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SPA 브랜드 유니크로의 한국진출 전략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SPA 브랜드 유니크로의 한국진출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SPA브랜드 유니크로
1.SPA란?
2.일본의 SPA
3.유니크로

Ⅲ.유니크로의 경쟁전략
1. 코스트 다운, 라인업 확대, 오리지널리티 추구
2. 차별화된 VMD 전략
3. 슈퍼스토아 전략
4. 슬림 & 심플한 조직구조
5. 커뮤니케이션 전략

Ⅵ.한국패션 시장 진출
1. 한국 패션시장
2. 경쟁력 창출 전략
3. 롯데백화점과의 합작
4. 철저한 소매점&직영점 중심의 브랜드 운영

Ⅴ.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는 모두 다 알고있기 때문에 더 이상 언급할 필요도 없다. 일반적으로 패션 업체에서 선호하는 것은 매입 거래이고, 그 다음이 위탁 거래다. 그리고 직영 체제는 유통 코스트를 다운시키고 투자비를 감당할 수 있을 때 선호되는 형태다.
하지만 SPA에서는 이 계산이 달라진다. 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SPA의 본질을 충실하게 전개할 수 있는 형태가 SPA의 성공 요건이기 때문이다. 위탁이나 매입 거래는 본사가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 SPA의 본질을 전개하기 어렵고, 또 유통 비용이 많다는 점이 문제점이다. 직영 체제는 중간 마진 부담은 없는 반면 임대료, 판촉비, 판매비, 재고 처리 등 투 자 부담이 크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이처럼 유통 형태에 따라 손익 구조가 틀리고 단순 비교가 어려운 것이 SPA 전개의 문제다. 따라서 SPA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통 형태별 손익 구조를 분석하는 일이다. 먼저 소매 가격의 총액을 계산해야 한다. 상품의 소매 가격의 총액을 놓고 마크다운(Make-Down:판매 가격 인하)이나 재고에 의한 감소를 공제해 실현된 소매 매출을 계산한다. 실현된 소매 매출로부터 인샵(In-Shop)은 원가, 유통비용(입점 수수료, 판매 인건비, 판촉비)와 본사 경비(일반 관리비)를. 직영점은 원가, 매장 임대비(보증금 상각비 포함)와 유통비용(판매 인건비, 판촉비), 본사 경비(일반 관리비) 등을 공제한 것이 실제 매출액이 된다.
이외에 출점 체크 리스트로는 ▶위탁인가, 직영인가 ▶입점(임대) 수수료는 타당한가 ▶초기 투자는 3년 이내에 감가상각이 가능한가 ▶매출 대비 인건비를 12% 미만으로 맞출 수 있는가 ▶매출대비 매장 임대비를 16% 미만으로 할 수 있는가 ▶공익비, 공동판촉비 등이 실질 임대료를 상승시키지 않는가 등이다. 이런 기준들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지 않으면 SPA의 본질을 현실화할 수 없고, 이윤을 극대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리테일 형태의 SPA에서는 새로운 모습의 유통 혁신이 나타난다. 사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리테일 SPA는 상품 소진율과 순이익, 기동성을 동시에 높여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다. 일반적으로 조달 코스트는 소매 가격의 40∼45%, 소진율에 따라 틀리기는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마크다운(판매 가격 인하)이나 로스를 공제한 최종 마진도 45∼50%선이 된다.
45∼50%의 마진이 가능하다면 메이커 형태의 SPA처럼 직영점이나 인샵 형태의 출점도 가능하다. 임대료나 중간 마진 등 전체적인 코스트는 증가하나 자기 부담 코스트가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출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유니크로」다. 「유니크로」는 중국으로부터 대량 조달에 따른 상품 코스트 다운으로 교외점포에서 백화점, 그리고 터미널 패션빌딩까지 진출해 있다.
일반적으로 일본의 터미널 패션 빌딩은 평당 100∼200만엔 정도의 보증금을 공제한 경우가 적지않다. 그러나 SPA에서는 이것을 반으로 줄이고 매출 대비 12%를 임대료로 부담하거나 보즘금 없이 14∼15% 정도의 임대료를 부담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하더라도 이익이 충분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후아유」, 스포츠 슈즈 멀티 브랜드샵 「TAF」 등이 이같은 임대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브랜드 파워가 증가할수록 보증금과 임대료를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선진 SPA 기업이나 브랜드들도 처음부터 이같은 프로세스와 체계가 확립된 것은 아니다. SPA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 본질을 근접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 이들 프로세스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우리에게 맞는 새로운 형태의 프로세스를 개발해야 하고, 또 체계를 세워야 한다.
3.유니크로
일본에서 국민복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옷이 유니크로다
유니크로의 독특함은 먼저 판매전략에서부터 돋보인다. 마치 국민복처럼 똑같은 옷을 수많은 사람들에게 입히려는 듯 일점돌파의 전략이 기본이다. 이상품 저상품에 관심을 두기보다 시장 전만이 확실하면서도 경쟁력이 뛰어난 상품 한두 가지로 승부를 건다는 것이다. 간판 상품인 후리스 재킷은 유니쿠로의 소수정예 전략을 그대로 보여주는 케이스다. 1999년 한해 동안 850만장이 팔려나간 데이어,2000년에는 1200만장이 이상이 팔린 것으로 추정되는 이옷은 일본 의류업계 최고의 빅히드 상품이다. 판매가격은 불과 1900엔(약 2만원). 도교의 허름한 식당에서 서서 먹더라도 우동 한 그릇에 최소한 400엔은 주어야 하는점을 감안하면 우동 다섯 끼 정도에 해당하는 저렴한 수준의 값이다. 도쿄의 책 한 권 가격이 보통 1500엔 전후라고 볼때, 소비자들은 그저 책 한권 값을 웃도는 정도의 돈으로 몇년이고 입을 수 있는 캐주얼 옷을 한벌 장만할 수 있는 셈이다.
값이 싸다고 사이즈와 색상이 극히 한정돼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이옷은 색상만도 50가지에 달한다.도쿄 신주쿠의 세이부신주큐센 역 구내에 자리 잡은 신주쿠점은 계산대만 해도 10개가 넘는다.유니큐로는 생산기지를 100%에 가까울 정도로 중국에 두고 있다. 기획 판매는 일본에서 하되 제조는 전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중국에 맡기는 방식이다. 의류업체들이 기피 대상으로 꼽혀온 소품종, 대량생산 원칙을 역으로 이용한면서 고품질, 저가전략을 철저하게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유니크로의 보이지 않는 경쟁력은 맨파워와 독특한 인사정책에서도 나오고 있다. 이회사 사원들은 그야말로 유니쿠로가 좋아서 옷을 사랑해서 자발적으로 모여든 사람들이다. 그것도 자기들이 다니던 일류기업을 박차고 나와 유니쿠로의 미래에 자신의 젊음을 맡긴 30대 엘리트들이 주축이다.
\"사장이 반드시 의류업계를 혁명적으로 바꿀것을 확신했기 때문에 이 회사에 들어왔습니다.\"
야나이 사장은 수영을 못하는 사람은 물에 빠뜨리면 된다고까지 말할 정도의 과감한 도전정신과 승부사적 기질을 직원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사장의 배짱,그리고 인재 집단의 젊음과 두뇌가 맞아 떨어지면서 유니쿠로의 또라든 성장 엔진이 디고 있는 것이다. 유니크로는 초염가와 양질의 옷으로 소비자들의 사랑을 독차지 하면서도 언제나 겸손한 자세를 잃지 않는다. 옷값에서 거품을
  • 가격3,4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12.15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5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