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820년대까지의 통계학사 시대배경
- 최소제곱법의 탄생
- 역확률과 정규분포의 탄생
- 1830년대 이후의 사회과학과 통계학사의 시대배경
- 케틀레의 성공과 실패
- 렉시스의 실패, 심리학의 성공
- 19세기 말 유전학 연구에서의 혁신적인 발달의 시대배경
- 골턴, 에지워스, 피어슨 , 율
- 최소제곱법의 탄생
- 역확률과 정규분포의 탄생
- 1830년대 이후의 사회과학과 통계학사의 시대배경
- 케틀레의 성공과 실패
- 렉시스의 실패, 심리학의 성공
- 19세기 말 유전학 연구에서의 혁신적인 발달의 시대배경
- 골턴, 에지워스, 피어슨 , 율
본문내용
관력을 발휘한 빅토리아 시대 박학다식형의 인물의 전형이었다. 결과적으로 볼 때 다른 사람이 아닌 골턴이 19세기를 지배하던 개념상의 한계를 넘을 수 있었던 까닭은 그가 수학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했고 특히 애당초 통계학에 대해서는 거의 아무것도 알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골턴이 상관가 회귀라는 개념을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은 앞서 메켄지가 지적했듯이 그의 관심이 천문학이나 사회과학이 아닌 생물학, 그 가운데서도 유전학에 있었기 때문이다. 즉 부모의 재능이나 키 같은 특징이 자식에게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문제가 바로 골턴이 평생 매달린 주제였다.
특히 그는 ‘천재’같은 특출한 재능이 있는 가계에 매우 관심이 많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케틀레의 ‘평균적인 사람’은 골턴에게 아무런 관심 대상이 될 수 없었다. 도리어 그에게는 특별한 경우들, 평균과 많이 다른 경우들이 문제였다. 그가 케틀레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는데도 케틀레와 달리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케틀레와 골턴의 차이를 설득력 있게 보여주면서 19세기 후반 통계학과 사회과학에 대해 쓴 글로는 조금 오래된 것이지만 힐츠의 글이 있다.
케틀레와 마찬가지로 골턴도 정규분포를 가지고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려했다. 그런데 그가 가진 데이터에서는 서로 완전히 이질적인 데이터를 모았는데도 정규분포 형태의 분포가 나왔으므로 결국 라플라스의 오차 이론은 골턴이 원하는 목적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너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골턴은 큉컹크스라는 정말 신기한 장치를 만들어냈고 이를 가지고 정규분포를 따르는 자료를 혼합하면 다시 정규분포가 된다는 사실을 보였다. 이러한 발상 덕분에 그는 19세기 사람들을 구속하던 정규분포의 엄밀한 조건에서 해방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스위트피와 부모와 자식 키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복귀유전’ 또는 회귀 개념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유도 과정도 없이 유전학 연구에서 새롭고 매우 중요한 통계적 발상이 탄생하는 이러한 사례는 통계학사의 독특한 측면을 아주 잘 보여주는 놀라운 사례다.
골턴의 연구는 에지워스의 다변량의 정규분포와 조건부 기댓값 그리고 상관 계수에 대한 연구를 거쳐 칼 피어슨과 율의 상관계수 그리고 이변량 정규분포와 회귀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고 마침내 최소제곱법을 부활시킨 율의 연구로 이어진다. 이렇게 해서 19세기는
특히 그는 ‘천재’같은 특출한 재능이 있는 가계에 매우 관심이 많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케틀레의 ‘평균적인 사람’은 골턴에게 아무런 관심 대상이 될 수 없었다. 도리어 그에게는 특별한 경우들, 평균과 많이 다른 경우들이 문제였다. 그가 케틀레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는데도 케틀레와 달리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케틀레와 골턴의 차이를 설득력 있게 보여주면서 19세기 후반 통계학과 사회과학에 대해 쓴 글로는 조금 오래된 것이지만 힐츠의 글이 있다.
케틀레와 마찬가지로 골턴도 정규분포를 가지고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려했다. 그런데 그가 가진 데이터에서는 서로 완전히 이질적인 데이터를 모았는데도 정규분포 형태의 분포가 나왔으므로 결국 라플라스의 오차 이론은 골턴이 원하는 목적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너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골턴은 큉컹크스라는 정말 신기한 장치를 만들어냈고 이를 가지고 정규분포를 따르는 자료를 혼합하면 다시 정규분포가 된다는 사실을 보였다. 이러한 발상 덕분에 그는 19세기 사람들을 구속하던 정규분포의 엄밀한 조건에서 해방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스위트피와 부모와 자식 키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복귀유전’ 또는 회귀 개념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유도 과정도 없이 유전학 연구에서 새롭고 매우 중요한 통계적 발상이 탄생하는 이러한 사례는 통계학사의 독특한 측면을 아주 잘 보여주는 놀라운 사례다.
골턴의 연구는 에지워스의 다변량의 정규분포와 조건부 기댓값 그리고 상관 계수에 대한 연구를 거쳐 칼 피어슨과 율의 상관계수 그리고 이변량 정규분포와 회귀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고 마침내 최소제곱법을 부활시킨 율의 연구로 이어진다. 이렇게 해서 19세기는
추천자료
[조사방법론] 통계와 가설검증에 대한 연구보고서
“컴퓨터 통계처리와 통계패키지”에 대하여
확률과통계 요점정리
[추리통계][추리통계 정의][추리통계 기본개념][추리통계 가설검증][추리통계 사례][추리통계...
통계교육(통계지도) 개념, 통계교육(통계지도) 목표와 필요성, 통계교육(통계지도) 경향과 과...
[통계][추론][통계품질][통계자료][무응답조사자료][미니탭 통계프로그램]통계와 추정, 통계...
통계조사방법론과 설문지 작성법
통계조사방법론과 설문지 작성법
[통계교육]통계교육(통계지도)의 가치, 통계교육(통계지도)의 기본방향, 통계교육(통계지도)...
컴퓨터통계처리와통계패키지 - 사조방
통계 필요성과 기능, 통계지도(통계교육) 기본방향, 통계지도(통계교육) 학습내용, 통계지도(...
통계지도(통계교육)의 개념, 통계지도(통계교육)의 목표와 통계지도(통계교육)의 내용, 통계...
[통계][통계 기본개념][통계 이론적 배경][통계 자료정리][통계 발전방안]통계의 의의, 통계...
통계분석의 수준은 자료의 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자료의 수준을 정의하고, 주변에서 관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