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 프로젝트 개요 및 목적
□ 프로젝트 세부계획
□ 블루투스의 정의와 특징
□ PIC의 정의와 특징
□ PIC16F877 구성 및 특징
□ 온도센서 (LM35DZ)
□ 온 도 측 정 법
□ 다 이 어 그램(설 명 도)
□ 다이어그램(회로 측면)
□ 다이어그램(프로그램 측면)
□ 프 로 그 램(송 신 부)
□ 프 로 그 램(수 신 부)
□ 회 로 도
□ 부 품 목 록
□ 프로젝트 개요 및 목적
□ 프로젝트 세부계획
□ 블루투스의 정의와 특징
□ PIC의 정의와 특징
□ PIC16F877 구성 및 특징
□ 온도센서 (LM35DZ)
□ 온 도 측 정 법
□ 다 이 어 그램(설 명 도)
□ 다이어그램(회로 측면)
□ 다이어그램(프로그램 측면)
□ 프 로 그 램(송 신 부)
□ 프 로 그 램(수 신 부)
□ 회 로 도
□ 부 품 목 록
본문내용
반응(효소반응)의 최적상태를 맞추기 위함.
3) 심부체온 및 피부체온
- 심부체온
신체의 심부, 즉 두개강, 흉강, 복강 등의 온도를 말한다. 37℃로 가장 높은 체온을 나타낸다.
- 피부체온
열 손실면(체표면)인 피부의 온도를 말한다. 심부체온보다 약 5~8℃ 낮으며 환경변화에 따라 또는 신체 부위에 따라 변화된다.
※ 신체부위 중 체온이 가장 낮은 부위
음낭 → 32℃로 유지되어 정자 생성능, 수정능 및 정자운동 능력을 왕성하게 한다.
4)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연령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사율이 높으므로 심부체온이 0.5℃ 높으며, 노인은 청장년층에 비해 대사율이 낮으므로 심부체온이 0.5℃ 낮다.
- 성별
남성은 더운환경에 강하며 여성은 추운환경에 강하다.
- 일주기 리듬
하루 24시간 주기로 0.5~0.7℃정도 변한다. 정오경에 가장 높으며 자정 무렵부터 새벽4시까지가 가장 낮다.
- 호르몬
Catecholamin(epinephrine, norepinephrine), 갑상선 호르몬, 코티졸, 성장호르몬과 같은 호르몬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전신세포의 대사율을 증가시켜서 열생산이 증가하므로 체온이 상승한다.
※ 여성은 월경 주기에 따라 체온이 변화 → 배란 직후 체온이 상승한다.
- 운동
골격근의 대사율 증가로 열 생산량 급격히 증가
- 스트레스
신경과 호르몬을 활성화시켜서 대사율을 촉진하여 체온을 상승시킴
5) 체열 균형
-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체내에서 생산된 열과 주위 환경으로 소실되는 열 사이의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6) 열 생산 - 화학적 체온조절
체내에서 가장 물질대사가 왕성하고 열 생산이 많은 장기는 골격근과 간이다.
- 기초대사
안정상태에서 체온은 주로 기초대사 결과 생긴 열에 의해서 유지된다.
* 기초대사율 : 단위시간에 대한 기초대사량. 40Cal/시간m²음식물 소화에 의한 에너지를 제외한 호흡, 순환 등 기초적인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모하는 에너지량. 이 중 순환, 호흡 등 일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는 30%에 불과하므로 대부분은 체열로 변화 되어 체온유지에 사용된다.
- 음식섭취
특이동적 작용(안전 상태에서도 음식물을 섭취하면 대사가 증가)에 의해 열생산이 증가된다.
- 수의적인 골격근 수축
심한 운동시에 골격근 대사에 의한 열생산량은 수분 이내에 20~30배로 증가하여 총 열생산량의 90%를 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근육활동의 변화는 체온을 변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이다.
- 불수의적인 골격근 수축(떨림)
추위에 노출되는 경우 오한이 나며, 어느 한계의 근 긴장도를 넘게되면 불수의적으로 골격근이 10~20회/초의 빈도로 불규칙하게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를 떨림(shivering)이라 한다.
떨림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는 100% 모두 열로 발산된다.
떨림에 의한 열생산은 5배까지 증가할 수 있으며, 보통 신체의 상부근육인 저작근, 대흉근 등에서 시작하여 하지쪽으로 전파된다.
- 호르몬에 의한 열생산(NST)
NST는 근수축과 무관하며, catecholamine, thyroxine, cortisl과 같은 호르몬에 의해 대사량을 증가시켜서 이루어지는 열생산을 의미한다.
동면하는 동물 및 신생아, 성인에서 장기간 추위에 노출될 때 열생산을 증가시켜 체온을 조절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생아는 추운환경에서 생산되는 열의 95%가 NST에 의해 이루어지며 나이가 들수록 떨림에의 의존도가 증가하게 된다.
7) 열 손실 - 물리적 체온조절
주위 환경과 열교환을 하는 물리적인 현상으로서 복사(radiation), 전도(conduction), 대류(convection), 증발(evaporation) 등에 기인한다.
- 복사(Radiation)
복사는 신체와 그 주위에 있는 물체 사이에서 서로 적외선의 형태를 주고 받는 현상을 말한다.
체표면과 어떤 물체가 접하지 않고서 체열이 손실된다.
복사에 의하여 방출되는 열량은 전체 체열 손실의 50~60%를 차지한다.
- 전도(Conduction)
전도란 신체표면과 접촉된 물체 사이에서 열이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 대류(Convection)
대류는 공기나 액체분자의 운동에 의해 열이 이동하는 것이다.
선풍기로 불어주면 시원하게 느끼는데 이는 열손실이 커지기 때문이고 옷을 입어 대류가 일어나는 것을 방해하면 열손실이 감소한다.
- 증발(Evaporation)
증발이란 수분이 기화하는 것으로 물 1g이 증발할 때는 기화열로서 0.58kcal의 열이 방출된다.
8) 열손실의 출구
(1) 피부
- 복사, 대류, 전도 및 증발에 의한 열의 이동은 주로 피부에서 이루어진다.
열의 양은 피부와 주위 공기층 사이의 온도 경사도에 비례하며, 피부순환에 의해 조절된다. 이때 온도경사도는 피하지방과 근육의 두께, 옷의 두께, 색깔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피부에는 체온조절을 위해 동정맥 문합혈관과 피하정맥총이 발달해 있다.
더운 환경에 노출되어 피부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 교감신경의 흥분성이 감소하게 되어 혈관이 확장된다. 이 때 동정맥문합으로 혈류가 이동하고 많은 양의 혈액이 피하정맥총으로 가게 되어 피부혈류량이 증가하므로 피부와 주위 환경과의 온도경사가 높아져서 체열 손실량이 증가된다.
피부온도가 15℃ 이하로 감소되면 오히려 피부혈관이 확장되는 반응이 나타나는데 이는 냉자극에 대한 혈관의 직접적인 반응으로 혈관이 마비되고 bradykinin이 분비되어 혈관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2) 폐
호흡기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므로 체열이 손실된다.
(3) 소화,비뇨기계
대변과 소변의 배설을 통한 체열 손실량은 매우적다. 전체의 1%에 불과하다.
9) 체온조절기전
(1) 체온조절요소
- 체온조절중추
체온조절중추는 시상하부중 전시상하부의 온열중추(체열손실중추)와 후시상하부의 한랭중추(체열생산중추)이다.
체온조절중추는 기준점이 37℃로 되어 있는 항온조절기처럼 작용한다. 즉, 구심성 회로로부터 올라오는 정보를 수집한 결과 체온이 기준점보다 아래로 내려와 있다면 열생산과 열보존기전이 활성화되며, 반대로 체온이 기준점보다 상승되어 있다면 열손실기전이 활성화되어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3) 심부체온 및 피부체온
- 심부체온
신체의 심부, 즉 두개강, 흉강, 복강 등의 온도를 말한다. 37℃로 가장 높은 체온을 나타낸다.
- 피부체온
열 손실면(체표면)인 피부의 온도를 말한다. 심부체온보다 약 5~8℃ 낮으며 환경변화에 따라 또는 신체 부위에 따라 변화된다.
※ 신체부위 중 체온이 가장 낮은 부위
음낭 → 32℃로 유지되어 정자 생성능, 수정능 및 정자운동 능력을 왕성하게 한다.
4)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연령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사율이 높으므로 심부체온이 0.5℃ 높으며, 노인은 청장년층에 비해 대사율이 낮으므로 심부체온이 0.5℃ 낮다.
- 성별
남성은 더운환경에 강하며 여성은 추운환경에 강하다.
- 일주기 리듬
하루 24시간 주기로 0.5~0.7℃정도 변한다. 정오경에 가장 높으며 자정 무렵부터 새벽4시까지가 가장 낮다.
- 호르몬
Catecholamin(epinephrine, norepinephrine), 갑상선 호르몬, 코티졸, 성장호르몬과 같은 호르몬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전신세포의 대사율을 증가시켜서 열생산이 증가하므로 체온이 상승한다.
※ 여성은 월경 주기에 따라 체온이 변화 → 배란 직후 체온이 상승한다.
- 운동
골격근의 대사율 증가로 열 생산량 급격히 증가
- 스트레스
신경과 호르몬을 활성화시켜서 대사율을 촉진하여 체온을 상승시킴
5) 체열 균형
-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체내에서 생산된 열과 주위 환경으로 소실되는 열 사이의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6) 열 생산 - 화학적 체온조절
체내에서 가장 물질대사가 왕성하고 열 생산이 많은 장기는 골격근과 간이다.
- 기초대사
안정상태에서 체온은 주로 기초대사 결과 생긴 열에 의해서 유지된다.
* 기초대사율 : 단위시간에 대한 기초대사량. 40Cal/시간m²음식물 소화에 의한 에너지를 제외한 호흡, 순환 등 기초적인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모하는 에너지량. 이 중 순환, 호흡 등 일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는 30%에 불과하므로 대부분은 체열로 변화 되어 체온유지에 사용된다.
- 음식섭취
특이동적 작용(안전 상태에서도 음식물을 섭취하면 대사가 증가)에 의해 열생산이 증가된다.
- 수의적인 골격근 수축
심한 운동시에 골격근 대사에 의한 열생산량은 수분 이내에 20~30배로 증가하여 총 열생산량의 90%를 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근육활동의 변화는 체온을 변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이다.
- 불수의적인 골격근 수축(떨림)
추위에 노출되는 경우 오한이 나며, 어느 한계의 근 긴장도를 넘게되면 불수의적으로 골격근이 10~20회/초의 빈도로 불규칙하게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를 떨림(shivering)이라 한다.
떨림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는 100% 모두 열로 발산된다.
떨림에 의한 열생산은 5배까지 증가할 수 있으며, 보통 신체의 상부근육인 저작근, 대흉근 등에서 시작하여 하지쪽으로 전파된다.
- 호르몬에 의한 열생산(NST)
NST는 근수축과 무관하며, catecholamine, thyroxine, cortisl과 같은 호르몬에 의해 대사량을 증가시켜서 이루어지는 열생산을 의미한다.
동면하는 동물 및 신생아, 성인에서 장기간 추위에 노출될 때 열생산을 증가시켜 체온을 조절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생아는 추운환경에서 생산되는 열의 95%가 NST에 의해 이루어지며 나이가 들수록 떨림에의 의존도가 증가하게 된다.
7) 열 손실 - 물리적 체온조절
주위 환경과 열교환을 하는 물리적인 현상으로서 복사(radiation), 전도(conduction), 대류(convection), 증발(evaporation) 등에 기인한다.
- 복사(Radiation)
복사는 신체와 그 주위에 있는 물체 사이에서 서로 적외선의 형태를 주고 받는 현상을 말한다.
체표면과 어떤 물체가 접하지 않고서 체열이 손실된다.
복사에 의하여 방출되는 열량은 전체 체열 손실의 50~60%를 차지한다.
- 전도(Conduction)
전도란 신체표면과 접촉된 물체 사이에서 열이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 대류(Convection)
대류는 공기나 액체분자의 운동에 의해 열이 이동하는 것이다.
선풍기로 불어주면 시원하게 느끼는데 이는 열손실이 커지기 때문이고 옷을 입어 대류가 일어나는 것을 방해하면 열손실이 감소한다.
- 증발(Evaporation)
증발이란 수분이 기화하는 것으로 물 1g이 증발할 때는 기화열로서 0.58kcal의 열이 방출된다.
8) 열손실의 출구
(1) 피부
- 복사, 대류, 전도 및 증발에 의한 열의 이동은 주로 피부에서 이루어진다.
열의 양은 피부와 주위 공기층 사이의 온도 경사도에 비례하며, 피부순환에 의해 조절된다. 이때 온도경사도는 피하지방과 근육의 두께, 옷의 두께, 색깔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피부에는 체온조절을 위해 동정맥 문합혈관과 피하정맥총이 발달해 있다.
더운 환경에 노출되어 피부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 교감신경의 흥분성이 감소하게 되어 혈관이 확장된다. 이 때 동정맥문합으로 혈류가 이동하고 많은 양의 혈액이 피하정맥총으로 가게 되어 피부혈류량이 증가하므로 피부와 주위 환경과의 온도경사가 높아져서 체열 손실량이 증가된다.
피부온도가 15℃ 이하로 감소되면 오히려 피부혈관이 확장되는 반응이 나타나는데 이는 냉자극에 대한 혈관의 직접적인 반응으로 혈관이 마비되고 bradykinin이 분비되어 혈관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2) 폐
호흡기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므로 체열이 손실된다.
(3) 소화,비뇨기계
대변과 소변의 배설을 통한 체열 손실량은 매우적다. 전체의 1%에 불과하다.
9) 체온조절기전
(1) 체온조절요소
- 체온조절중추
체온조절중추는 시상하부중 전시상하부의 온열중추(체열손실중추)와 후시상하부의 한랭중추(체열생산중추)이다.
체온조절중추는 기준점이 37℃로 되어 있는 항온조절기처럼 작용한다. 즉, 구심성 회로로부터 올라오는 정보를 수집한 결과 체온이 기준점보다 아래로 내려와 있다면 열생산과 열보존기전이 활성화되며, 반대로 체온이 기준점보다 상승되어 있다면 열손실기전이 활성화되어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