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식][바람직한 직업의식][직업의식 사례]직업의식의 개념, 직업의식의 요인, 바람직한 직업의식과 그릇된 직업의식, 한국인의 직업의식,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의식, 직업의식 사례 심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업의식][바람직한 직업의식][직업의식 사례]직업의식의 개념, 직업의식의 요인, 바람직한 직업의식과 그릇된 직업의식, 한국인의 직업의식,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의식, 직업의식 사례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직업의식의 개념

Ⅲ. 직업의식의 요인

Ⅳ. 바람직한 직업의식과 그릇된 직업의식
1. 바람직한 직업의식
2. 그릇된 직업의식

Ⅴ. 한국인의 직업의식

Ⅵ.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의식

Ⅶ. 세무직의 직업의식

Ⅷ. PD의 직업의식

Ⅸ. 국내 기술인의 직업의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 간부와의 갈등(3%) 등의 순이었다. 한편 현재 제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한다가 52.9%(매우 만족 3.5%), 그저 그렇다는 응답은 39%였는데,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업무 배정을 해주지 않아서(44.2%), 능력이 안 돼서(22%), 희망부서 발령을 받지 못해(20.8%) 등의 순이었다(PD연합회보).
Ⅸ. 국내 기술인의 직업의식
국내 기술인들이 느끼는 우리 사회의 기술경시 풍조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기술인들의 의욕을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朴容晟)가 기계, 전기, 전자 등 12개 분야의 국내 전문 기술인(기술사, 기능장) 3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국내 기술인의 직업의식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술인들의 80.6%가 우리사회의 기술 경시풍조를 체감하고 있으며, 기술직에 대한 사회인식이 과거에 비해 개선된 것이 없다고 응답한 비중이 67.6%(그다지 개선되지 않음 43.3%, 전혀 개선되지 않음 24.3%)로 나타나 우리 사회의 기술인력, 기술직에 대한 인식변화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사회분위기를 반영하듯 다시 태어나도 현재의 길을 다시 선택할지 여부에 대해 같은 길을 걷겠다가 54.3%로 나타난 가운데, 같은 길을 걷지 않겠다는 응답도 45.7%에 달해 기술인 가운데 대략 두 명중 한명 꼴로 현재의 직업선택에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해 가장 큰 상실감을 느낄 때는 주위에서 기술직을 낮게 평가할 때(30.6%)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인 가운데 보수진급 등 대우가 미흡할 때(17.1%), 기술을 배우려는 후배가 없을 때와 관리직과 차별대우할 때가 각각 15.0%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받고 있는 대우 수준과 관련해서는 합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응답이 53.5%(충분히 대우 11.3%, 어느 정도 대우 42.2%)로 과반을 상회한 가운데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46.5%의 높은 비중을 보였다.
특히 관리직과 비교해 대우가 열악하다는 응답비중(43.1%)이 우월하다는 응답비중(15.3%)의 3배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직에 대해 느끼는 상대적인 박탈감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국내 기술인들의 자기 일에 대한 보람과 자긍심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종사하고 있는 일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이 85.8%(매우 만족 41.3%, 대체로 만족 44.5%)로 압도적인 비중을 보인 가운데 불만인 경우는 14.2%(대체로 불만 13.0%, 매우 불만 1.2%)에 불과했다.
기술직에서 관리직으로 전환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서도 전환하지 않겠다(65.6%)가 전환하겠다(34.4%)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한편, 새로운 기술개발을 위해 노력한다는 응답도 87.3%(매우 44.8%, 대체로 42.5%)로 나타나 신기술 습득에 강한 의욕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마지막으로 국내 기술 인력의 자긍심과 장인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기술수준에 합당한 대우보장(39.3%)과 기술정책의 우선순위 제고(39.0%)를 많이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기술개발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10.7%), 우수기술인 정부포상 강화(6.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김경동(1979), 직업평가에 의한 기회구조의 인식,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1권 3호: 63-76
김병진(1998), 생활과 직업관, 학문사
박완신 외(1997), 현대 사회와 직업관, 서울 : 지구 문화사
유홍준(2000), 직업사회학, 경문사
이정근(1998), 직업의 실제, 성원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2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