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의의
4. 용어의 정의 및 사용상의 범위
II. 연구의 방법
1. 문헌 수집·분석
2. 특수유아교육기관 실태 조사·분석
3. 특수유치원 설치에 관한 의견 조사·분석
III. 외국의 특수유아교육
1. 미국의 특수유아교육
2. 일본의 특수유아교육
3. 외국 특수유아교육의 시사점
IV. 우리나라 특수유아교육
1. 우리나라 특수유아교육의 발전과정과 성격
2. 특수유아교육기관의 실태 분석
3. 특수유치원 설치에 관한 의견 분석
V. 특수유치원 설치 모형
1. 특수유치원 시설·설비 요건
2. 특수유치원 설치 관계 법규
3. 특수유치원 모형 개발의 방향
4. 특수유치원 설치 모형
1) 모형 A: 독립 단독형
2) 모형 B: 유치원 병설형
3) 모형 C: 특수학교 병설형
5. 특수유치원 모형별 운영(안)
VI. 요약 및 제언
1. 요약
2. 제언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의의
4. 용어의 정의 및 사용상의 범위
II. 연구의 방법
1. 문헌 수집·분석
2. 특수유아교육기관 실태 조사·분석
3. 특수유치원 설치에 관한 의견 조사·분석
III. 외국의 특수유아교육
1. 미국의 특수유아교육
2. 일본의 특수유아교육
3. 외국 특수유아교육의 시사점
IV. 우리나라 특수유아교육
1. 우리나라 특수유아교육의 발전과정과 성격
2. 특수유아교육기관의 실태 분석
3. 특수유치원 설치에 관한 의견 분석
V. 특수유치원 설치 모형
1. 특수유치원 시설·설비 요건
2. 특수유치원 설치 관계 법규
3. 특수유치원 모형 개발의 방향
4. 특수유치원 설치 모형
1) 모형 A: 독립 단독형
2) 모형 B: 유치원 병설형
3) 모형 C: 특수학교 병설형
5. 특수유치원 모형별 운영(안)
VI. 요약 및 제언
1. 요약
2. 제언
본문내용
전을 위해 노력하고 계시는 선생님의 노고에 깊은 경의를 표합니다.
저희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금년도 연구사업의 하나로 ‘특수유치원 설치 모형 개발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조기특수교육기관의 실태조사와 그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함과 동시에 특수유치원 설치에 관한 여러분의 의견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특수유치원 설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위와 같은 취지로 작성된 조사의 응답 결과는 본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결코 사용되지 않을 것임을 밝혀둡니다.
아울러 선생님께서 응답해 주신 자료가 우리나라 특수유아교육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점을 생각하시어 바쁘시더라도 정성껏 응답해 주시기 바라며, 작성된 조사지는 반송봉투에 넣어 곧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1995. 12.
국립특수교육원장 올림
<작성요령>
가. 각 문항은 해당 항목에 V표하여 주시거나, ( )안에 내용을 간단 명료하게 기록해 주십시오.
나. 해당 사항이 없으면 기타란에 구체적으로 기록해 주십시오.
문의처: 국립특수교육원 기획연구과
전 화: 0345) 419-0542
(p.166)
1. 현재 조기특수교육기관이 여러 유형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유형들 중에서 설치 인가를 해 주어야 할 유형은 어떠한 것들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특수학교 병설 유치부 2) 일반유치원 병설 특수반
3) 복지관 부설 특수유치부 4) 종교·사회단체 부설 특수유치원
5) 사설(개인) 특수유치원 6) 병·의원 부설 언어치료실
7) 사설(개인) 언어치료실 8) 각종 사설 심리치료실
2. 인가해 줄 수 없는 기관들은 왜 그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최근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보건복지부 산하 종합복지관 또는 장애인복지관이 설립되면서, 동 기관에 아동복지법과 장애인복지법에 의거 특수유아 조기교육부(실)를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그 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대한 운영 방법은 어떠해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1) 특수교육진흥법에 의거 교육부산하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아동복지법과 장애인복지법에 의거 보건복지부 산하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기타 의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167)
4. 공인된 법인(특수학교 또는 복지법인)이나 단체(종교단체 또는 사회단체)인 경우에는 특수유아 조기교육기관으로서 법이 정하는 요건을 갖추면 인가해 줄 수 있겠지만, 인가 요건을 갖추지 못한 개인 소유의 영세 사설기관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계까지 인가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운영자 소유의 기관
2) 일정 수준의 공탁금을 예치한 전세임대기관
3) 전세임대기관 4) 월세임대기관
5) 기타의 인가 조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교사 1인당 담당할 수 있는 특수유아의 최대인원(1개반)은 몇 명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5명 2) 6명 3) 7명 4) 8명 5) 9명 6) 10명
6. 특수 유아 교육기관으로 인가해 주기 위한 최소의 학급 수는 어느 정도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2개반 2) 3개반 3) 4개반 4) 5개반
7. 6번의 인가를 위한 최소 학급 수에 따라 인가를 해주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유희실(보통교실): ( )개 2) 요육실: ( )개 3) 화장실: ( )개
4) 세면대: ( )개 5) 기타:
8-1. 6번의 ‘인가를 위한 최소의 학급 수’와 7번의 ‘최소의 시설 기준’에 따라 인 (p.168) 가를 해 주기 위해서 교직원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어떠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참고로 유아교육진흥법에 의하면 “원장 또는 원감과 교사를 둘 수 있다.”로 규정되었음) 구체적으로 기록해 주십시오.
8-2. 원장은 어떠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교원자격 검정령의 원장 자격 기준 참조) 구체적으로 기록해 주십시오.
8-3. 조기특수교육 담당교사는 어떠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어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9. 학교 시설·설비 기준령(‘92. 10. 1)에 의하면, “유치원 교지의 기준 면적은 원아 수 40인 (1개반)까지는 300m2로 하고, 40인 초과 160인까지는 그 초과하는 원아 1인당 5m2씩을, 160인을 초과할 때에는 그 초과하는 원아 1인당 4m2씩을 가산한 면적으로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로 붙임의 ’유아원의 시설·설비기준‘과 ’특수학교 시설·설비기준령‘을 참고하신 다음 응답해 주십시오.
9-1. 특수유치원의 인가를 위한 최소 면적은 어느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132m2(40평) 이상 2) 165m2(50평) 이상
3) 198m2(60평) 이상
9-2. 유희실(보통교실)의 크기는 어느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반당 1실: 최소 33m2(10평) 2) 반당 1실: 최소 66m2(20평)
(p.169)
3) 반당 1실: 최소 99m2(30평)
9-3. 요육실(개별교실)의 크기는 어느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실당: 13.2m2(4평) 2) 실당: 19.8m2(6평)
3) 실당: 26.4m2(8평) 4) 실당: 33m2(10평)
9-4. 이 외에 어느 정도 크기의 어떤 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
3) ______________ 4) ______________
10. 기타 특수 유치원 설치 기준에 반드시 규정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기록해 주십시오.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끝까지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반송봉투로 곧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저희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금년도 연구사업의 하나로 ‘특수유치원 설치 모형 개발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조기특수교육기관의 실태조사와 그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함과 동시에 특수유치원 설치에 관한 여러분의 의견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특수유치원 설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위와 같은 취지로 작성된 조사의 응답 결과는 본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결코 사용되지 않을 것임을 밝혀둡니다.
아울러 선생님께서 응답해 주신 자료가 우리나라 특수유아교육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점을 생각하시어 바쁘시더라도 정성껏 응답해 주시기 바라며, 작성된 조사지는 반송봉투에 넣어 곧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1995. 12.
국립특수교육원장 올림
<작성요령>
가. 각 문항은 해당 항목에 V표하여 주시거나, ( )안에 내용을 간단 명료하게 기록해 주십시오.
나. 해당 사항이 없으면 기타란에 구체적으로 기록해 주십시오.
문의처: 국립특수교육원 기획연구과
전 화: 0345) 419-0542
(p.166)
1. 현재 조기특수교육기관이 여러 유형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유형들 중에서 설치 인가를 해 주어야 할 유형은 어떠한 것들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특수학교 병설 유치부 2) 일반유치원 병설 특수반
3) 복지관 부설 특수유치부 4) 종교·사회단체 부설 특수유치원
5) 사설(개인) 특수유치원 6) 병·의원 부설 언어치료실
7) 사설(개인) 언어치료실 8) 각종 사설 심리치료실
2. 인가해 줄 수 없는 기관들은 왜 그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최근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보건복지부 산하 종합복지관 또는 장애인복지관이 설립되면서, 동 기관에 아동복지법과 장애인복지법에 의거 특수유아 조기교육부(실)를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그 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대한 운영 방법은 어떠해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1) 특수교육진흥법에 의거 교육부산하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아동복지법과 장애인복지법에 의거 보건복지부 산하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기타 의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167)
4. 공인된 법인(특수학교 또는 복지법인)이나 단체(종교단체 또는 사회단체)인 경우에는 특수유아 조기교육기관으로서 법이 정하는 요건을 갖추면 인가해 줄 수 있겠지만, 인가 요건을 갖추지 못한 개인 소유의 영세 사설기관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계까지 인가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운영자 소유의 기관
2) 일정 수준의 공탁금을 예치한 전세임대기관
3) 전세임대기관 4) 월세임대기관
5) 기타의 인가 조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교사 1인당 담당할 수 있는 특수유아의 최대인원(1개반)은 몇 명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5명 2) 6명 3) 7명 4) 8명 5) 9명 6) 10명
6. 특수 유아 교육기관으로 인가해 주기 위한 최소의 학급 수는 어느 정도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2개반 2) 3개반 3) 4개반 4) 5개반
7. 6번의 인가를 위한 최소 학급 수에 따라 인가를 해주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 유희실(보통교실): ( )개 2) 요육실: ( )개 3) 화장실: ( )개
4) 세면대: ( )개 5) 기타:
8-1. 6번의 ‘인가를 위한 최소의 학급 수’와 7번의 ‘최소의 시설 기준’에 따라 인 (p.168) 가를 해 주기 위해서 교직원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어떠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참고로 유아교육진흥법에 의하면 “원장 또는 원감과 교사를 둘 수 있다.”로 규정되었음) 구체적으로 기록해 주십시오.
8-2. 원장은 어떠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교원자격 검정령의 원장 자격 기준 참조) 구체적으로 기록해 주십시오.
8-3. 조기특수교육 담당교사는 어떠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어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9. 학교 시설·설비 기준령(‘92. 10. 1)에 의하면, “유치원 교지의 기준 면적은 원아 수 40인 (1개반)까지는 300m2로 하고, 40인 초과 160인까지는 그 초과하는 원아 1인당 5m2씩을, 160인을 초과할 때에는 그 초과하는 원아 1인당 4m2씩을 가산한 면적으로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로 붙임의 ’유아원의 시설·설비기준‘과 ’특수학교 시설·설비기준령‘을 참고하신 다음 응답해 주십시오.
9-1. 특수유치원의 인가를 위한 최소 면적은 어느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132m2(40평) 이상 2) 165m2(50평) 이상
3) 198m2(60평) 이상
9-2. 유희실(보통교실)의 크기는 어느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반당 1실: 최소 33m2(10평) 2) 반당 1실: 최소 66m2(20평)
(p.169)
3) 반당 1실: 최소 99m2(30평)
9-3. 요육실(개별교실)의 크기는 어느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실당: 13.2m2(4평) 2) 실당: 19.8m2(6평)
3) 실당: 26.4m2(8평) 4) 실당: 33m2(10평)
9-4. 이 외에 어느 정도 크기의 어떤 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
3) ______________ 4) ______________
10. 기타 특수 유치원 설치 기준에 반드시 규정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기록해 주십시오.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끝까지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반송봉투로 곧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의 목적, 필요성, 내용, 유형등에 대해 설명하시오.
[인간배아복제]인간배아복제의 목적, 인간배아복제의 필요성, 인간배아복제의 이점, 인간배아...
[교육연구][교육연구 유형][교육연구 목적]교육연구의 의미, 교육연구의 유형, 교육연구의 목...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의 필요성, 목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서술하시오 : 사회복...
표준보육과정의 목적과 내용을 제시한 후 표준보육과정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해 자신의 생각...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의 (1)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2) 자신이 속한 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목적과 의의,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와 필요성 및 현황, 대학생 ...
사회복지정책 평가의 개요, 목적, 필요성, 유형 이론과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노인복지] 노인장기요양법의 목적을 설명하고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노인장기요양법]
지역사회 전통문화의 필요성, 지역사회 전통문화를 이용하는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