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Ⅰ. 서론1. 들어가는 말
2. 국제관광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력
Ⅱ-1. 본론 - 프랑스의 국제관광 정책
1. 프랑스 소개
2. 프랑스의 관광현황
1) 프랑스 국민의 최근 관광 소비 경향
2)관광소비
3)관광수입
4)고용효과
3. 프랑스 관광의 수요와 공급
1) 문화관광 정책
(1) 다양한 문화유적
(2) 외국인들의 수요 증대
4. 프랑스 관광정책의 강점과 약점
(1) 조직화되고 개선된 여행조건
(2) 과도한 편중
5. 프랑스 관광의 질적 수준-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
6. 프랑스 관광의 경쟁 상황
1) 근거리 시장에서 ‘문화적인 목적지’로서 포지셔닝
2) ‘남유럽 지역’과의 전통적인 경쟁
3) 휴양관광활동에 대한 수요의 증가
7. 프랑스 관광의 위기
8. 프랑스 정부의 대응
9. 프랑스 관광정책의 특징
-철학이 기조가 되어 있는 관광정책
-외국인 관광객 유치촉진 기구
-완벽한 인프라 스트럭처
10. 프랑스 관광 진흥정책의 방향 및 전략
11. 관광객 유치정책 및 추진체계 분석
12. 주요 정책과 전략
1) 관광대국으로서의 프랑스 이미지와 노하우 구축
2) 지속가능한 관광산업 개발
3) 국제사회에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노하우 전파
4) 관광의 고급화정책
5) 관광상품개발
6) 관광산업 육성
7) 수용태세정비
8) 홍보 및 마케팅
13. 정책 추진체계
14. 프랑스 관광공사(Maison de la France)
1) 프랑스 관광공사의 전략
2) 프랑스 관광공사의 주요 관광진흥 계획
15. 프랑스 관광부
Ⅱ-2. 우리나라 국제관광 정책으로의 적용
1. 우리나라 국제관광정책의 현황과 과제
1) 문화관광부의 관련 정책현황
2) 우리나라 국제관광정책의 문제점
3) 관광부문 위기관리시스템의 개발방향
4) 문화관광정책을 위한 노력
2.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및 제안
3. 우리나라의 효과적인 관광진흥을 위한 정책 제안
Ⅲ. 결론
1. 맺음말
2. 참고자료
2. 국제관광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력
Ⅱ-1. 본론 - 프랑스의 국제관광 정책
1. 프랑스 소개
2. 프랑스의 관광현황
1) 프랑스 국민의 최근 관광 소비 경향
2)관광소비
3)관광수입
4)고용효과
3. 프랑스 관광의 수요와 공급
1) 문화관광 정책
(1) 다양한 문화유적
(2) 외국인들의 수요 증대
4. 프랑스 관광정책의 강점과 약점
(1) 조직화되고 개선된 여행조건
(2) 과도한 편중
5. 프랑스 관광의 질적 수준-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
6. 프랑스 관광의 경쟁 상황
1) 근거리 시장에서 ‘문화적인 목적지’로서 포지셔닝
2) ‘남유럽 지역’과의 전통적인 경쟁
3) 휴양관광활동에 대한 수요의 증가
7. 프랑스 관광의 위기
8. 프랑스 정부의 대응
9. 프랑스 관광정책의 특징
-철학이 기조가 되어 있는 관광정책
-외국인 관광객 유치촉진 기구
-완벽한 인프라 스트럭처
10. 프랑스 관광 진흥정책의 방향 및 전략
11. 관광객 유치정책 및 추진체계 분석
12. 주요 정책과 전략
1) 관광대국으로서의 프랑스 이미지와 노하우 구축
2) 지속가능한 관광산업 개발
3) 국제사회에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노하우 전파
4) 관광의 고급화정책
5) 관광상품개발
6) 관광산업 육성
7) 수용태세정비
8) 홍보 및 마케팅
13. 정책 추진체계
14. 프랑스 관광공사(Maison de la France)
1) 프랑스 관광공사의 전략
2) 프랑스 관광공사의 주요 관광진흥 계획
15. 프랑스 관광부
Ⅱ-2. 우리나라 국제관광 정책으로의 적용
1. 우리나라 국제관광정책의 현황과 과제
1) 문화관광부의 관련 정책현황
2) 우리나라 국제관광정책의 문제점
3) 관광부문 위기관리시스템의 개발방향
4) 문화관광정책을 위한 노력
2.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및 제안
3. 우리나라의 효과적인 관광진흥을 위한 정책 제안
Ⅲ. 결론
1. 맺음말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외래객 감소를 나타내었다. 2002년에는 경기회복과 9.11테러의 영향에서 벗어나 다시 외래관광객 방문율이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국제관광 수지 측면에서는 -173백만불(2001년), -2,364백만불(2002년) 연속 2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권에서 국제관광객 유치 순위(2001년)를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폴, 마카오에 이어 7위(5,147천명), 관광수입 측면(2001년)에서는 중국, 홍콩, 호주, 말레이시아, 태국에 이어 6위(6,283백만불)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첫째 내국인의 출국자수 증대 또는 1인당 지출증대, 둘째는 외래관광객 입국자수 감소 또는 입국 외래관광객 1인당 관광지출 감소를 들 수 있다. 향후 관광목적국으로서 우리나라의 위상강화를 위해서는 위의 두 가지 원인을 해결하는 방안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내국인의 출국과 지출 억제 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은 국제화시대에 있어서 소극적이고 단기적인 해결책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와 1인당 관광지출 증대를 위한 방안을 추구하여야 한다.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를 위해서는 우리나라를 알리도록 하는 적극적인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고, 1인당 외래객 지출 증대를 위해서는 관광객이 우리나라에 오래 머물면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책적 관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세계적인 관광대국이라고 할 수 있는 영국, 프랑스, 스페인과 동남아의 주변 경쟁국인 태국, 말레이시아, 일본의 관광정책 동향 및 관광정책 추진체계에 대한 분석과 주요 관광정책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관광선진국의 강점을 벤치마킹함으로써 향후 올바른 정책판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관광진흥을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국, 프랑스, 스페인, 태국, 말레이시아, 일본 등 관광선진국의 관광촉진 전략은 역동적이고 다양한 홍보 및 켐페인의 전개, 관광객의 관심과 만족도 제고를 위한 특화된 관광상품의 개발, 양적인 측면에서 질적인 측면의 변화를 통한 관광상품의 경쟁력 강화 및 다양한 평가체계의 개발 및 구축, 중앙 및 지방정부와 업계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광산업 육성정책, 관광정책의 심의와 조정을 위한 실효성 있는 특별기구의 운영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동북아 관광허브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우리에게 작지만 큰 교훈을 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즉 관광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역동적이고 열린 사고방식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적 노력, 철저한 평가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 혁신 등 우이가 그동안 경시해 왔거나 미처 챙기지 못했던 작지만 큰 원칙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과 방향이 먼저 서고 정부와 업계, 시민이 합심하여 나아간다면 관광대국으로의 위상변화가 좀 더 앞당겨지리라 생각한다.
2. 참고자료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C7%C1%B6%FB%BD%BA&frm=t1
http://100.naver.com/100.php?id=183402
http://www.kcpi.or.kr/database/bokji/141/m141_6.htm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0780310§ion_id=103&menu_id=103
http://www.kctpi.re.kr/webdata/pds/pds/s000502.hwp
http://www.onreport.co.kr/data/splist/1/p148801_149000.html
http://www.startat.co.kr/pages/data/splist/1/p2847601_2847800.html
http://bonjour.hannam.ac.kr/txt/docu2.html
http://www.magazinegv.com/news/News0111/0111-nation2.htm
http://bref.co.kr/vie/www.htm
http://www.ktri.re.kr/ii/iniy/iniy200201_22.htm
http://www.advertising.co.kr/uw-data/dispatcher/lit/fulltext/Serial/S0007167/01.html
http://www.kcpi.or.kr/database/bokji/141/m141_8.htm
http://dragon.seowon.ac.kr/%7Ejeronimo/material/news/eu030814-05.htm
http://advertising.co.kr/data/sem/2003adreport/20031227_NI/20031227_NI.html
http://tiss.re.kr/divpower5/divpower16.html
http://myungwan.chonbuk.ac.kr/culture/cul4001.htm
http://www.knto.or.kr/
원융희, 오연수, 『관광전략의 이해』, 2003
국가정보원, 『해외여행을안전하게』, 2003
국립보건원, 『해외여행과질병』, 해외유형전염병관리센터
문화관광부, 『관광법규집』, 한국관광협회중앙회, 1999
『2002년도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02
윌리엄카노크, 21세기쇼크, 경향신문사, 1996
티모시쿰즈,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한국관광공사, 『관광시장대책단운영보고서(비발간자료)』, 2003
행정자치부, 『국가재난관리종합대책수립을위한공청회자료』, 국가재난관리시스템기획단, 2003 Abraham Pizam & Yoel Mansfeld, Tourism, Crime, and International Security Issues, John Wiley & Sons, 1996>
WTO, Crisis Guidelines for the Tourism Industry, 2003
Tourism Safety and Security, 1998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첫째 내국인의 출국자수 증대 또는 1인당 지출증대, 둘째는 외래관광객 입국자수 감소 또는 입국 외래관광객 1인당 관광지출 감소를 들 수 있다. 향후 관광목적국으로서 우리나라의 위상강화를 위해서는 위의 두 가지 원인을 해결하는 방안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내국인의 출국과 지출 억제 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은 국제화시대에 있어서 소극적이고 단기적인 해결책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와 1인당 관광지출 증대를 위한 방안을 추구하여야 한다.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를 위해서는 우리나라를 알리도록 하는 적극적인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고, 1인당 외래객 지출 증대를 위해서는 관광객이 우리나라에 오래 머물면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책적 관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세계적인 관광대국이라고 할 수 있는 영국, 프랑스, 스페인과 동남아의 주변 경쟁국인 태국, 말레이시아, 일본의 관광정책 동향 및 관광정책 추진체계에 대한 분석과 주요 관광정책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관광선진국의 강점을 벤치마킹함으로써 향후 올바른 정책판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관광진흥을 위한 정책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국, 프랑스, 스페인, 태국, 말레이시아, 일본 등 관광선진국의 관광촉진 전략은 역동적이고 다양한 홍보 및 켐페인의 전개, 관광객의 관심과 만족도 제고를 위한 특화된 관광상품의 개발, 양적인 측면에서 질적인 측면의 변화를 통한 관광상품의 경쟁력 강화 및 다양한 평가체계의 개발 및 구축, 중앙 및 지방정부와 업계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광산업 육성정책, 관광정책의 심의와 조정을 위한 실효성 있는 특별기구의 운영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동북아 관광허브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우리에게 작지만 큰 교훈을 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즉 관광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역동적이고 열린 사고방식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적 노력, 철저한 평가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 혁신 등 우이가 그동안 경시해 왔거나 미처 챙기지 못했던 작지만 큰 원칙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과 방향이 먼저 서고 정부와 업계, 시민이 합심하여 나아간다면 관광대국으로의 위상변화가 좀 더 앞당겨지리라 생각한다.
2. 참고자료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C7%C1%B6%FB%BD%BA&frm=t1
http://100.naver.com/100.php?id=183402
http://www.kcpi.or.kr/database/bokji/141/m141_6.htm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01&article_id=0000780310§ion_id=103&menu_id=103
http://www.kctpi.re.kr/webdata/pds/pds/s000502.hwp
http://www.onreport.co.kr/data/splist/1/p148801_149000.html
http://www.startat.co.kr/pages/data/splist/1/p2847601_2847800.html
http://bonjour.hannam.ac.kr/txt/docu2.html
http://www.magazinegv.com/news/News0111/0111-nation2.htm
http://bref.co.kr/vie/www.htm
http://www.ktri.re.kr/ii/iniy/iniy200201_22.htm
http://www.advertising.co.kr/uw-data/dispatcher/lit/fulltext/Serial/S0007167/01.html
http://www.kcpi.or.kr/database/bokji/141/m141_8.htm
http://dragon.seowon.ac.kr/%7Ejeronimo/material/news/eu030814-05.htm
http://advertising.co.kr/data/sem/2003adreport/20031227_NI/20031227_NI.html
http://tiss.re.kr/divpower5/divpower16.html
http://myungwan.chonbuk.ac.kr/culture/cul4001.htm
http://www.knto.or.kr/
원융희, 오연수, 『관광전략의 이해』, 2003
국가정보원, 『해외여행을안전하게』, 2003
국립보건원, 『해외여행과질병』, 해외유형전염병관리센터
문화관광부, 『관광법규집』, 한국관광협회중앙회, 1999
『2002년도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02
윌리엄카노크, 21세기쇼크, 경향신문사, 1996
티모시쿰즈,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한국관광공사, 『관광시장대책단운영보고서(비발간자료)』, 2003
행정자치부, 『국가재난관리종합대책수립을위한공청회자료』, 국가재난관리시스템기획단, 2003 Abraham Pizam & Yoel Mansfeld, Tourism, Crime, and International Security Issues, John Wiley & Sons, 1996>
WTO, Crisis Guidelines for the Tourism Industry, 2003
Tourism Safety and Security,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