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인터넷 소설의 언어
2.1. 구어체
2.2. 이모티콘의 사용
2.3. 맞춤법 파괴
3. 인터넷 소설의 비교 - 김호식,『엽기적인 그녀』& 귀여니,『늑대의 유혹』
3.1. 엽기적인 그녀
3.1.1. 주인공들의 일상
3.1.2. 주인공들의 사랑
3.2. 늑대의 유혹
3.2.1. 주인공들의 일상
3.2.2. 주인공들의 사랑
3.2.3. 또 다른 귀여니들
4. 마치며
2. 인터넷 소설의 언어
2.1. 구어체
2.2. 이모티콘의 사용
2.3. 맞춤법 파괴
3. 인터넷 소설의 비교 - 김호식,『엽기적인 그녀』& 귀여니,『늑대의 유혹』
3.1. 엽기적인 그녀
3.1.1. 주인공들의 일상
3.1.2. 주인공들의 사랑
3.2. 늑대의 유혹
3.2.1. 주인공들의 일상
3.2.2. 주인공들의 사랑
3.2.3. 또 다른 귀여니들
4. 마치며
본문내용
소설의 맞춤법 부분은 위에서 설명을 했었는데, 대부분 문장 끝부분에서 맞춤법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모든 이야기는 견우에 의해 전달되는 형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힘드러 주께써어”라든지 “딴데 보구 이씀미다” 같이 읽히는 대로 글로 쓰이고 있다. 이것은 주인공인 견우의 어리버리한 성격과도 잘 매치가 되어서 읽는 내내 그녀에게 잡혀 있는 견우의 불쌍한 모습에서도 웃음이 유발된다.
이 소설 대부분에서 커플의 일상사는 평범한 두 남녀의 평범한 데이트로 그려진다. 일상생활 그대로가 소설에 쓰이고, 또 일어날 법한 일이 그대로 그려져서(그녀의 조금 심한 엽기적 부분을 제외한다면) 독자들은 현실감을 느끼고 자신들의 연애처럼 편안하고 재미있게 소설을 읽을 수 있다. 약간 모자란 것 같은 견우의 글투와 상황에 배합되는 적절한 이모티콘이 소설의 즐거움을 더한다.
3.1.2. 주인공들의 사랑
『엽기적인 그녀』에서는 주인공들의 사랑도 약간 우습게 진행된다. 그녀의 엽기적 행동은 사랑에 있어서도 어김없이 발휘되지만, 우리네 연인들의 이야기라는 점은 벗어나지 않고 있다. 아래 부분은 100일을 맞이하여 그녀가 나에게 작은 파티를 열어준 부분이다.
\" 짝짝짝~~ 100일 축하해요~ \"
감동먹었습미다...그녀가 이렇게까지 준비해줄꺼라곤 생각을 못해쓰니까요...
하지만 견우? 안움미다..남자 아님미까...-_-;;
그녀 : 견우야..여기 선물..
견우 : 헉..선물?? 선물까지 준비한거야?
그녀 : 응...고마워 견우야..
견우 : 모가 고마워??
그녀 : 그냥 전부다........선물이나 풀어봐..
(중략)
선물이 사과 상자 만큼이나 큼니다...예쁜포장지를 뜯고, 선물을 손으로
만져봤습니다....옷인것 같습니다..맨날 후질구레하게 입고 다니니깐 그녀가
옷을 사준것 같습니다......^^;
(중략)
상자안에 옷이 여러벌들어 있는것 같습니다...마치 TV에서 옆서를 뽑는것 처럼
상자안에 손을 넣고 한바퀴 휘휘 돌린다음 젤 조그마한것을 꺼냈습니다....
그리곤 들었습니다.......온통 주위는 깜깜한데 선물에서 먼가가 예쁘게
빤짝빤짝 거림니다.....
해골이 빤짝빤짝 거림미다...-_-;
허걱...그러씀미다.....야광 해골 빤스...-_-;;
- 김호식, 『엽기적인 그녀 : 그녀와의 100일..(3)』편 부분 -
견우가 선물 상자를 만지는 부분의 표현을 보면 굉장히 기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엽서를 뽑듯이 선물을 만지는 견우. 하지만 그녀가 옷을 선물했을 것이라는 견우의 기대와 달리 그녀는 “야광 해골 빤스”를 선물로 준다. 견우가 선물을 보고서 “-_-;”로 시작한 땀방울은 팬티를 확인하고 “-_-;;” 이처럼 두 개로 바뀐다. 상황의 당황스러움이 나타나고 있는 부분이다.
인터넷 소설이 다른 장르로 변화하기 쉬운 이유가 바로 이모티콘과 구어체일 것이다. 그것은 이 소설의 몇 부분의 글만 봤는데도 견우의 성격이나 어조에 대해 쉬이 짐작할 수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처럼 인터넷 소설에서의 구어체나 이모티콘은 상황 설명이나 주인공의 성격 묘사에 용이하다. 코믹한 요소가 중심이 된 소설이니만큼 구어체나 이모티콘은 그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3.2. 늑대의 유혹
한때, “귀여니 신드롬”이라고 불릴 만큼 귀여니 작품들은 인기가 많았다. 필자의 고등학교 시절, 귀여니 책을 직접 구입하는 친구들도 여럿 봤고, 인터넷에서는 귀여니 풍의 글들이 팽배해지기 시작했다. 필자는 이 리포트를 작성하기 전까지 한 번도 귀여니의 글은 읽어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 유치하고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여겼기에 읽어 볼 가치도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글을 읽고 난 다음에도 문제는 그대로였다. 글이 재미있다는 것은 인정할 수 있겠으나, 여전히 가치는 없다는 생각에는 변화가 없었다.
귀여니의 수많은 글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에서 가장 주먹이 세고 얼굴도 잘 생긴 남학생 두 명이 각각 다른 코드로 평범한 주인공 여학생을 사랑한다. 한쪽이 여주인공을 모두 감싸주고, 부드럽게 대하며, 여주인공의 애정을 간청하는 사랑이라면, 다른 쪽은 여주인공에게 거칠게 굴고 명령조로 대하면서 여주인공을 독점하려고 한다. 이 때, 여주인공은 항상 거친 남학생을 택한다. 거기에 여주인공을 탐내는 남자 조연들과 남주인공을 좋아해 여주인공을 괴롭히는 비열한 여학생이 음모를 짜 갈등을 만든다. 그 후, 대부분의 소설들은 남자주인공과 여자 주인공의 해피엔딩으로 끝이 난다. 송경아(2003), 「[텍스트 비평]소녀들의 감수성, 시장으로 진출하다」, 『당대비평』통권 제23호, 생각의나무.
이렇게 특정한 공식만을 사용하는 대중소설을 정크 픽션(junk fiction)이라고 한다. 이러한 정크 픽션들은 상위 구조가 단순하여 단 시간 내에 많은 작품을 쓸 수 있다. 최미진(2003), 「N세대와 인터넷 소설의 논리」, 『대중서사연구』제10호, 대중서사학회.
인터넷 소설 작가들은 검증된 작가가 아닌 아마추어 작가들이라는 점에서 귀여니류의 작품들은 많은 여학생들에 의해 비슷한 모습으로 변화하여 계속 쓰이게 된다.
그렇다면 『늑대의 유혹』에 대해 잠깐 살펴보자. 『늑대의 유혹』은 귀여니의 작품 중에 크게 유행한 작품 중 하나이다. 이 『늑대의 유혹』 역시 정크 픽션에서 벗어나지 않는데 그 줄거리에 대해 어떤 한 네티즌이 정리해 놓은 것이 있어 아래에 첨부한다.
-_-;
늑대의 유혹 줄거리는 별거없습니다
아주 짧게가 몇줄인지 몰라서...한줄 두줄 세줄까지 해보겠습니다.
한 줄 : 서울로 갓 상경한 어리버리한 여자애를 킹카 두명이 좋아하는 내용입니다.
두 줄 : 어리버리한 \'정한경\' 이라는 여자애를 인근학교 킹카 \'반해원\' 이 좋아하게 되고, 다른 학교킹카 \'정태성\'도 \'정한경\'을 좋아하게 됩니다. 근데 정태성은 정한경의 동생이라는 비밀이...
세 줄 : 지방에서 서울로 갓 상경한 \'정한경\'은 서울에서 좋아하는 남자를 친구에게 뺏기고 울며 버스를타는도중에 인근 학교 짱 \'반해원\'을 만나고 반해원은 정한경을 좋아하게됩니다. 문제는 옆학교 짱이자 반해원의 라이벌 \'정태성\'도 정한경을 좋아하게됩니다, 그러나 친동생이라는비밀이..
이정도면
이 소설 대부분에서 커플의 일상사는 평범한 두 남녀의 평범한 데이트로 그려진다. 일상생활 그대로가 소설에 쓰이고, 또 일어날 법한 일이 그대로 그려져서(그녀의 조금 심한 엽기적 부분을 제외한다면) 독자들은 현실감을 느끼고 자신들의 연애처럼 편안하고 재미있게 소설을 읽을 수 있다. 약간 모자란 것 같은 견우의 글투와 상황에 배합되는 적절한 이모티콘이 소설의 즐거움을 더한다.
3.1.2. 주인공들의 사랑
『엽기적인 그녀』에서는 주인공들의 사랑도 약간 우습게 진행된다. 그녀의 엽기적 행동은 사랑에 있어서도 어김없이 발휘되지만, 우리네 연인들의 이야기라는 점은 벗어나지 않고 있다. 아래 부분은 100일을 맞이하여 그녀가 나에게 작은 파티를 열어준 부분이다.
\" 짝짝짝~~ 100일 축하해요~ \"
감동먹었습미다...그녀가 이렇게까지 준비해줄꺼라곤 생각을 못해쓰니까요...
하지만 견우? 안움미다..남자 아님미까...-_-;;
그녀 : 견우야..여기 선물..
견우 : 헉..선물?? 선물까지 준비한거야?
그녀 : 응...고마워 견우야..
견우 : 모가 고마워??
그녀 : 그냥 전부다........선물이나 풀어봐..
(중략)
선물이 사과 상자 만큼이나 큼니다...예쁜포장지를 뜯고, 선물을 손으로
만져봤습니다....옷인것 같습니다..맨날 후질구레하게 입고 다니니깐 그녀가
옷을 사준것 같습니다......^^;
(중략)
상자안에 옷이 여러벌들어 있는것 같습니다...마치 TV에서 옆서를 뽑는것 처럼
상자안에 손을 넣고 한바퀴 휘휘 돌린다음 젤 조그마한것을 꺼냈습니다....
그리곤 들었습니다.......온통 주위는 깜깜한데 선물에서 먼가가 예쁘게
빤짝빤짝 거림니다.....
해골이 빤짝빤짝 거림미다...-_-;
허걱...그러씀미다.....야광 해골 빤스...-_-;;
- 김호식, 『엽기적인 그녀 : 그녀와의 100일..(3)』편 부분 -
견우가 선물 상자를 만지는 부분의 표현을 보면 굉장히 기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엽서를 뽑듯이 선물을 만지는 견우. 하지만 그녀가 옷을 선물했을 것이라는 견우의 기대와 달리 그녀는 “야광 해골 빤스”를 선물로 준다. 견우가 선물을 보고서 “-_-;”로 시작한 땀방울은 팬티를 확인하고 “-_-;;” 이처럼 두 개로 바뀐다. 상황의 당황스러움이 나타나고 있는 부분이다.
인터넷 소설이 다른 장르로 변화하기 쉬운 이유가 바로 이모티콘과 구어체일 것이다. 그것은 이 소설의 몇 부분의 글만 봤는데도 견우의 성격이나 어조에 대해 쉬이 짐작할 수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처럼 인터넷 소설에서의 구어체나 이모티콘은 상황 설명이나 주인공의 성격 묘사에 용이하다. 코믹한 요소가 중심이 된 소설이니만큼 구어체나 이모티콘은 그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3.2. 늑대의 유혹
한때, “귀여니 신드롬”이라고 불릴 만큼 귀여니 작품들은 인기가 많았다. 필자의 고등학교 시절, 귀여니 책을 직접 구입하는 친구들도 여럿 봤고, 인터넷에서는 귀여니 풍의 글들이 팽배해지기 시작했다. 필자는 이 리포트를 작성하기 전까지 한 번도 귀여니의 글은 읽어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 유치하고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여겼기에 읽어 볼 가치도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글을 읽고 난 다음에도 문제는 그대로였다. 글이 재미있다는 것은 인정할 수 있겠으나, 여전히 가치는 없다는 생각에는 변화가 없었다.
귀여니의 수많은 글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에서 가장 주먹이 세고 얼굴도 잘 생긴 남학생 두 명이 각각 다른 코드로 평범한 주인공 여학생을 사랑한다. 한쪽이 여주인공을 모두 감싸주고, 부드럽게 대하며, 여주인공의 애정을 간청하는 사랑이라면, 다른 쪽은 여주인공에게 거칠게 굴고 명령조로 대하면서 여주인공을 독점하려고 한다. 이 때, 여주인공은 항상 거친 남학생을 택한다. 거기에 여주인공을 탐내는 남자 조연들과 남주인공을 좋아해 여주인공을 괴롭히는 비열한 여학생이 음모를 짜 갈등을 만든다. 그 후, 대부분의 소설들은 남자주인공과 여자 주인공의 해피엔딩으로 끝이 난다. 송경아(2003), 「[텍스트 비평]소녀들의 감수성, 시장으로 진출하다」, 『당대비평』통권 제23호, 생각의나무.
이렇게 특정한 공식만을 사용하는 대중소설을 정크 픽션(junk fiction)이라고 한다. 이러한 정크 픽션들은 상위 구조가 단순하여 단 시간 내에 많은 작품을 쓸 수 있다. 최미진(2003), 「N세대와 인터넷 소설의 논리」, 『대중서사연구』제10호, 대중서사학회.
인터넷 소설 작가들은 검증된 작가가 아닌 아마추어 작가들이라는 점에서 귀여니류의 작품들은 많은 여학생들에 의해 비슷한 모습으로 변화하여 계속 쓰이게 된다.
그렇다면 『늑대의 유혹』에 대해 잠깐 살펴보자. 『늑대의 유혹』은 귀여니의 작품 중에 크게 유행한 작품 중 하나이다. 이 『늑대의 유혹』 역시 정크 픽션에서 벗어나지 않는데 그 줄거리에 대해 어떤 한 네티즌이 정리해 놓은 것이 있어 아래에 첨부한다.
-_-;
늑대의 유혹 줄거리는 별거없습니다
아주 짧게가 몇줄인지 몰라서...한줄 두줄 세줄까지 해보겠습니다.
한 줄 : 서울로 갓 상경한 어리버리한 여자애를 킹카 두명이 좋아하는 내용입니다.
두 줄 : 어리버리한 \'정한경\' 이라는 여자애를 인근학교 킹카 \'반해원\' 이 좋아하게 되고, 다른 학교킹카 \'정태성\'도 \'정한경\'을 좋아하게 됩니다. 근데 정태성은 정한경의 동생이라는 비밀이...
세 줄 : 지방에서 서울로 갓 상경한 \'정한경\'은 서울에서 좋아하는 남자를 친구에게 뺏기고 울며 버스를타는도중에 인근 학교 짱 \'반해원\'을 만나고 반해원은 정한경을 좋아하게됩니다. 문제는 옆학교 짱이자 반해원의 라이벌 \'정태성\'도 정한경을 좋아하게됩니다, 그러나 친동생이라는비밀이..
이정도면
추천자료
현대 금융환경 변화의 특성을 소개하고, 이 중 금융의 디지털화 현상에서 특히, 우리나라 금...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텔레비전 리터러시교육][미디어 리터러시교육][디지털 리터러시교육][텔레비전뉴스 리터러시...
[저작물][저작물 이용허락][디지털저작물][외국인][저작권]저작물의 유형, 저작물의 특성, 저...
[고서(고문서), 사부분류법, 인출기록, 인출연도, 디지털화]고서(고문서)의 현황, 고서(고문...
[한국, 신기술, 산업기술, 이동통신기술, 디지털기술]한국의 신기술, 한국의 산업기술, 한국...
[표현][구매심리][현대복식][디지털기기활용][서민가사][언어표현력][말하기]표현과 구매심리...
[중소기업][국제화][세계화][정보화][디지털화][IT화]중소기업 국제화, 중소기업 세계화, 중...
[유통활성화][유통][소프트웨어][디지털정보재산][영상컨텐츠][영상제작물][음반시장]소프트...
[영상물유통][영상물][유통][영상물유통 성과][디지털화]영상물유통의 성과, 영상물유통의 디...
[영상물유통][영상물][유통][2차유통][디지털컨텐츠유통][방송프로그램유통]영상물유통의 활...
[경영][엔터테인먼트 경영][디지털 경영][E비즈니스 경영][이비즈니스 경영][인터넷 경영][전...
[시대][기업][디지털시대][인터넷시대][저부채시대][글로벌시대]불확실시대 기업, 지식경제시...
[경영전략][신경영전략][디지털경영전략][기업경영전략][국제경영전략][지식경영전략][품질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