업 등)
(나)회의 (강연회,강습회,기념식,각종총회,대회등)
(다)발표회 ( 팝, 재즈, 가요, 실내악, 독주, 합창, 독창, 오케스트라, 무용 국악 등)
(라)각종 연회 ( 사은회, 결혼식, 각종 파티 등)
(마)연극공연 ( 고전극, 현대극, 실험극 등 )
(바)영화상형( 교육영화, 홍보영화, 계몽영화, 공익영화, 명화 등)
(사)오락 ( 학교 내의 친선대회, 각종 페스티발, 선발대회 등)
(아)모임 (학생활동, 서클활동 . 연수교육, 토론회 등)
(자) 휴식 ( 독서, 상담, 음악 감상 등)
(차)전시회 ( 미술, 과제전 , 졸업 작품전, 시화전 등)
음악연주회나 연극 공연, 영화상영등의 용도로 홀을 사용하는 것을 연출방법을 가능하게 하고 ,관객이 공연물을 잘 볼 수 있고 잘 들리게 하여 쾌적한 기분으로 무대를 향해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완벽한 준비시설, 좋은 환경, 운영의 능률적인 계획이 필요하며 연기자, 관람자, 관계자 등 의 동선이 홀의 내외부에서 혼잡하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공연을 위한 시설은 무대와 관람석이 필수적이며, 규모, 상연종목, 무대형식에 의해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연기자와 관객의 바람직한 관계를 위해 무대와 객석의 거리, 각도 , 음향 등의 여러 조건들을 고려해야 한다.
영화 상영을 위한 공간은 스크린과 확성기, 간단한 무대 등으로 형성되며, 근래에는 와이드 스크린의 이용으로 무대 폭과 높이는 스크린의 비례에 따라 커지고, 음은 확성기로 발성되고 기계적으로 조정되므로 음향적 조건은 비교적 용이하다.
각종세미나, 워크
사) 토털 디자인
설계 조직에 있어 다수의 관계적 전문가에 의해 협동체 또는 경영조직을 취해 설계기획에서부터 세부설계에 이르기까지 전부분에 걸쳐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아) 대학캠퍼스 다목적 홀의 특성 고찰-다목적 홀
경제의 발전, 고도성장에 의해 우리는 어느 정도 물질적인 풍요를 얻었고, 일부계층만이 대사이던 문화적 요구가 널리 각 계층과 세대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요구의 확산은 대중매체에 의한 것이며 사람과 사람의 접촉에 의한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어 왔다. 사람들이 한 곳에 모여서 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행할 장소로서 집회행사시설의 의미는 더욱더 커졌다고 할 수 있으며, 대학생활의 여러 서클활동과 문화적 행사, 지역주민의 다양한 교유의 장으로 대학교 내의 문화예술의 장소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모든 홀 공간은 그 자체가 다목적이라 하겠으나 여기서는 어떤 공간에 대해서 무엇인가 부가, 또는 제거 되어서, 당초의 공간에 대응하고 있던 공용종목과는 다른 종류의 공연에 적합한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구조 및 장치를 구비한 홀을 다목적 홀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행사나 집회는 고정적인 형식을 갖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그 장소에 대응한 연출에 의해 여러 가지로 변화되며 다이내믹하고 자유로운 연출과 활동이 용이하게 전개되는 공간장치로서 상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문제는 다목적 성을 어떻게 본질적으로 표착하여 질적 수준을 유지시키면서 기술적인 전개로 대처하느냐 하는 점이다.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다목적 홀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능상의 모순을 해결해야 하는데 그것은 홀 공간에 여러 가지 가변성을 도입함으로써 기술적인 해결을 하는 방법과, 사용상의 중점을 명확히 하고 그 계열이 항목을 묶음으로써 자주적인 문화, 예술 활동과 연결해서 운영의 자주성을 강조해 나가는 방법이 있다. 대학생의 교육, 여가활동, 창작, 집회 및 여러 문화 행사의 장으로서 폭넓은 사용과 참여를 위하여 홀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복합적 시설물이 바람직하다.
새로운 홀 공간으로서 다목적 홀의 발전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다목적 홀의 성격을 고찰할 필요가 있는데, 가변성과 복합성이 바로 그것이다. 다목적 홀이란 여러 종류의 사용목적에 부합하도록 계획되어져야 하나 그 각 공연 종목마다의 홀 공간에 대한 요구는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음으로 갖가지 모순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는 홀 공간이 가변성을 높여 갖가지 공연 종목에 대해 보다 부드럽게 대응하는 방향과, 사용목적을 명확하고도 그에 적합한 홀 공간을 구성해야 하며 새로운 홀 공간으로서의 다목적 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과제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 하나는 다목적이 되기 위해서 기능사의 모순을 해결해야 할 것이고, 두 번째로는 다목적이라고 하나, 사용상의 중점을 명확히 하고 그 계열의 공연 종목을 묶는다는 배려이다. 전자에 대해서는 홀 공간에 갖가지 가변성을 도입함으로써 기술적인 해결이 요구되고 후자에 대해서는 대학생들과 또한 지역사회에서의 자주적인 예술 활동과 연결해서 운영의 자주성을 강조해 가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공간의 가변성은 홀 공간을 다목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며 홀의 이요형태에 따른 연출가의 연출의도와 일체가 되어서 기능해야 하며, 무대나 객석의 관계에 있어서 서로의 위치를 바꾸어 사용 할 수 있도록 설계당시 같은 비중을 가지고 만들어져야 하고, 건축가가 객석과 무대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나 연출가, 사용자가 위치를 새로이 정하는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관점에서 가변객석, 가변무대, 또는 가변 잔향 장치 등에 의해 홀의 여러 가지용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의도되고 설계되어지고 있으며, 그 기법으로는 무대의 여상 및 치수, 객석 수 및 배치형상, 음향반사판의 위치, 홀의 용적, 천장, 바닥, 등 변화 있는 이용이 있다.
시설을 결합하여 시설의 활발한 이용을 촉진하고 공간의 이요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성격이다. 단순 시설물이 아닌 교육, 집회, 행사 등 다양한 행위의 관련성 있는 하나의 유기적 군으로 통합, 서로 보충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몇 종류 이상의 공연을 하는 것이 다목적 홀이라고 부른다는 정의는 없으나 대학교 내의 다목적 홀을 다음과 같은 종류의 기능을 만족시키는 상태에서 연출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1) 다목적 홀의 기능
(가)교육 (시청각 수업, 세미나, 토론회, 화상 수업 등)
(나)회의 (강연회,강습회,기념식,각종총회,대회등)
(다)발표회 ( 팝, 재즈, 가요, 실내악, 독주, 합창, 독창, 오케스트라, 무용 국악 등)
(라)각종 연회 ( 사은회, 결혼식, 각종 파티 등)
(마)연극공연 ( 고전극, 현대극, 실험극 등 )
(바)영화상형( 교육영화, 홍보영화, 계몽영화, 공익영화, 명화 등)
(사)오락 ( 학교 내의 친선대회, 각종 페스티발, 선발대회 등)
(아)모임 (학생활동, 서클활동 . 연수교육, 토론회 등)
(자) 휴식 ( 독서, 상담, 음악 감상 등)
(차)전시회 ( 미술, 과제전 , 졸업 작품전, 시화전 등)
음악연주회나 연극 공연, 영화상영등의 용도로 홀을 사용하는 것을 연출방법을 가능하게 하고 ,관객이 공연물을 잘 볼 수 있고 잘 들리게 하여 쾌적한 기분으로 무대를 향해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완벽한 준비시설, 좋은 환경, 운영의 능률적인 계획이 필요하며 연기자, 관람자, 관계자 등 의 동선이 홀의 내외부에서 혼잡하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공연을 위한 시설은 무대와 관람석이 필수적이며, 규모, 상연종목, 무대형식에 의해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연기자와 관객의 바람직한 관계를 위해 무대와 객석의 거리, 각도 , 음향 등의 여러 조건들을 고려해야 한다.
영화 상영을 위한 공간은 스크린과 확성기, 간단한 무대 등으로 형성되며, 근래에는 와이드 스크린의 이용으로 무대 폭과 높이는 스크린의 비례에 따라 커지고, 음은 확성기로 발성되고 기계적으로 조정되므로 음향적 조건은 비교적 용이하다.
각종세미나, 워크
추천자료
'생활에 미치는 디자인의 역할',디자인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
공간의 이해
3차원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가상쇼핑공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광주시 교통수요 관리정책의 실태와 개선방안
나만의 공간’ ‘나만의 디자인’ 미니미니
인테리어에서의 가구에 대한 이해
[인테리어] 인테리어에 대하여
[디자인의 이해] 선으로된 그림, 면으로 된 그림
백화점 고객 동선의 이해
디자인테마를 경영하라 스타벅스
외식업체주방의 인체공학공간설계와 개발절차.ppt
[실내조경]실내조경의 사례와 기능 및 효과
[자연자원의이해] 이번 과제물은 학생들이 직접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실내 식물원, 곤충원...
VMD 디자인 마케팅 (Part3. 쇼윈도 디스플레이를 위한 VMD 제반 요소, Part4. 상업공간 쇼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