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이론
■ mouse의 외형 및 내부구조 및 명칭
■ 골 격 계 통
■ mouse 마취법
■ mouse 해부 및 관찰
4. 실험재료
5. 실험 방법
2. 실험목적
3. 이론
■ mouse의 외형 및 내부구조 및 명칭
■ 골 격 계 통
■ mouse 마취법
■ mouse 해부 및 관찰
4. 실험재료
5. 실험 방법
본문내용
의 음핵에 비해 웅성음핵이라고도
부른다.
-음낭 : 음경의 기부에서 뒤쪽으로 향하여 음낭이 있다. 그 속에는 2개의 정소
가 들어있 다. 항문과 음경과의 사이를 회음이라고 한다.
㉡자성외부생식기관
-질공 : 질공은 항문의 앞 배쪽에 있고 항문과 질공과의 사이가 회음이다. 회음
의 위 질공의 바깥쪽 좌우를 둘러싸는 대음순이라고 하는 피부습이란 피부의
주름으로 된 부분이 있다.
-음핵 : 질공의 바로 앞에는 1개의 돌기가 있다. 이것을 음핵이라고 하며 이것
은 수컷의 음경에 비해 자성음경이라고도 부르며 그 맨끝에는 음핵포피의 피부
의 주름으로 싸여지며 수컷의 귀두와 같다.
⑦사지
㉠전지 : 앞다리는 그 기부로부터 상박, 하박, 완, 장, 손가락의 5부분으로 나눈다.
완, 장, 손가락의 3부분을 손이라고 한다. 손가락은 5개 있고 제1지 즉 가장
안쪽의 것은 아주 짧고 제 1지를 제외하고는 그 끝에 어느 것이나 구부러진
손톱을 가지고 있다.
㉡후지 : 뒷다리는 앞다리에 비해서 길고 그 기부로부터 대퇴, 경, 부, 척, 발가락
의 5부분으로 나눈다. 부, 척, 발가락의 3부분을 발이라 한다. 발가락은 5개
있으며 제1, 제5의 양 발가락은 짧고 다섯 발가락은 모두 구부러진 발톱을
가지고 있다.
(2)소화계
① 침샘(salivary glands)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 등 3개의 큰침샘이 있다.
귀밑샘은 제일 큰침샘으로 귀 바로 뒤에서 목의 외축면을 지나 어깨까지 퍼져있다. 귀밑샘 분비물을 운반하는 귀밑샘관은 안면신경과 함께 교근을 교차해서 지난뒤 혀안이 큰어금니 반대쪽에 개구한다.
턱밑샘은 귀밑샘보다 배쪽에 있으며 좀더 앞쪽에 위치한 혀밑샘과 쉽게 구별된다.
침샘들 주위에는 턱밑림프절, 지방조직, 동면샘등이 있어 이들과 침샘과 혼동되기 쉬우나 침샘은 대체로 결합조직에 싸여 있어 구별된다.
② 구강(oral cavity)
앞부분은 입술, 뒤는 인두, 위는 구개, 밑은 혀, 바깥은 볼등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외 치아등이 부속되어 있다.
-입술 :구강이 외측벽인 볼과 구강의 입구
-구강전정 :치아와 입술과 볼사이의 형성된 좁은 앞부분
-치극 :앞니와 어금니 사이이 치아가 없는 부분
-혀 :혀등에 성곽유두, 버섯유두,실유두, 잎새유두등 많은 혀유두가 있다.
-혀주름띠 :혀를 구강바닥에 연결시키고 있는 구조물
-후두덮개 :혀의 뒤에 위치, 후두입구를 열고 닫아 음식물이 인두에서 후두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성대문을 보호한다.
-연구개 :내측날개돌기에 의해 경계지워져 입천장의 경구개 뒤로 계속되는 유연한 부분
-앞니관 :구강과 비강을 연결했던 원시비강의 흔적
③ 인두(pharynx)
구강에 연속되는 막성기관 코인두, 입인두, 후두인두로 구분
-목구멍 :구강과 인두가 연결되는 좁은 부분
-코인두 :연구개위에 있는 공간으로 콧구멍과 후두를 연결
-뒷코구멍 :비강의 뒤쪽 출구로 코인두와 연결되는 부분
-중이관인두구멍 : 코인두의 벽에 위치하는 중이관과 교통하는 입구
-성대문 :후두에 연결되는 틈같은 구멍
-식도입구 :성대문의 등쪽에 위치하는 식도와 연결부분
④ 복강(abdominal cavity)과 흉강(thoracic cavity)
체강은 횡격막에 의해 앞쪽과 뒤쪽으로 이분된다 반은 폐와 심장을 수용하는데 이를 흉강, 뒤쪽 반은 소장, 대장, 간, 췌장, 비장, 신장 등을 수용하는데 이를 복강이라 한다.
심장이나 폐, 소장, 대장 같은 내장기관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때로는 격렬하게 움직일때가 있다. 그러나 내장기관을 손상시킬지도 모를 이와 같은 운동이 일어나도 내장기관은 손상되지 않는다. 그것은 이들 기관주위에 잇는 장액의윤활효과 때문임. 장액은 얇고 투명한 장막에서 생산 이들 장막이 복강내면을 덮으면 복막이라 하고 흉강내면을 덮으면 흉막이라 한다.
흉막중 폐를 싸는 흉막을 폐쪽 흉막이라 하고 흉강내면을 덮으면 벽쪽흉막이라 한다.
심장을 싸는 흉막을 심장막이라 하는데 마치 비닐처럼 얇은 막이다. 이것은 2겹막으로 직접 심장과 접하고 있는 것을 내장쪽 심장막이라 하며 밖의 것을 벽쪽 심장막이라 함. 이 2막 사이는 심장막강을 이루며 소량의 심장막액이 들어 잇어 심장 박동시 주위 조직과 마찰을 방지함
흉막강내에서는 심장을 중심으로 흉강을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누는 종격을 볼수 있음. 종격은 심장, 대동맥, 후대정맥, 식도 흉선 그리고 지방조직 및 종경을 덮는 흉막 등으로 구성되어 잇는 오른쪽과 왼쪽 흉막강 사이의 격벽이다.이점은 인체의 종격이 오르쪽과 왼쪽 폐사이에 있는 가상의 공간을 지칭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구조물임
복강내면을 싸는 복막중 복강내면을 직접싸는 복막을 벽쪽복막이라 함 2개 이상의 내장을 결합하거나 또는 내장을 벽측복막에 연결하는 복막을 결합복막이라 하는데 이들은 대체로 2겹으로 구성. 장간막, 망막, 인대가 여기에 속함. 발생학적으로 볼때 등쪽 장간막과 배쪽장간막등 2개의 장간막이 있으나 배쪽장간막은 후기 배자 발생기간중 완전히 사라지며 등쪽 장간막만 남게 된다. 성숙한 쥐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배쪽 장간막은 후기 배자 발생기간 중에 완전히 사라지며 등쪽 장간막만 남게 된다. 성숙한 쥐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배쪽 장간막은 등쪽체벽과 횡격막으로부터 간의 세로틈새 사이에 위치하는 낫인대, 위의 작은만곡에서 간에 걸쳐있는 소망 배쪽체벽과 방광을 연결하는 걸이인대 등이 있음
내장쪽복막은 그것이 붙는 개개의 내장기관에 따라 이름이 달라짐
위의큰만곡과 등쪽 체벽을 이루는 복막은 소장과 대장의 배쪽면을 덮는 커다란 앞치마 모양의 주름이 된다. 이때 이 복막을 대망이라 함 복강을 열면 이 대망은 쉽게 보임
⑤식도(esophage)
인두와 위사이를 연결하는 근육성관. 조직학적으로 일반 유강장기와 같이 점막, 점막밑조직,근육층, 장막 4층으로 구분된다. 점막은 두꺼운 중층편평상피이다. 상피층의 바로 아래층은 점막근육판이라 불리는 아주 얇은 평활근층이 있다. 점막근육판과 상피 사이에는 결합조직의 약간 넓은 층인 점막고유판이 있다. 점막고유판과 두꺼운 근육층사이에는 점막고유판보다 2배나 넓은 성긴아교섬유결합조직의층이 있어 이를 점막밑조직이라 한다. 근
부른다.
-음낭 : 음경의 기부에서 뒤쪽으로 향하여 음낭이 있다. 그 속에는 2개의 정소
가 들어있 다. 항문과 음경과의 사이를 회음이라고 한다.
㉡자성외부생식기관
-질공 : 질공은 항문의 앞 배쪽에 있고 항문과 질공과의 사이가 회음이다. 회음
의 위 질공의 바깥쪽 좌우를 둘러싸는 대음순이라고 하는 피부습이란 피부의
주름으로 된 부분이 있다.
-음핵 : 질공의 바로 앞에는 1개의 돌기가 있다. 이것을 음핵이라고 하며 이것
은 수컷의 음경에 비해 자성음경이라고도 부르며 그 맨끝에는 음핵포피의 피부
의 주름으로 싸여지며 수컷의 귀두와 같다.
⑦사지
㉠전지 : 앞다리는 그 기부로부터 상박, 하박, 완, 장, 손가락의 5부분으로 나눈다.
완, 장, 손가락의 3부분을 손이라고 한다. 손가락은 5개 있고 제1지 즉 가장
안쪽의 것은 아주 짧고 제 1지를 제외하고는 그 끝에 어느 것이나 구부러진
손톱을 가지고 있다.
㉡후지 : 뒷다리는 앞다리에 비해서 길고 그 기부로부터 대퇴, 경, 부, 척, 발가락
의 5부분으로 나눈다. 부, 척, 발가락의 3부분을 발이라 한다. 발가락은 5개
있으며 제1, 제5의 양 발가락은 짧고 다섯 발가락은 모두 구부러진 발톱을
가지고 있다.
(2)소화계
① 침샘(salivary glands)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 등 3개의 큰침샘이 있다.
귀밑샘은 제일 큰침샘으로 귀 바로 뒤에서 목의 외축면을 지나 어깨까지 퍼져있다. 귀밑샘 분비물을 운반하는 귀밑샘관은 안면신경과 함께 교근을 교차해서 지난뒤 혀안이 큰어금니 반대쪽에 개구한다.
턱밑샘은 귀밑샘보다 배쪽에 있으며 좀더 앞쪽에 위치한 혀밑샘과 쉽게 구별된다.
침샘들 주위에는 턱밑림프절, 지방조직, 동면샘등이 있어 이들과 침샘과 혼동되기 쉬우나 침샘은 대체로 결합조직에 싸여 있어 구별된다.
② 구강(oral cavity)
앞부분은 입술, 뒤는 인두, 위는 구개, 밑은 혀, 바깥은 볼등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외 치아등이 부속되어 있다.
-입술 :구강이 외측벽인 볼과 구강의 입구
-구강전정 :치아와 입술과 볼사이의 형성된 좁은 앞부분
-치극 :앞니와 어금니 사이이 치아가 없는 부분
-혀 :혀등에 성곽유두, 버섯유두,실유두, 잎새유두등 많은 혀유두가 있다.
-혀주름띠 :혀를 구강바닥에 연결시키고 있는 구조물
-후두덮개 :혀의 뒤에 위치, 후두입구를 열고 닫아 음식물이 인두에서 후두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성대문을 보호한다.
-연구개 :내측날개돌기에 의해 경계지워져 입천장의 경구개 뒤로 계속되는 유연한 부분
-앞니관 :구강과 비강을 연결했던 원시비강의 흔적
③ 인두(pharynx)
구강에 연속되는 막성기관 코인두, 입인두, 후두인두로 구분
-목구멍 :구강과 인두가 연결되는 좁은 부분
-코인두 :연구개위에 있는 공간으로 콧구멍과 후두를 연결
-뒷코구멍 :비강의 뒤쪽 출구로 코인두와 연결되는 부분
-중이관인두구멍 : 코인두의 벽에 위치하는 중이관과 교통하는 입구
-성대문 :후두에 연결되는 틈같은 구멍
-식도입구 :성대문의 등쪽에 위치하는 식도와 연결부분
④ 복강(abdominal cavity)과 흉강(thoracic cavity)
체강은 횡격막에 의해 앞쪽과 뒤쪽으로 이분된다 반은 폐와 심장을 수용하는데 이를 흉강, 뒤쪽 반은 소장, 대장, 간, 췌장, 비장, 신장 등을 수용하는데 이를 복강이라 한다.
심장이나 폐, 소장, 대장 같은 내장기관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때로는 격렬하게 움직일때가 있다. 그러나 내장기관을 손상시킬지도 모를 이와 같은 운동이 일어나도 내장기관은 손상되지 않는다. 그것은 이들 기관주위에 잇는 장액의윤활효과 때문임. 장액은 얇고 투명한 장막에서 생산 이들 장막이 복강내면을 덮으면 복막이라 하고 흉강내면을 덮으면 흉막이라 한다.
흉막중 폐를 싸는 흉막을 폐쪽 흉막이라 하고 흉강내면을 덮으면 벽쪽흉막이라 한다.
심장을 싸는 흉막을 심장막이라 하는데 마치 비닐처럼 얇은 막이다. 이것은 2겹막으로 직접 심장과 접하고 있는 것을 내장쪽 심장막이라 하며 밖의 것을 벽쪽 심장막이라 함. 이 2막 사이는 심장막강을 이루며 소량의 심장막액이 들어 잇어 심장 박동시 주위 조직과 마찰을 방지함
흉막강내에서는 심장을 중심으로 흉강을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누는 종격을 볼수 있음. 종격은 심장, 대동맥, 후대정맥, 식도 흉선 그리고 지방조직 및 종경을 덮는 흉막 등으로 구성되어 잇는 오른쪽과 왼쪽 흉막강 사이의 격벽이다.이점은 인체의 종격이 오르쪽과 왼쪽 폐사이에 있는 가상의 공간을 지칭하는 것과는 달리 실제 구조물임
복강내면을 싸는 복막중 복강내면을 직접싸는 복막을 벽쪽복막이라 함 2개 이상의 내장을 결합하거나 또는 내장을 벽측복막에 연결하는 복막을 결합복막이라 하는데 이들은 대체로 2겹으로 구성. 장간막, 망막, 인대가 여기에 속함. 발생학적으로 볼때 등쪽 장간막과 배쪽장간막등 2개의 장간막이 있으나 배쪽장간막은 후기 배자 발생기간중 완전히 사라지며 등쪽 장간막만 남게 된다. 성숙한 쥐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배쪽 장간막은 후기 배자 발생기간 중에 완전히 사라지며 등쪽 장간막만 남게 된다. 성숙한 쥐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배쪽 장간막은 등쪽체벽과 횡격막으로부터 간의 세로틈새 사이에 위치하는 낫인대, 위의 작은만곡에서 간에 걸쳐있는 소망 배쪽체벽과 방광을 연결하는 걸이인대 등이 있음
내장쪽복막은 그것이 붙는 개개의 내장기관에 따라 이름이 달라짐
위의큰만곡과 등쪽 체벽을 이루는 복막은 소장과 대장의 배쪽면을 덮는 커다란 앞치마 모양의 주름이 된다. 이때 이 복막을 대망이라 함 복강을 열면 이 대망은 쉽게 보임
⑤식도(esophage)
인두와 위사이를 연결하는 근육성관. 조직학적으로 일반 유강장기와 같이 점막, 점막밑조직,근육층, 장막 4층으로 구분된다. 점막은 두꺼운 중층편평상피이다. 상피층의 바로 아래층은 점막근육판이라 불리는 아주 얇은 평활근층이 있다. 점막근육판과 상피 사이에는 결합조직의 약간 넓은 층인 점막고유판이 있다. 점막고유판과 두꺼운 근육층사이에는 점막고유판보다 2배나 넓은 성긴아교섬유결합조직의층이 있어 이를 점막밑조직이라 한다. 근
추천자료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에 대한 스니피 실험 결과 보고서
[물리학] 일반물리학, 공학물리학 실험레포트
연합주의와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실험과정와 행동치료프로그램의 특징 설명
[대학생물학] 곰팡이 및 아메바 관찰 실험보고서
[대학생물학] 곰팡이 및 아메바 관찰 실험보고서
지구중력권부하 조건시 흰생쥐 반중력근의 최대근동력측정
3)과학-동물의_한살이-배추흰나비의 모습을 관찰하고 한 살이 과정 살펴보기
[영화 감상문] 가타카 (Gattaca) - 어떠한 과학이 인류에게 필요한가 : 영화 가타카와 동물실험
[조리원리] 어패류, 간장에 대한 조리원리실험
식물, 생리, 생태 실험 -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파종
[독후감]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 세상을 바꾼 위대한 심리 실험 10장면
생물학실험 -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식물세포와 동물세포 관찰실험
로렌 슬레이터의 스키너의 심리 상자 열기를 읽고 (세상을 뒤바꾼 위대한 심리 실험 10장면)
공포가 주의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 실험 중 역하자극을 이용한 실험을 소개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