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본문내용
짜/차 - 짜다 / 차다
음을 따라 읽게 하고 최소 대립어로 의미를 비교시킨다.
4) (ㄱ/ㅋ/ㄲ, ㄷ/ㅌ/ㄸ, ㅂ/ㅍ/ㅃ, ㅈ/ㅊ/ㅉ, ㅅ/ㅆ 발음을 함께 연습 시킨다.)
들을 때보다 발음할 때 일본인의 경우 경음 발음을 특히 어려워한다. 서양인의 경우 “사람 / 싸람”과 같은 오류가 잦음을 제시한다.
2. 단받침, 겹받침
받침은 한국어만이 지닌 독특한 요소이므로 한국어 음절 구조를 통해 받침의 의미와 종류, 음가 등을 정확히 이해시킨다.
1) (음절 구조를 살펴본다.)
(1) 모음 : 아
(2) 자 + 모 : 가 / 고
(3) 자 + 모 + 자 : 간 / 곰
(4) 자 + 모 + 자 + 자 : 맑 / 몫
이러한 음절 구조 중 3), 4)에서처럼 아랫부분을 구성하는 것이 받침이며 “자음”이나 “자음+자음”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전자를 “단받침”, 후자를 “겹받침”이라 한다.
2) ( 단받침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ㅌ,ㅋ,ㅍ,ㅎ 을 보여준다)
이 때 특히 “ㅇ”은 받침일 경우만 음가가 있음을 설명한다. 받침을 가르칠 때는 모든
모음을“ㅏ, ㅑ, ㅓ, ㅕ...”식이 아니라 “아, 야, 어, 여...”식으로 표기한다.
< ㄴ/ㅁ/ㅇ 받침 연습 >
(1) 입 모양으로 각 받침의 발음 특징을 설명해주고 따라 하게 한다.
(ㄴ:혀를 윗 잇몸에 붙인다./ㅁ: 입술이 다물어진다./ㅇ: 두 입술이 벌어진다.)
(2) 교사가 부르면 듣고 고르기 / 빈 종이에 듣고 쓰기
곤부/공부/곰부
정말/점말/전말
동전/돈전/돈정
점하/정하/전화
편지/평지/폄지
(틀리면 위 2.일본인 발음 오류 ん을 참고하여 원인을 설명한다.)
3) ( 겹받침 ㄲ,ㅆ, ,,,,,,, , ,, 을 배운다.)
먼저 모음이 후행될 때 받침 음가가 연음됨을 보여준다. (연음법칙)
“ㄲ”: 닦아[다까] , “ㅆ”: 있어[이써], “ ”: 삯이[삭시], “”: 앉아[안자]
“”: 많아[마나], “”: 읽어[일거], “”: 젊어[절머] ......“”:없어[업서]
4) ( 대표음 7종성을 가르친다.)
많은 겹받침으로 어려움을 느낄 때 7종성으로 간단히 묶어 정리해준다.
< 7종성 >
한국어의 받침은 여러 개이지만 그 음가는 단 7 개뿐이다.
1) [ㄱ-k] : ㄱ(책), ㅋ(부엌), ㄲ(섞다), (몫), (읽다)
2) [ㄴ-n] : ㄴ(편지), (앉다), (많다)
3) [ㄷ-t] : ㄷ(숟가락), ㅅ(옷), ㅈ(낮), ㅊ(꽃), ㅌ(끝), ㅎ(히읗), ㅆ(있다)
4) [ㄹ-l] : ㄹ(달), (여덟), (외곬), (핥다), (잃다)
5) [ㅁ-m] : ㅁ(밤), (젊다)
6) [ㅂ-p] : ㅂ(밥), ㅍ(잎), (없다), (읊다)
7) [ㅇ-ŋ] : ㅇ(강)
<자음 확인 연습 문제>
1. 경음, 격음 문제지 법( 2-(2)문제지법 자료를 이용한다.)
질문지와 답안지를 배부하고 정답은 그 자리에서 맞춰준다. 같은 테스트를 학습 초기와 중기, 말기로 나누어 여러 차례 실시하면 발음 듣기 능력의 변화를 살펴볼 수도 있다.
2. 교사가 부르면 답 고르기 ( 그림으로 단어 의미를 알려주면 흥미가 유발된다.)
① 토끼 , 도끼 ② 뿌리 , 부리 ③ 차 , 자 ④ 포도 , 보도 ⑤ 기차 , 기자
3. 교사가 부르면 답 받아쓰기 ( 틀린 부분 서로 고치기. 그림으로 단어 의미를 알려준다.)
① 투수 ② 뿌리 ③ 쓰레기 ④ 오뚝이 ⑤ 아가씨
4. 교사가 부르면 듣고 쓰기 ( 연음법칙 때문에 음가와 표기가 다른 경우를 이해시킨다.)
① 책을[책] ② 달에서[달] ③ 돈이[돈] ④ 몫이[몫] ⑤ 밤에[밤]
<연음 법칙>
가: 7종성의 연음
1) [K] : ㄱ, ㅋ
2) [n] : ㄴ
3) [t] : ㄷ, ㅅ, ㅈ, ㅊ, ㅌ, ㅎ
4) [l] : ㄹ
5) [m] : ㅁ
6) [p] : ㅂ, ㅍ
7) [ŋ] : ㅇ
1. ㄱ : 책 - 책을 [채글] 가족 - 가족이 [가조기]
ㅋ : 부엌 - 부엌에 [부어케] 동녘 - 동녘에 [동녀케]
2. ㄴ : 손 - 손이 [소니] 산 - 산에서 [사네서]
3. ㄷ : 믿다 - 믿으니 [미드니] 닫다 - 닫아서 [다다서]
ㅅ : 옷 - 옷이 [오시] 웃다 - 웃어서 [우서서]
ㅈ : 낮 - 낮에 [나제] 늦다 - 늦으면 [느즈면]
ㅊ : 꽃 - 꽃이 [꼬치] 쫓다 - 쫓아서 [쪼차서]
ㅌ : 끝 - 끝에서 [끄테서] 뱉다 - 뱉으니 [배트니]
ㅎ : 좋다 - 좋은 [조은] 낳다 - 낳아서 [나아서]
4. ㄹ : 달 - 달을 [다를] 얼굴 - 얼굴에 [어구레]
5. ㅁ : 봄 - 봄에 [보메] 마음 - 마음이 [마으미]
6. ㅂ : 집 - 집에 [지베] 밥 - 밥을 [바블]
ㅍ : 앞 - 앞에 [아페] 덮다 - 덮어 [더퍼]
7. ㅇ : 시장 - 시장에 [시장에] 공항 - 공항으로 [공항으로]
나. 겹받침의 연음
1. ㄳ : 몫 [목] 몫이 [목시]
2. ㄵ : 앉다 [안따] 앉으니 [안즈니]
3. ㄶ : 많다 [만타] 많으면 [마느면]
4. ㄾ : 핥다 [할따] 핥아 [할타]
6. ㅄ : 값 [갑] 값이 [갑시]
7. ㄻ : 삶다 [삼따] 삶아 [살마]
8. ㄿ : 읊다 [읍따] 읊어 [을퍼]
9. ㄼ : 얇다 [얄따] 얇아서 [얄바서]
10. ㄺ : 닭 [닥] 닭이 [달기]
늙다 [늑다] 늙으면 [늘그면]
@ 맑고 [말꼬] 맑은 [말근]
<자음동화>
1. ㅁ, ㅇ, ㄴ + ㄹ → ㄴ
음력 → 음녁 정류장 → 정뉴장
침략 → 침냑 대통령 → 대통녕
심리학 → 심니학 승리 →승니
결단력 → 결단녁
음운론 → 음운논
횡단로 → 횡단노
2. ㄴ + ㄹ → ㄹ + ㄹ
신라 → 실라 논리 → 놀리
인류 → 일류 권력 → 궐력
원리 → 월리 진리 → 질리
<구개음화>
1. ㄷ + 이 → 지
2. ㅌ + 이 → 치
맏이 → 마지 같이 → 가치
굳이 → 구지 끝이 → 끄치
곧이 → 고지 바깥이 → 바까치
3. ㄷ + 히 → 치
묻히다 → 무치다
닫히다 → 다치다
걷히다 → 거치다
<경음화 >
ㄱ
ㄴ
+
ㄷ
ㅂ
ㄱ → ㄲ
ㄷ → ㄸ
ㅂ → ㅃ
ㅅ → ㅆ
ㅈ → ㅉ
1. ㄱ + ㄱ, ㄷ, ㅂ, ㅅ, ㅈ 2. ㄴ + ㄱ, ㄷ, ㅂ, ㅅ, ㅈ
학교 → 학꾜 인격 → 인
음을 따라 읽게 하고 최소 대립어로 의미를 비교시킨다.
4) (ㄱ/ㅋ/ㄲ, ㄷ/ㅌ/ㄸ, ㅂ/ㅍ/ㅃ, ㅈ/ㅊ/ㅉ, ㅅ/ㅆ 발음을 함께 연습 시킨다.)
들을 때보다 발음할 때 일본인의 경우 경음 발음을 특히 어려워한다. 서양인의 경우 “사람 / 싸람”과 같은 오류가 잦음을 제시한다.
2. 단받침, 겹받침
받침은 한국어만이 지닌 독특한 요소이므로 한국어 음절 구조를 통해 받침의 의미와 종류, 음가 등을 정확히 이해시킨다.
1) (음절 구조를 살펴본다.)
(1) 모음 : 아
(2) 자 + 모 : 가 / 고
(3) 자 + 모 + 자 : 간 / 곰
(4) 자 + 모 + 자 + 자 : 맑 / 몫
이러한 음절 구조 중 3), 4)에서처럼 아랫부분을 구성하는 것이 받침이며 “자음”이나 “자음+자음”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전자를 “단받침”, 후자를 “겹받침”이라 한다.
2) ( 단받침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ㅌ,ㅋ,ㅍ,ㅎ 을 보여준다)
이 때 특히 “ㅇ”은 받침일 경우만 음가가 있음을 설명한다. 받침을 가르칠 때는 모든
모음을“ㅏ, ㅑ, ㅓ, ㅕ...”식이 아니라 “아, 야, 어, 여...”식으로 표기한다.
< ㄴ/ㅁ/ㅇ 받침 연습 >
(1) 입 모양으로 각 받침의 발음 특징을 설명해주고 따라 하게 한다.
(ㄴ:혀를 윗 잇몸에 붙인다./ㅁ: 입술이 다물어진다./ㅇ: 두 입술이 벌어진다.)
(2) 교사가 부르면 듣고 고르기 / 빈 종이에 듣고 쓰기
곤부/공부/곰부
정말/점말/전말
동전/돈전/돈정
점하/정하/전화
편지/평지/폄지
(틀리면 위 2.일본인 발음 오류 ん을 참고하여 원인을 설명한다.)
3) ( 겹받침 ㄲ,ㅆ, ,,,,,,, , ,, 을 배운다.)
먼저 모음이 후행될 때 받침 음가가 연음됨을 보여준다. (연음법칙)
“ㄲ”: 닦아[다까] , “ㅆ”: 있어[이써], “ ”: 삯이[삭시], “”: 앉아[안자]
“”: 많아[마나], “”: 읽어[일거], “”: 젊어[절머] ......“”:없어[업서]
4) ( 대표음 7종성을 가르친다.)
많은 겹받침으로 어려움을 느낄 때 7종성으로 간단히 묶어 정리해준다.
< 7종성 >
한국어의 받침은 여러 개이지만 그 음가는 단 7 개뿐이다.
1) [ㄱ-k] : ㄱ(책), ㅋ(부엌), ㄲ(섞다), (몫), (읽다)
2) [ㄴ-n] : ㄴ(편지), (앉다), (많다)
3) [ㄷ-t] : ㄷ(숟가락), ㅅ(옷), ㅈ(낮), ㅊ(꽃), ㅌ(끝), ㅎ(히읗), ㅆ(있다)
4) [ㄹ-l] : ㄹ(달), (여덟), (외곬), (핥다), (잃다)
5) [ㅁ-m] : ㅁ(밤), (젊다)
6) [ㅂ-p] : ㅂ(밥), ㅍ(잎), (없다), (읊다)
7) [ㅇ-ŋ] : ㅇ(강)
<자음 확인 연습 문제>
1. 경음, 격음 문제지 법( 2-(2)문제지법 자료를 이용한다.)
질문지와 답안지를 배부하고 정답은 그 자리에서 맞춰준다. 같은 테스트를 학습 초기와 중기, 말기로 나누어 여러 차례 실시하면 발음 듣기 능력의 변화를 살펴볼 수도 있다.
2. 교사가 부르면 답 고르기 ( 그림으로 단어 의미를 알려주면 흥미가 유발된다.)
① 토끼 , 도끼 ② 뿌리 , 부리 ③ 차 , 자 ④ 포도 , 보도 ⑤ 기차 , 기자
3. 교사가 부르면 답 받아쓰기 ( 틀린 부분 서로 고치기. 그림으로 단어 의미를 알려준다.)
① 투수 ② 뿌리 ③ 쓰레기 ④ 오뚝이 ⑤ 아가씨
4. 교사가 부르면 듣고 쓰기 ( 연음법칙 때문에 음가와 표기가 다른 경우를 이해시킨다.)
① 책을[책] ② 달에서[달] ③ 돈이[돈] ④ 몫이[몫] ⑤ 밤에[밤]
<연음 법칙>
가: 7종성의 연음
1) [K] : ㄱ, ㅋ
2) [n] : ㄴ
3) [t] : ㄷ, ㅅ, ㅈ, ㅊ, ㅌ, ㅎ
4) [l] : ㄹ
5) [m] : ㅁ
6) [p] : ㅂ, ㅍ
7) [ŋ] : ㅇ
1. ㄱ : 책 - 책을 [채글] 가족 - 가족이 [가조기]
ㅋ : 부엌 - 부엌에 [부어케] 동녘 - 동녘에 [동녀케]
2. ㄴ : 손 - 손이 [소니] 산 - 산에서 [사네서]
3. ㄷ : 믿다 - 믿으니 [미드니] 닫다 - 닫아서 [다다서]
ㅅ : 옷 - 옷이 [오시] 웃다 - 웃어서 [우서서]
ㅈ : 낮 - 낮에 [나제] 늦다 - 늦으면 [느즈면]
ㅊ : 꽃 - 꽃이 [꼬치] 쫓다 - 쫓아서 [쪼차서]
ㅌ : 끝 - 끝에서 [끄테서] 뱉다 - 뱉으니 [배트니]
ㅎ : 좋다 - 좋은 [조은] 낳다 - 낳아서 [나아서]
4. ㄹ : 달 - 달을 [다를] 얼굴 - 얼굴에 [어구레]
5. ㅁ : 봄 - 봄에 [보메] 마음 - 마음이 [마으미]
6. ㅂ : 집 - 집에 [지베] 밥 - 밥을 [바블]
ㅍ : 앞 - 앞에 [아페] 덮다 - 덮어 [더퍼]
7. ㅇ : 시장 - 시장에 [시장에] 공항 - 공항으로 [공항으로]
나. 겹받침의 연음
1. ㄳ : 몫 [목] 몫이 [목시]
2. ㄵ : 앉다 [안따] 앉으니 [안즈니]
3. ㄶ : 많다 [만타] 많으면 [마느면]
4. ㄾ : 핥다 [할따] 핥아 [할타]
6. ㅄ : 값 [갑] 값이 [갑시]
7. ㄻ : 삶다 [삼따] 삶아 [살마]
8. ㄿ : 읊다 [읍따] 읊어 [을퍼]
9. ㄼ : 얇다 [얄따] 얇아서 [얄바서]
10. ㄺ : 닭 [닥] 닭이 [달기]
늙다 [늑다] 늙으면 [늘그면]
@ 맑고 [말꼬] 맑은 [말근]
<자음동화>
1. ㅁ, ㅇ, ㄴ + ㄹ → ㄴ
음력 → 음녁 정류장 → 정뉴장
침략 → 침냑 대통령 → 대통녕
심리학 → 심니학 승리 →승니
결단력 → 결단녁
음운론 → 음운논
횡단로 → 횡단노
2. ㄴ + ㄹ → ㄹ + ㄹ
신라 → 실라 논리 → 놀리
인류 → 일류 권력 → 궐력
원리 → 월리 진리 → 질리
<구개음화>
1. ㄷ + 이 → 지
2. ㅌ + 이 → 치
맏이 → 마지 같이 → 가치
굳이 → 구지 끝이 → 끄치
곧이 → 고지 바깥이 → 바까치
3. ㄷ + 히 → 치
묻히다 → 무치다
닫히다 → 다치다
걷히다 → 거치다
<경음화 >
ㄱ
ㄴ
+
ㄷ
ㅂ
ㄱ → ㄲ
ㄷ → ㄸ
ㅂ → ㅃ
ㅅ → ㅆ
ㅈ → ㅉ
1. ㄱ + ㄱ, ㄷ, ㅂ, ㅅ, ㅈ 2. ㄴ + ㄱ, ㄷ, ㅂ, ㅅ, ㅈ
학교 → 학꾜 인격 → 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