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본문내용
기록
>Yanomamo족이란?
세계에서 가장 포악한 민족
1980년 현재 8500명(브라질과 베네수엘라 국경지대 거주)
전통적 사회조직과 생계경제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마지막 몇 부족중 하나
아마존강 통과 북부고속도로
거대한 관산 개발
=>이로 인해 독립성 위험, 생존 위협
>피해상황:
고속도로 인부들에 의한 질병(인플루엔자, 결핵, 홍역)
-100km 주변의 15개 마을 파괴
폴튜칼 사용 거부, 경작지 파괴
(대책)21개 보호구역 만듬(58개 마을, 2900명 제외)
고속도로, 소로, 만든 보호구역 통과
인구보존
생태계보존
생존적 욕구에 대한 대책 무
이익 개발 앞에 문화적 인종적 말살
11장 이스터섬의 몰락
1. 환경과 삶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 (30년 전)의 풍경 :
(질문)“한 달에 한번/2주에 한번/1주일에 한번 목욕하는 사람은?”
(응답)2주일에 1회->1개월에 1회->1주일에 1회의 순
(이에 대한 해석)
“예전에는 참 지저분하게 살았다”
=>과연 그럴까?
(그 당시의 환경은?)
당시의 물, 공기, 땅은 깨끗. 한강의 백사장에 수영객 다수. 겨울에는 꽁꽁 언 강위로 사람과 마차가 지나감
(지금은 어떠한가?)
얼지 않는 한강 물
(그 원인)많은 사람들이 더운물로 샤워, 환경세제로 세탁. 물비누로 설거지:“깨끗한 생활”
>청결과 환경오염의 문제:
개인의 청결 기준이 조금씩 오르면 주변 환경은 기하급수적으로 오염
우리의 잦은 목욕이 과연 선진국의 증거일까?
현상①아파트 생활문화
현상②섬나라(고온다습)의 목욕문화
현상③영어문화권의 과도한 청결, 위생 집착의 화장실 문화의 유입
프랑스, 네덜란드 등 건조한 유럽의 대륙의 문화
한국, 중국, 몽고등 아시아 대륙의 문화
=>비교적 건조한 대륙성 기후에 적응하여 발달. 실제로는 자주 몸을 씻지 않음.
(이유)일본 식민지 시대에 강요된 청결에 대한 열등감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
12억 중국인이 자주 씻으면 황해는...
중국대륙의 자전거 대신 자동차로 덮히면 그 공해물질은 어디로...
>일상생활의 풍요로움과 환경문제:
이스터 섬의 수수께끼, 모아이
지난 30년간의 식생활의 변화:
고기,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빵, 과자의 대량소비->식량자금률 80%->20%로 감소
(옥수수, 밀가루 등의 대량 수입)
음식물 쓰레기: 가장 지독한 오염물질의 하나
(1995년 현재, 음식물 쓰레기 8조원 어치)
에너지(석유 등)
식량
원자재의 공급이 끊어진다면 한국사회는 어떻게 될까?
에너지와 자원을 낭비하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지역적, 지구적 차원의 자연순환체계 파괴
개인의 삶의 방식의 변화->사회의 생활문화 변화->지역의 자연환경, 지구적 생태균형 변화->개인의 삶의 방식의 변화(=순환적 변화)
결과적으로 환경문제=문화의 문제
오늘날 빠른 속도로 지구상의 획일적이고 표준적인 삶의 양식을 만들어가는 서구적 생활문화와 가치관을 경계. 다시 말해서 획일적 문화통합과 가치관의 표준화 현상은 인류생존의 가능성 자체를 감소시켜내는 일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 문명의 흥망과정:
인류사회의 미래에 대한 경고
(재러드 다이아몬드, Jared Diamond의 연구)
1500여년 전 최초로 이스터 섬에 입도한 사람들이 고도로 조직적인 문명을 만들어낸 과정 소개
자연환경 훼손->문명 자체를 파괴->최소한의 식량x->식인등 자멸의 길
>이스터 섬의 몰락: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글에서
사라져버린 문명들:
크메르
마야
아나사지(Pleblo Indian의 절벽틈새에 지은 도시)
이스터 섬
>이스터 섬의 개요(요약)
이스터 섬이란?
폴리네시아인들이 건설한 거대한 석상들과 메마른 정경이 남겨져 있는 곳
고생물학자들이 이스터섬 발굴
면석: 168km2
위치: 태평양(주변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곳)
기후: 온화(아열대지역에 위치)
토지: 비옥
역사: 1772.4.5(부활절) 네덜란드 탐험가 르헤벤발견.
->발견 당시 불모의 땅. 주민들. 땔 나무 없이 겨울 나고 닭이 유일한 가축
18세기-19세기 초 이스터섬을 방문한 유럽인들.
->이 섬의 인구 2천명 추정.
1774년 James Cook선장 방문
->이 섬의 주민은 폴리네시아인=원래는 훌륭한 선원
카누, 수영으로 접근
2인이상 승선할 수 있는 카누는 서너척
420km 떨어진 무인도 왕래 주장
이스터 섬의 문명: 200개가 넘는 석상
대규모의 돌 제단 위에 건립
700개 이상의 석상들이 채석장 주변과 옛 도록 위에 산재
높이 10m 무게 82톤
채석장-건립지 10km거리
최대높이 20m, 무게 270톤
돌계단-길이 150m, 높이 3m
=>르헤벤이 목격한 것과는 다른 사회의 존재 양식
(증거물)
석상재료의 돌
석상의 왕관 붉은 돌
조각용구의 재료 돌
고도로 발달된 정치 조식
>이스터 섬의 미스테리:
아메리카 인디언의 정착(?)
초현대적 장비 잦춘 외계인의 작품(?)
>이스터 섬의 문화가 폴리네시아 문화에서 유래했다는 증거:
언어: 폴리네시아 방언
낚시도구, 손도끼: 폴리네시아 특유의 형태
농작물: 아시아 기원의 폴리네시아 특유의 농작물
닭: 아시아의 동물
인골의 DNA검사 결과: 폴리네시아 인의 DNA와 동일
=>고고학적 발굴, 꽃가루 운석, 화석학 연구결과로 증명
<이에 대한 설명>
고고학적 발굴-1955년 이후의 고고학적 발굴: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A. D. 400-700년대 거주 시작
석상: 1200-1500년대 걸립
인구: 7000-20000명 추정
-석상조각과 건립 실험 결과: 20명, 1년간 석제 조각칼 이용, 가장 큰 석상 제작 가능
이동-수백명, 나무 썰매를 이용, 나무 굴림대로 운반
통나무 지레로 석상 걸립
밧줄-‘하우하우’ 작은 나무의 섬유조직 이용
*꽃가루 분석-늪이나 연못의 퇴적물을 기둥 모양으로 파내어 이를 분석하는 기술
퇴적층의 나이-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으로 파악
각 층의 꽃가루 분석
3만년 전부터 생명체 존재
아열대 숲, 야자나무 열매는 식량, 수액으로 설탕, 시럽, 꿀, 와인 만듬
쓰레기 더미의 발굴-A. D. 900-1300년대 쓰레기 더미
-뼈의 1/4이 생선뼈 (그 중 1/3이 고래뼈)
고래, 바다새(25종), 성새, 쥐, 바다표범을 식량으로 이용
“새를 끊인 스프”에 쥐고기를
>Yanomamo족이란?
세계에서 가장 포악한 민족
1980년 현재 8500명(브라질과 베네수엘라 국경지대 거주)
전통적 사회조직과 생계경제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마지막 몇 부족중 하나
아마존강 통과 북부고속도로
거대한 관산 개발
=>이로 인해 독립성 위험, 생존 위협
>피해상황:
고속도로 인부들에 의한 질병(인플루엔자, 결핵, 홍역)
-100km 주변의 15개 마을 파괴
폴튜칼 사용 거부, 경작지 파괴
(대책)21개 보호구역 만듬(58개 마을, 2900명 제외)
고속도로, 소로, 만든 보호구역 통과
인구보존
생태계보존
생존적 욕구에 대한 대책 무
이익 개발 앞에 문화적 인종적 말살
11장 이스터섬의 몰락
1. 환경과 삶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 (30년 전)의 풍경 :
(질문)“한 달에 한번/2주에 한번/1주일에 한번 목욕하는 사람은?”
(응답)2주일에 1회->1개월에 1회->1주일에 1회의 순
(이에 대한 해석)
“예전에는 참 지저분하게 살았다”
=>과연 그럴까?
(그 당시의 환경은?)
당시의 물, 공기, 땅은 깨끗. 한강의 백사장에 수영객 다수. 겨울에는 꽁꽁 언 강위로 사람과 마차가 지나감
(지금은 어떠한가?)
얼지 않는 한강 물
(그 원인)많은 사람들이 더운물로 샤워, 환경세제로 세탁. 물비누로 설거지:“깨끗한 생활”
>청결과 환경오염의 문제:
개인의 청결 기준이 조금씩 오르면 주변 환경은 기하급수적으로 오염
우리의 잦은 목욕이 과연 선진국의 증거일까?
현상①아파트 생활문화
현상②섬나라(고온다습)의 목욕문화
현상③영어문화권의 과도한 청결, 위생 집착의 화장실 문화의 유입
프랑스, 네덜란드 등 건조한 유럽의 대륙의 문화
한국, 중국, 몽고등 아시아 대륙의 문화
=>비교적 건조한 대륙성 기후에 적응하여 발달. 실제로는 자주 몸을 씻지 않음.
(이유)일본 식민지 시대에 강요된 청결에 대한 열등감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
12억 중국인이 자주 씻으면 황해는...
중국대륙의 자전거 대신 자동차로 덮히면 그 공해물질은 어디로...
>일상생활의 풍요로움과 환경문제:
이스터 섬의 수수께끼, 모아이
지난 30년간의 식생활의 변화:
고기,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빵, 과자의 대량소비->식량자금률 80%->20%로 감소
(옥수수, 밀가루 등의 대량 수입)
음식물 쓰레기: 가장 지독한 오염물질의 하나
(1995년 현재, 음식물 쓰레기 8조원 어치)
에너지(석유 등)
식량
원자재의 공급이 끊어진다면 한국사회는 어떻게 될까?
에너지와 자원을 낭비하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지역적, 지구적 차원의 자연순환체계 파괴
개인의 삶의 방식의 변화->사회의 생활문화 변화->지역의 자연환경, 지구적 생태균형 변화->개인의 삶의 방식의 변화(=순환적 변화)
결과적으로 환경문제=문화의 문제
오늘날 빠른 속도로 지구상의 획일적이고 표준적인 삶의 양식을 만들어가는 서구적 생활문화와 가치관을 경계. 다시 말해서 획일적 문화통합과 가치관의 표준화 현상은 인류생존의 가능성 자체를 감소시켜내는 일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 문명의 흥망과정:
인류사회의 미래에 대한 경고
(재러드 다이아몬드, Jared Diamond의 연구)
1500여년 전 최초로 이스터 섬에 입도한 사람들이 고도로 조직적인 문명을 만들어낸 과정 소개
자연환경 훼손->문명 자체를 파괴->최소한의 식량x->식인등 자멸의 길
>이스터 섬의 몰락: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글에서
사라져버린 문명들:
크메르
마야
아나사지(Pleblo Indian의 절벽틈새에 지은 도시)
이스터 섬
>이스터 섬의 개요(요약)
이스터 섬이란?
폴리네시아인들이 건설한 거대한 석상들과 메마른 정경이 남겨져 있는 곳
고생물학자들이 이스터섬 발굴
면석: 168km2
위치: 태평양(주변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곳)
기후: 온화(아열대지역에 위치)
토지: 비옥
역사: 1772.4.5(부활절) 네덜란드 탐험가 르헤벤발견.
->발견 당시 불모의 땅. 주민들. 땔 나무 없이 겨울 나고 닭이 유일한 가축
18세기-19세기 초 이스터섬을 방문한 유럽인들.
->이 섬의 인구 2천명 추정.
1774년 James Cook선장 방문
->이 섬의 주민은 폴리네시아인=원래는 훌륭한 선원
카누, 수영으로 접근
2인이상 승선할 수 있는 카누는 서너척
420km 떨어진 무인도 왕래 주장
이스터 섬의 문명: 200개가 넘는 석상
대규모의 돌 제단 위에 건립
700개 이상의 석상들이 채석장 주변과 옛 도록 위에 산재
높이 10m 무게 82톤
채석장-건립지 10km거리
최대높이 20m, 무게 270톤
돌계단-길이 150m, 높이 3m
=>르헤벤이 목격한 것과는 다른 사회의 존재 양식
(증거물)
석상재료의 돌
석상의 왕관 붉은 돌
조각용구의 재료 돌
고도로 발달된 정치 조식
>이스터 섬의 미스테리:
아메리카 인디언의 정착(?)
초현대적 장비 잦춘 외계인의 작품(?)
>이스터 섬의 문화가 폴리네시아 문화에서 유래했다는 증거:
언어: 폴리네시아 방언
낚시도구, 손도끼: 폴리네시아 특유의 형태
농작물: 아시아 기원의 폴리네시아 특유의 농작물
닭: 아시아의 동물
인골의 DNA검사 결과: 폴리네시아 인의 DNA와 동일
=>고고학적 발굴, 꽃가루 운석, 화석학 연구결과로 증명
<이에 대한 설명>
고고학적 발굴-1955년 이후의 고고학적 발굴: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A. D. 400-700년대 거주 시작
석상: 1200-1500년대 걸립
인구: 7000-20000명 추정
-석상조각과 건립 실험 결과: 20명, 1년간 석제 조각칼 이용, 가장 큰 석상 제작 가능
이동-수백명, 나무 썰매를 이용, 나무 굴림대로 운반
통나무 지레로 석상 걸립
밧줄-‘하우하우’ 작은 나무의 섬유조직 이용
*꽃가루 분석-늪이나 연못의 퇴적물을 기둥 모양으로 파내어 이를 분석하는 기술
퇴적층의 나이-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으로 파악
각 층의 꽃가루 분석
3만년 전부터 생명체 존재
아열대 숲, 야자나무 열매는 식량, 수액으로 설탕, 시럽, 꿀, 와인 만듬
쓰레기 더미의 발굴-A. D. 900-1300년대 쓰레기 더미
-뼈의 1/4이 생선뼈 (그 중 1/3이 고래뼈)
고래, 바다새(25종), 성새, 쥐, 바다표범을 식량으로 이용
“새를 끊인 스프”에 쥐고기를
추천자료
[대중문화의이해]한류현상과 발전방향
[중국문화의이해]티벳의 독립운동에 관한 고찰
(일본문화의이해)일본의 관광명소에 대해서...
한국문화유산의이해 필기정리
선교현장의문화이해를읽고
중국문화의이해
<동서문화의이해>역사속에서 걸어나온 사람들-이능 을 읽고나서
영상문화의이해-아우라
한국전통문화의이해
영상문화_이해__3_PPT자료
일본대중문화의이해-파친코
관광학과-우리문화의이해-영화 ‘춘향전’ 감상문
[문화기획이해] 공연기획서 예시 : 나는 가수다 연말 1&2 연합 콘서트 -The Fetival of Gods
[프랑스문화의이해] <프랑스 혁명> 프랑스혁명의 원인, 프랑스혁명의 전개, 혁명의 결과와 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