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 영상디자인 기획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관광공사 영상디자인 기획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개요
1.연구목적
2.연구방법
3.연구범위

Ⅱ.영상디자인
1.개요
2.영상디자인의 개념
3.영상디자인의 분류
4.영상의 개념
4.1 문화적 기초
4.2 기술적 기초
5.영상의 특성
6.영상언어
7.영상기기
8.영상기법

Ⅲ.매력있는 한국
1.개요
2.매력있는 관광한국
3.역사
4.기원
5.문화
6.인구
7.언어와 문자
8.자연
9.음식
10.컨벤션
11.축제
12.행정구역

Ⅳ.한국관광공사
1.한국관광공사
1.1사업소개
1.2복리후생제도
1.3 CI
1.4연혁
2.경영
2.1경영이념 및 방침
2.2경영혁신
2.3윤리경영
2.4사회공헌
3.경영공시
3.1일반현황
3.2사업현황
4.사업영역
4.1해외시장개척
4.2국제 회의 유치
4.3관광 자원 개발
4.4 한국문화관광 브랜드
4.5한국관광공사 이미지 광고

Ⅴ.사례분석
1.개요
2.2012
여수세계박람회
2.1개요
2.2광고분석
2.3분석결과
3.2009
인천세계도시축전
3.1개요
3.2광고분석
3.3분석결과
4.환상의 섬, 제주
4.1개요
4.2광고분석
4.3분석결과
5.최종 분석 결과

Ⅵ.디자인계획안
1.BACKGROUND
2.CONCEPT
3.IMAGE PHOTO
4.SCENARIO 계획안
5.STORYBOARD 계획안
6.영상소스
7.영상기획
8.음향기획
9.음악기획
10. 타이틀 제작
11.촬영
12.그래픽

Ⅶ.결론
1.성과
2.기대효과
3.전망

본문내용

국 궁중 요리서부터 지방의 특색 요리와 현대의 퓨전 요리에 이르기까지 재료와 조리법이 매우 다양하다. 전통적인 한국 정식은 밥, 국, 김치와 함께 나오는 많은 반찬들로 이루어 진다. 한국 음식은 보통 참기름, 된장, 간장, 소금, 마늘, 생강, 그리고 고추장 등으로 맛을 낸다. 식단은 계절별로 다양한데, 특히 전통적으로는 겨울 동안에 마당에 구멍을 파고 땅 속에 묻어 놓은 장독에 저장된 김치와 그 밖에 절인 야채들에 많이 의존한다.
5.5 한국의 고유 의복
한복의 역사는 우선 삼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시대에는 저고리가 엉덩이까지 내려올 만큼 길고, 바지의 통도 넓었으며 남성과 여성이 함께 입는 남녀 공용이었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활옷, 원삼, 당의를 입기 시작하였고 고려 시대가 되면서 왕, 귀족, 평민복으로 갈라졌다. 조선 시대 중반에서부터 띠 대신 고름을 매기 시작하였고, 두루마기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조선 후기 이후에는 가슴이 나올 정도로 저고리가 짧아져, 마고자를 입기 시작하였고 서양 문물의 영향으로 조끼를 입기 시작하였다. 일제 강점기 때 여자들의 저고리가 길어졌다가 짧아져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한복을 명절이나 특수한 날에만 입게 되었으나 청학동에서는 아직도 일상복으로 입고 있고, 한복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국악고등학교, 민족사관고등학교가 개교되었으며 한복의 불편을 개선한 생활 한복이 보급되어 서울, 부산, 대구 등 대도시 사람들이 편하게 입을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에도 택견 무술에는 하얀 한복을 입는 것이 통례이며, 첫돌, 환갑, 칠순, 팔순 등의 일부 생일에는 생일을 맞은 사람이 입기도 한다.
5.6 한국의 전통 가옥
한옥(韓屋)은 전통 한국 건축 양식을 사용한 재래식 집을 말한다. 조선집이라고도 하며, 양옥의 반대말이다.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을 마주하는 배산임수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보통이다. 온돌이 있어 집을 데워 추운 겨울을 나고, \"대청\" 마루가 있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다. 서양식 주택, 즉 양옥에 대비한 말이다.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난방을 위한 온돌과 냉방을 위한 마루가 균형있게 결합된 구조를 갖추고 있는 점이다.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공존하는 한반도의 더위와 추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한국의 독특한 주거 형식이다. 한옥의 형태는 지방에 따라 구조가 다르다. 북부 지방에서는 외부의 냉기를 막고, 내부의 열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조로, 방을 두 줄로 배열하는 형태의 겹집 구조와 낮은 지붕의 한옥이 발달했다. 이에 비하여 남부 지방에서는 바람이 잘 통하도록 방을 한 줄로 배열하는 홑집 구조와 마루 구조가 발달했다.
또한, 한옥은 상류주택과 민가에 따라서도 구조를 달리한다. 대가족이 함께 어우러져 사는 한국의 전통사회에서 상류 계층의 주택은 신분과 남녀, 장유(長幼)를 구별한 공간 배치구조를 하였다. 즉, 집채를 달리하거나 작은 담장을 세워 주거 공간을 상·중·하로 구획했다. 상(上)의 공간인 안채와 사랑채는 양반들이 사용했고, 대문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행랑채는 하(下)의 공간으로 머슴들이 기거하는 곳이었으며, 중문간 행랑채는 중간 계층인 청지기가 거처하는 중(中)의 공간이었다.
상류주택은 장식적인 면에도 치중하여 주택의 기능면에서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가치에서도 뛰어난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일반 서민들은 집을 지을 때도 구조에서부터 재료에 이르기까지 장식적인 면보다는 기능적인 면을 더 중시했다. 재료로는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돌과 나무들을 사용했는데, 기둥과 서까래·문·대청바닥 등은 나무를 썼고, 벽은 짚과 흙을 섞은 흙벽으로 만들었으며, 창에는 역시 천연 나무로 만든 한지를 발랐다. 바닥에는 한지를 깐 뒤 콩기름 등을 발라 윤기를 냈고, 방수의 역할도 하게 하였다. 지붕으로는 기와지붕과 초가지붕이 가장 보편적이다. 부유한 집에서는 기와로 지붕을 올렸고, 서민들이 거주하는 민가에서는 대부분 볏짚으로 이은 초가지붕을 얹었다. 초가지붕은 겨울에는 열을 빼앗기지 않고 여름에는 강렬한 태양열을 차단해 주며, 구하기 쉽고 비도 잘 스며들지 않아 지붕의 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5.7 한국의 민속 놀이
한국의 민속놀이(韓國의 民俗놀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놀이로, 예로부터 주로 서민층에서 명절이나 혹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 예식의 하나로서 여흥을 돋구고자 생겨났다. 언제 이와 같은 놀이가 생겼는지는 오늘날까지 명확하지 않다. 민속놀이는 남녀노소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가 있는가 하면, 어른들만이 하는 놀이, 소년, 소녀들끼리 하는 놀이, 여자들 간에 혹은 남자들 간에만 하는 놀이가 있다. 놀이의 성격을 벗어나 힘과 기술을 겨루는 스포츠로 발전한 것으로는 씨름을 손꼽을 수 있다.
5.7.1 격방
격방(擊棒)은 격구(擊毬)의 일종으로 장구(杖毬)와 더불어 성행한 조선 시대 공놀이다. 격방은 편을 갈라 골문을 만들고 나무 막대기로 공을 쳐 구멍에 넣는다는 점에서 오늘날 골프 또는 게이트볼과 흡사하다. 격구의 일종으로써 종종 격구나 타구(打球) 또는 봉희(棒) 따위로 기록되었으나 격구와 달리 장시(杖匙)가 아닌 막대기를 사용하며, 구문(毬門)이 아닌 구멍에 공을 넣는다는 것이 다르다.
5.7.2 공기놀이
공기놀이는 공기라고 불리는 놀잇감을 사용하는 한국의 민속놀이이다. 공기는 놀이에 쓰이는 자그마한 크기의 물체를 부르는 말로, 대부분은 작고 비슷한 크기를 지닌 돌이며, 공장에서 공기놀이를 위해 플라스틱을 이용해 균일한 크기와 무게로 대량 생산한 제품도 있다. 공기놀이는 일반적으로 5 개의 공기를 이용해 하는 놀이로, 잭스와 비슷하다.
5.7.3 연날리기
1992년 9월 30일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기능보유자는 노유상이다. 연날리기는 예로부터 세계 곳곳에서 즐겨오던 놀이이다. 대나무 가지를 가늘게 잘라 연살을 만든 다음 종이를 붙여 연을 만들어 바람 부는 언덕에 올라가 연을 날린다. 연은 간단히 말해 줄에 매달아서 날기 좋게 만든 물건이다. 자세히 말하면, 연이란 가늘게 깎아 추린 대나무 살을 모로 엇맞추어 붙인 사각형이나 삼각형꼴에 창호지나 혹은
  • 가격4,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