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사랑의 원형에 대한 고찰 -'새야 새야'를 보고나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완전한 사랑의 원형에 대한 고찰 -'새야 새야'를 보고나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랑의 원형은 모성애이다

3. 장애로 인한 차별이 세습되는 사회

4. 결론

본문내용

놈의 외로움을 보고 다가섰다가 대화를 할 수 없다는 답답함을 이기지 못하고 떠나간 형수의 이야기 그리고 작은 놈과 펜팔로 사귀게 되어 시골까지 찾아왔다가 작은 놈을 실제로 보고 말을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뒤도 돌아보지 않고 떠나가 버린 어느 도시여자의 이야기와 너무나 비교되는 것이기에 어머니의 사랑은 더욱 부각되는 것이다. 이런 어머니의 큰 사랑을 받고 자란 형제들은 큰 놈은 형수를 그냥 떠날 수 있게 놓아줌으로써 다시 받은 사랑을 전하게 되고 작은 놈은 숨겨달라고만 하는 그 여인에게 연민을 느끼고 같이 도망쳐서 어머니의 무덤으로 들어감으로써 받은 사랑을 전하는 것이다.
이 드라마에서 어린 형제들이 나누는 이야기 중에 '새는 어디든지 갈 수 있으니까 행복한 소리를 낸다.' 라는 말이 있다. 그것은 세상으로부터 받은 슬픔과 상처로부터 벗어나고 싶어 하는 형제들의 마음이 반영된 것이 아닐까. 또한 '새야 새야'라는 제목을 갖게 된 것도 형제들끼리 내는 손의 소리가 그들에게는 가장 행복한 소리이기 때문에 행복한 소리를 낸다고 했던 새를 사용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http://www.kbs.co.kr/drama/hdtv/bird/index.html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04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1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