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식사요법의 개요
2. 위장질환의 식사요법
3. 장/부속기관질환의 식사요법
4. 간, 담낭, 췌장질환의 식사요법
5. 비만의 식사요법
<기타 기출문제>
2. 위장질환의 식사요법
3. 장/부속기관질환의 식사요법
4. 간, 담낭, 췌장질환의 식사요법
5. 비만의 식사요법
<기타 기출문제>
본문내용
저콜레스테롤식
4) 췌장염
① 급성췌장질환의 식이요법: 3~5일 절식, CHO 위주 식사(Pro, fat 제한)
② 회복에 따른 췌장질환의 식이요법: 주공급원 CHO→Pro→fat 마지막까지 제한(MCT or 유화지방, 지용성vit 공급)
- 회복기: 식욕과 소화능력에 따라 당질과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 지질은 20g으로 제한.
- 췌장염의 경우 부종이 생기기 쉬우므로 유동식을 섭취시 식염 3g/day 이내 제한. 과식은 절대 금물
- 커피, 홍차, 술, 향신료등 자극성 음식은 금하며 음식의 온도는 너무 차지 않게 한다.
5. 비만 식사요법
1) 비만인을 LBM으로 정의 [LBM: 제지방량 수분+고형물]
LBM이 동일한 경우 비만인은 지방량 많은 경우,
체중이 동일할 때 비만인은 꺼꾸로 수분과 고형물이 적은 경우
2) 비만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서술
┌ 성인형: 지방세포 크기↑ (지방세포비대형)
├ 소아형: 지방세포 수↑(지방세포증식형)
└ 혼합형: 소아비만이 성인비만이 될 확률이 ↑
┌ 남성형: 중심형, 사과형, 내장지방형, 복부비만
└ 여성형: 말포형, 서양배형, 피하지방형, 하체비만
※ 남성형: LPL(lipoprotein lipase)효소활성이 더↑→더 잘 분해→혈액으로 더 유입 →혈중지질↑→ 성인병 유발률↑
3) 비만의 판정기준? (체격지수-키, 체중) but 정확한 판정은 체지방율로
BMI(Quetelet\'s index)=(kg/m2) 비만: ≥25, 과체중:≥ 23
체지방율 男 ≥ 25, 女 ≥ 30
WHR 男 ≥ 0.95~1 女 ≥ 0.85
이상체중비=(실제체중/표준체중x100) ≥ 120% (* 표준체중: Broca법 [(신장cm-100)X0.9]
(cf) Kaup 지수: 영유아 비만도(학령기전 아동) =(kg/cm2X104) ≥20
Rhrer 지수: 학령기 아동 =(kg/cm3X107)=(g/cm3X104) 키 110~129: ≥ 180
130~139: ≥ 170
150이상 : ≥ 160
4) 비만의 합병증은? 심혈관계 질환: 심장병, 고혈압, 고지혈증, 뇌졸증
내분비계 질환: 당뇨
소화기계 질환: 지방간, 간경변증, 담낭
골격계 질환, 통풍, 호흡, 피부, 암
5) 식이요법은? 저열량, 질소평형식이, 지방 20% 정도(PUFA쪽), 당은 최소 100g이상(ketosis 예방)
체지방량 1kg 줄이려면 = 순수지방 비율 85% =850g X 9 = 7650 ≒ 7700kcal
6) 행동수정요법은?
비만을 후천적으로 배운 행동장애로 생각 → 비만을 가져오는 좋지않은 행동을 구체적으로 파악 → 행동 수정
→ 비만 개선
[예] 입원한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일상적으로 적용되는 혈액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5
① 알부민 ② 콜레스테롤 ③ 헤모글로빈 ④ 총임파구수(TLC) ⑤ 프로트롬빈 타임
prothrombin time: Vit K결핍 여부 판정하는 검사항목(일반환자에게 일상적으로 측정되지 않음.
알부민-단백질, 콜레스테롤-지방대사, TLC-면역기능, Hb-Fe영양상태 반영(일상 측정 항목)
[예] 어느 입원환자의 영양상태를 조사한 결과, 체중이 정상체중의 92%, 혈청 알부민 농도가 2.8g/dl, 사지에 부종이 있으며, 피부와 머리카락이 부분적으로 탈색되어 있었다. 최종 영양판정은 어느것에 해당? 1
① 콰시오커 ② 골다공증 ③ 마라스무스 ④ 단순 갑상선종 ⑤ 철 결핍성 빈혈
[예] 단백질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생화학적 검사 항목은? 3
① 혈청 페리틴 ② 혈청 빌리루빈 ③ 혈청 트랜스페린 ④ 혈청 LDL-콜레스테롤 ⑤ 적혈구 프로토포피린
serum transferrin-Fe영양상태 평가, 단백질 부족, 내장 단백 감소시
4) 췌장염
① 급성췌장질환의 식이요법: 3~5일 절식, CHO 위주 식사(Pro, fat 제한)
② 회복에 따른 췌장질환의 식이요법: 주공급원 CHO→Pro→fat 마지막까지 제한(MCT or 유화지방, 지용성vit 공급)
- 회복기: 식욕과 소화능력에 따라 당질과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 지질은 20g으로 제한.
- 췌장염의 경우 부종이 생기기 쉬우므로 유동식을 섭취시 식염 3g/day 이내 제한. 과식은 절대 금물
- 커피, 홍차, 술, 향신료등 자극성 음식은 금하며 음식의 온도는 너무 차지 않게 한다.
5. 비만 식사요법
1) 비만인을 LBM으로 정의 [LBM: 제지방량 수분+고형물]
LBM이 동일한 경우 비만인은 지방량 많은 경우,
체중이 동일할 때 비만인은 꺼꾸로 수분과 고형물이 적은 경우
2) 비만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서술
┌ 성인형: 지방세포 크기↑ (지방세포비대형)
├ 소아형: 지방세포 수↑(지방세포증식형)
└ 혼합형: 소아비만이 성인비만이 될 확률이 ↑
┌ 남성형: 중심형, 사과형, 내장지방형, 복부비만
└ 여성형: 말포형, 서양배형, 피하지방형, 하체비만
※ 남성형: LPL(lipoprotein lipase)효소활성이 더↑→더 잘 분해→혈액으로 더 유입 →혈중지질↑→ 성인병 유발률↑
3) 비만의 판정기준? (체격지수-키, 체중) but 정확한 판정은 체지방율로
BMI(Quetelet\'s index)=(kg/m2) 비만: ≥25, 과체중:≥ 23
체지방율 男 ≥ 25, 女 ≥ 30
WHR 男 ≥ 0.95~1 女 ≥ 0.85
이상체중비=(실제체중/표준체중x100) ≥ 120% (* 표준체중: Broca법 [(신장cm-100)X0.9]
(cf) Kaup 지수: 영유아 비만도(학령기전 아동) =(kg/cm2X104) ≥20
Rhrer 지수: 학령기 아동 =(kg/cm3X107)=(g/cm3X104) 키 110~129: ≥ 180
130~139: ≥ 170
150이상 : ≥ 160
4) 비만의 합병증은? 심혈관계 질환: 심장병, 고혈압, 고지혈증, 뇌졸증
내분비계 질환: 당뇨
소화기계 질환: 지방간, 간경변증, 담낭
골격계 질환, 통풍, 호흡, 피부, 암
5) 식이요법은? 저열량, 질소평형식이, 지방 20% 정도(PUFA쪽), 당은 최소 100g이상(ketosis 예방)
체지방량 1kg 줄이려면 = 순수지방 비율 85% =850g X 9 = 7650 ≒ 7700kcal
6) 행동수정요법은?
비만을 후천적으로 배운 행동장애로 생각 → 비만을 가져오는 좋지않은 행동을 구체적으로 파악 → 행동 수정
→ 비만 개선
[예] 입원한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일상적으로 적용되는 혈액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5
① 알부민 ② 콜레스테롤 ③ 헤모글로빈 ④ 총임파구수(TLC) ⑤ 프로트롬빈 타임
prothrombin time: Vit K결핍 여부 판정하는 검사항목(일반환자에게 일상적으로 측정되지 않음.
알부민-단백질, 콜레스테롤-지방대사, TLC-면역기능, Hb-Fe영양상태 반영(일상 측정 항목)
[예] 어느 입원환자의 영양상태를 조사한 결과, 체중이 정상체중의 92%, 혈청 알부민 농도가 2.8g/dl, 사지에 부종이 있으며, 피부와 머리카락이 부분적으로 탈색되어 있었다. 최종 영양판정은 어느것에 해당? 1
① 콰시오커 ② 골다공증 ③ 마라스무스 ④ 단순 갑상선종 ⑤ 철 결핍성 빈혈
[예] 단백질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생화학적 검사 항목은? 3
① 혈청 페리틴 ② 혈청 빌리루빈 ③ 혈청 트랜스페린 ④ 혈청 LDL-콜레스테롤 ⑤ 적혈구 프로토포피린
serum transferrin-Fe영양상태 평가, 단백질 부족, 내장 단백 감소시
추천자료
[감기,페렴] 감기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식이요법(코감기,기침감기,열감기), 폐렴의 원인과 ...
[신장질환] 사구체신염과 신증후군(네프로시스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사요법(식이...
[소화성궤양] 소화성 궤양의 원인과 증상 및 임상검사, 소화성 궤양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식...
[고혈압] 고혈압의 원인과 증상 및 임상검사, 고혈압 영양대사장애, 고혈압 치료를 위한 식사...
[동맥경화와 고지혈증] 동맥경화 및 고지혈증의 원인과 증상 및 임상검사, 동맥경화와 고지혈...
[심장질환] 심장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임상증상, 심혈관계질환, 영양대사장애, 심장질환 치...
[위하수] 위하수의 증상(특징)과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식사요법)
[사구체신염] 급성 사구체신염과 만성 사구체신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식이요법(식사요법)
[신결석] 신결석의 원인과 종류 및 증상, 신결석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식사요법)
[식도질환] 식도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증상, 연하곤란의 원인과 배경 및 식이요법(식사요법)...
[만성신부전] 만성 신부전의 원인과 증상, 만성 신부전 치료방법과 식이요법(식사요법)
[울혈성 심부전] 울혈성 심장질환(울혈성심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식이요법-식사요법)
[변비] 변비의 종류와 원인 및 치료방법 - 이완성 변비와 경련성 변비의 원인과 식이요법(식...
[췌장염] 급성 췌장염 및 만성 췌장염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식이요법-식사요법), 췌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