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1.조림의 개요
2.임목의 육종
3.묘목의 양성
4.묘목의 식재
5.산림의 무육
6.산림의 작업종
7.산림의 보호
2.임목의 육종
3.묘목의 양성
4.묘목의 식재
5.산림의 무육
6.산림의 작업종
7.산림의 보호
본문내용
부의 힘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힘
생태계의 구성
종적구성(U자 곡선) : 불리한 제한조건에서는 U자 곡선이 더욱 좌우 대칭됨
U자 곡선 : 동령림, 개벌모수작업,
S자 곡선 : 생산적 곡선
J자 곡선 : 이론적 구성, 산벌작업으로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음.
우리나라 산림
우점종 : 참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희소종 : 미선나무, 너도밤나무, 미자림.
천이 : 한식물사회가 다른 종류의 사회로 옮겨가는 현상
추이대 : 두 개 이상의 생태계가 만나는 지점, 종구성이 풍부함
원 인
식물의 이동 : 이래(식물이 들어와 정리한 상태) → 집래(비슷한 식물이 함께 도착) → 경쟁(개체간의 공간 쟁탈) → 군집
식생의 반작용 : 도시적 / 기층적 반작용
원격작용 : 직력이 낮은 곳에 천이에 관계하는 인자 / 독성성분 : 타감작용→핍톤치트
1차천이 : 지의류선태류→1~2년생 초본류→다년생 초본류→관목류→양수림→음수림
2차천이 : × → 초 원 →다년생 초본류→관목류→양수림→음수림 ⇒인위적인 파괴에 의한 천이
천이인자 : 토양천이(PH, 건조, 양분, 수분), 기상(수분, 온도, 빛)
크기 구분
관목류 : 2m 이하
아교목 : 2~8m (극상 못간상태)
교 목 : 8M 이상/극상, 양수림 음수림
수종 구분
양 수 : 광선이 충분하고 땅이 건조하고 기온이 낮은 곳에서도 잘 자라는 수종
측백나무, 은행나무, 해송, 소나무, 포플러류, 자작나무류, 낙엽송
음 수 : 10년생이 넘으면 햇빛을 좋아 하나 어릴 때에는 광선이 부족해도 잘 자라는 수종
너도밤나무, 전나무, 주목, 동백나무, 가문비나무, 가시나무, 비자나무, 솔송나무
음양 중간수종 : 난대림 / 입지 조건에 따라
오리나무, 단풍나무, 삼나무, 잣나무
뿌리의 구분 (굵기/직경에 따라)
미 근 : 0.5㎜ 이하(토양의 양분,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대)
세 근 : 0.5 ~ 2㎜ 이하
약 근 : 2 ~ 5 ㎜
강 근 : 5 ~ 10 ㎜
조 근 : 10 ~ 20 ㎜
대 근 : 200 ㎜ 이상
결실연령 : 육종 수종이 되려면 결실연령에 도달해있어야함
복숭아 : 3년
리기다소나무 : 7년
자작나무, 오리나무 : 10 ~ 13년
소나무, 곰솔 : 15년
중간수종 : 오동나무, 밤나무, 버드나무, 해송 : 20 ~ 25년
잎갈나무, 삼나무, 편백 : 30년
가문비나무, 전나무, 느티나무 : 40 ~ 50 년
복리 자오 / 소곰 / 잎삼편 / 가전느
결실주기
해마다 결실 : 오리나무, 포플러류, 버드나무류(크기↓, 에너지소비↓)
격년결실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오동나무, 자작나무, 아카시나무
2 ~ 3년 : 전나무, 상수리나무, 들메나무, 느티나무, 삼나무, 편백
3 ~ 4년 : 가문비나무, 녹나무, 전나무
5 ~ 7년 : 낙엽송, 너도밤나무
오포버 / 소해리 / 오작아 / 전상들 / 느삼편 / 가녹전 / 낙느
종자식물
양성화 : 한쪽에 수꽃과 암꽃이 동시에 있음. (무궁화, 목련, 벚, 동백, 녹나무)
단성화 : 자웅이화, 수꽃 / 암꽃 따로 (소, 잣, 전, 은행, 오리, 상수리)
자웅동주 : 한 나무에 암수꽃이 달리 / 일가화 (소, 삼, 오리, 호두, 참)
지웅이주 : 각다른 나무에 암수꽃이 있음.(은행, 포플러, 주목, 호랑가시, 꽝꽝, 가죽)
겉씨식물
씨방이 없어 밑씨가 노출, 단성화, 꽃과 꽃받침이 없다
배적은 수정전 미리 발달(중복수정×), 관다발-물관 대신 헛물관 발달
형성층 발달하여 굵은 목제로 형성, 체관에 반세포×, 평행맥
속씨식물
밑씨가 씨방 속에 있음. 양성화, 관다발 발달
산림환경의 기후 인자 : 광선, 온도, 수분 바람 미기상
광 선 :
광 질 :
온 도 : 수풀 밖 보다 최고기온↓, 최저 기온 ↑.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에서 기온차↑
바 람 : 토양건조, 나무생장량을 ↓ 있으나, 공기 유통, 광합성량을 ↑ 기능도 있음.
접지기층 : 바람의 속도↓ 아침저녁바람 ×, 찬공기의 유동이 없어져 어린나무 동사
응급처치 : 살수결빙법(-7℃ ~ -8℃동해 방지)
방풍림 : 높이의 5배, 측면의 20배 바람 속도 둘이는 효과
바람이 불거오는 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설치
수고는 높게, 나비는 넓게
상층수관은 고목(고림)으로, 하층수관은 관목(저림)으로
수종 선택 시 심근성, 풍해, 연해에 강한 수종 선정
교목(소나무, 해송, 곰솔등) / 관목(사철 싸리, 동백, 찔래, 회양목, 개나리등)
수 분 : 식물체의 유기적인 원형질 유지(85%), 체온유지, 양분의 용매제, 생화학적 반응의 매개체
물의 흡수 원동력 : 증산작용 모세관현상 물분자간 응집력 뿌리의 근압
토양 수분 보존의 3대 요인 : 흙의 구조, 부식의 함양, 지역, 해발 고도, 산림울폐도
물의 이동 : 아포플라스트(세포벽이동), 심플라스트(원형질 유동)
물과 양분의 출 입제한 : 카스피리인대
증산계수 : 나무가 건물질 1g을 만드는데 필요한 증산물의 양, 증산계수가 높을 수록 양수
불포화 수용량 : 토양이 물에 가질 수 있는 최대용수량
공극 : 흙 전체에서 물 공기가 차지하는 부분( = 100 - 흙가비중/진비중 * 100)
중력수 : 대공극, 미모세관 공극
모관수 : 포화양분이 공극며에서 작물체의 생육이 가장 양호 한 수분
흡수수 : 유효 수분을 105℃까지 가열시 분리, 불포화 토양에 포함되는 수분
결합수 : 유효 수분을 105℃까지 가열시 비분리, 토양무기성분의 구성입자 ㅡ 가장 단단한 결합수(결정수, 화합수)
토 양 : 유기물의 함량, 색, 물리적 구조, 수분과 습기의 상태, 화학적 성분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구분
토양의 구조
구 분
내 용
비 고
O 층
(유기물층)
L = O 1층 (낙엽층)
육안으로 확연히 구분(원형대로)
외계인자 영향↑
F = O 2층(반부식층)
육안으로 구분
H = O 3층(부식층)
검은색
A 층
(용탈층, 표층, 작토층, 뿌리층)
A1(이온 생성층)
이행층
작물생장에 가장 중요한 층
A2
최대 융탈층(Fe, Mn 등이 아래로 이탈
A3
이행층
E층 서상층, 쟁기 밑바닥층
산림토양에서는 볼수없는 토양
B층
B1
이행층
B2
최대 집적층
B3
이행층
C층
모재층
1차 광물층(6대조암), 바위조각(2mm)
D 층 (R층)
모암층
생태계의 구성
종적구성(U자 곡선) : 불리한 제한조건에서는 U자 곡선이 더욱 좌우 대칭됨
U자 곡선 : 동령림, 개벌모수작업,
S자 곡선 : 생산적 곡선
J자 곡선 : 이론적 구성, 산벌작업으로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음.
우리나라 산림
우점종 : 참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희소종 : 미선나무, 너도밤나무, 미자림.
천이 : 한식물사회가 다른 종류의 사회로 옮겨가는 현상
추이대 : 두 개 이상의 생태계가 만나는 지점, 종구성이 풍부함
원 인
식물의 이동 : 이래(식물이 들어와 정리한 상태) → 집래(비슷한 식물이 함께 도착) → 경쟁(개체간의 공간 쟁탈) → 군집
식생의 반작용 : 도시적 / 기층적 반작용
원격작용 : 직력이 낮은 곳에 천이에 관계하는 인자 / 독성성분 : 타감작용→핍톤치트
1차천이 : 지의류선태류→1~2년생 초본류→다년생 초본류→관목류→양수림→음수림
2차천이 : × → 초 원 →다년생 초본류→관목류→양수림→음수림 ⇒인위적인 파괴에 의한 천이
천이인자 : 토양천이(PH, 건조, 양분, 수분), 기상(수분, 온도, 빛)
크기 구분
관목류 : 2m 이하
아교목 : 2~8m (극상 못간상태)
교 목 : 8M 이상/극상, 양수림 음수림
수종 구분
양 수 : 광선이 충분하고 땅이 건조하고 기온이 낮은 곳에서도 잘 자라는 수종
측백나무, 은행나무, 해송, 소나무, 포플러류, 자작나무류, 낙엽송
음 수 : 10년생이 넘으면 햇빛을 좋아 하나 어릴 때에는 광선이 부족해도 잘 자라는 수종
너도밤나무, 전나무, 주목, 동백나무, 가문비나무, 가시나무, 비자나무, 솔송나무
음양 중간수종 : 난대림 / 입지 조건에 따라
오리나무, 단풍나무, 삼나무, 잣나무
뿌리의 구분 (굵기/직경에 따라)
미 근 : 0.5㎜ 이하(토양의 양분,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대)
세 근 : 0.5 ~ 2㎜ 이하
약 근 : 2 ~ 5 ㎜
강 근 : 5 ~ 10 ㎜
조 근 : 10 ~ 20 ㎜
대 근 : 200 ㎜ 이상
결실연령 : 육종 수종이 되려면 결실연령에 도달해있어야함
복숭아 : 3년
리기다소나무 : 7년
자작나무, 오리나무 : 10 ~ 13년
소나무, 곰솔 : 15년
중간수종 : 오동나무, 밤나무, 버드나무, 해송 : 20 ~ 25년
잎갈나무, 삼나무, 편백 : 30년
가문비나무, 전나무, 느티나무 : 40 ~ 50 년
복리 자오 / 소곰 / 잎삼편 / 가전느
결실주기
해마다 결실 : 오리나무, 포플러류, 버드나무류(크기↓, 에너지소비↓)
격년결실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오동나무, 자작나무, 아카시나무
2 ~ 3년 : 전나무, 상수리나무, 들메나무, 느티나무, 삼나무, 편백
3 ~ 4년 : 가문비나무, 녹나무, 전나무
5 ~ 7년 : 낙엽송, 너도밤나무
오포버 / 소해리 / 오작아 / 전상들 / 느삼편 / 가녹전 / 낙느
종자식물
양성화 : 한쪽에 수꽃과 암꽃이 동시에 있음. (무궁화, 목련, 벚, 동백, 녹나무)
단성화 : 자웅이화, 수꽃 / 암꽃 따로 (소, 잣, 전, 은행, 오리, 상수리)
자웅동주 : 한 나무에 암수꽃이 달리 / 일가화 (소, 삼, 오리, 호두, 참)
지웅이주 : 각다른 나무에 암수꽃이 있음.(은행, 포플러, 주목, 호랑가시, 꽝꽝, 가죽)
겉씨식물
씨방이 없어 밑씨가 노출, 단성화, 꽃과 꽃받침이 없다
배적은 수정전 미리 발달(중복수정×), 관다발-물관 대신 헛물관 발달
형성층 발달하여 굵은 목제로 형성, 체관에 반세포×, 평행맥
속씨식물
밑씨가 씨방 속에 있음. 양성화, 관다발 발달
산림환경의 기후 인자 : 광선, 온도, 수분 바람 미기상
광 선 :
광 질 :
온 도 : 수풀 밖 보다 최고기온↓, 최저 기온 ↑.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에서 기온차↑
바 람 : 토양건조, 나무생장량을 ↓ 있으나, 공기 유통, 광합성량을 ↑ 기능도 있음.
접지기층 : 바람의 속도↓ 아침저녁바람 ×, 찬공기의 유동이 없어져 어린나무 동사
응급처치 : 살수결빙법(-7℃ ~ -8℃동해 방지)
방풍림 : 높이의 5배, 측면의 20배 바람 속도 둘이는 효과
바람이 불거오는 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설치
수고는 높게, 나비는 넓게
상층수관은 고목(고림)으로, 하층수관은 관목(저림)으로
수종 선택 시 심근성, 풍해, 연해에 강한 수종 선정
교목(소나무, 해송, 곰솔등) / 관목(사철 싸리, 동백, 찔래, 회양목, 개나리등)
수 분 : 식물체의 유기적인 원형질 유지(85%), 체온유지, 양분의 용매제, 생화학적 반응의 매개체
물의 흡수 원동력 : 증산작용 모세관현상 물분자간 응집력 뿌리의 근압
토양 수분 보존의 3대 요인 : 흙의 구조, 부식의 함양, 지역, 해발 고도, 산림울폐도
물의 이동 : 아포플라스트(세포벽이동), 심플라스트(원형질 유동)
물과 양분의 출 입제한 : 카스피리인대
증산계수 : 나무가 건물질 1g을 만드는데 필요한 증산물의 양, 증산계수가 높을 수록 양수
불포화 수용량 : 토양이 물에 가질 수 있는 최대용수량
공극 : 흙 전체에서 물 공기가 차지하는 부분( = 100 - 흙가비중/진비중 * 100)
중력수 : 대공극, 미모세관 공극
모관수 : 포화양분이 공극며에서 작물체의 생육이 가장 양호 한 수분
흡수수 : 유효 수분을 105℃까지 가열시 분리, 불포화 토양에 포함되는 수분
결합수 : 유효 수분을 105℃까지 가열시 비분리, 토양무기성분의 구성입자 ㅡ 가장 단단한 결합수(결정수, 화합수)
토 양 : 유기물의 함량, 색, 물리적 구조, 수분과 습기의 상태, 화학적 성분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구분
토양의 구조
구 분
내 용
비 고
O 층
(유기물층)
L = O 1층 (낙엽층)
육안으로 확연히 구분(원형대로)
외계인자 영향↑
F = O 2층(반부식층)
육안으로 구분
H = O 3층(부식층)
검은색
A 층
(용탈층, 표층, 작토층, 뿌리층)
A1(이온 생성층)
이행층
작물생장에 가장 중요한 층
A2
최대 융탈층(Fe, Mn 등이 아래로 이탈
A3
이행층
E층 서상층, 쟁기 밑바닥층
산림토양에서는 볼수없는 토양
B층
B1
이행층
B2
최대 집적층
B3
이행층
C층
모재층
1차 광물층(6대조암), 바위조각(2mm)
D 층 (R층)
모암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