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콘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실험 레포트입니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콘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실험 레포트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의 목적

2. 실험 배경지식

3. 실험 기구 및 재료

4. 실험 방법 (두 개 재료의 과정은 동일함)

5. 오차의 원인 및 고찰

본문내용

슬래그 미분말의 밀도 참값으로 보고 오차를 구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오차가 8.377%였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5.641%정도의 오차가 나왔다. 두 개 값의 평균은 오차는 7%정도가 되었다.
이 실험 역시 오차의 범위가 그리 크지 않았지만 플라이 애쉬보다는 오차가 다소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오차의 원인 및 고찰
플라이애쉬 및 고로 슬래그는 콘크리트의 혼화재로서 매우 큰 쓰임을 받고 있는 재료들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두 개의 실험 모두 시멘트의 밀도 시험과 마찬가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4개의 실험 값 모두 이론값과 정확히 일치를 하지 않고 오차를 보이는 이유 를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첫째, 비중병에 시료를 넣을 때 오차의 원인이 생긴다 처음에 실험을 하러 왔을 때 앞 조에서 실험을 하고 난후 실험 재료들을 깨끗하게 등유로 씻어 놓지 않아서 깔때기에 플라이애쉬 및 시멘트, 고로슬래그 등이 묻어있었다.
하지만 가루와 색깔만 보아서는 그 세 개를 분명하게 구별할 수 없어서 실제로 넣어야 할 플라이애쉬 45g과 고로슬래그 55g 이외에도 작지만 다른 재료들이 섞여서 질량이 더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비중병의 벽에 시료가 묻어서 모든 재료를 실험에 이용하지 못했다. 우리 조가 처음 플라이 애쉬를 등유 안에 넣을 때 비중병 벽에 플라이 애쉬가 묻어서 완전히 다 넣지 못하였다.
셋째, 시멘트의 밀도 실험과 마찬가지로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였다. 비중병을 기울여서 밑 부분의 볼록한 부분을 잡고 여러 번 돌려보았을 때 기포가 횟수가 늘어날수록 많이 제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완벽하게 제거하지는 못하였다.
넷째, 수를 반올림 하였으므로 유효숫자 상에 따른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다섯째, 실험을 할 때 비중병의 벽에 재료가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깔때기를 넣고 그 안에 흰 종이를 넣어 재료가 지나가는 길을 만들어 주었다. 그렇지만 워낙 목이 좁다보니 재료가 내려오면서 막히는 부분이 발생하였다.
이 때 그 막힌 부분과 비중병의 볼록한 부분의 경계를 손으로 톡톡 주면서 뭉쳐있는 재료를 흩어지게 해야 한다. 하지만 재료를 붓는 사람이 일정한 양을 계속 주입할 수 없으므로 갑자기 재료가 뭉쳤을 때 깔때기 안에 넣었던 흰 종이가 젖으면서 재료가 같이 종이에 묻기도 하였다.
여섯째, 광유의 양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웠다. 광유 역시 기름이기 때문에 표면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고 밑으로 오목한 형상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ml를 측정하기 어려웠으며 목이 길고 좁은 비중병 덕분에 매우 조심스럽게 광유를 넣어야 했다.
오차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 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중요한 것은 실험재료가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번 실험처럼 실험 전의 준비가 완벽하게 되어 있지 않다면(실험 기구를 등유로 깨끗하게 씻어 놓지 않는것)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한다.
둘째, 재료를 비중병에 넣는 사람과 재료가 뭉치지 않도록 두드려주는 사람 사이에 소통이 잘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중병을 두드리는 사람은 재료가 뭉칠 때쯤에는 계속 두드리는 것보다는 넣는 사람에게 잠시 중지하라고 요청해야 한다.
셋째, 깔때기에 재료의 길을 만들어줄 종이를 우리는 A4용지를 사용하였지만 액체 성분과 닿으면 흡수하거나 묻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해결할 종이를 깔때기에 삽입하는 것이 실험의 정확성을 더 높이는 것이라고 하겠다.
넷째, 공기의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을 강구한다. 물론, 완벽하게 제거할 수는 없지만 비중병을 돌리는 횟수를 늘려주거나 하는 방안 등을 연구하면 더 많은 공기를 제거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유효숫자의 개수를 늘린다.
반올림에 의한 오차를 없애기 위하여 유효숫자의 개수를 늘린다.
여섯째, 광유를 넣을 때 소량으로 조금씩 넣어 준다. 적당한 양이 된 후 광유를 넣을 때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pet병의 병 뚜껑이나 매우 작은 부피의 그릇을 이용하여 남는 광유를 조금씩 넣어주면 더 정확한 실험이 될 것이다.
7. 느낀 점
플라이애쉬 실험을 내가 속해있는 조가 했었는데 오차가 매우 작게 나와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비중병을 돌려 줄 때 경사지게 돌려서 기포가 없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손으로 돌리다보면 체온이 전달되어 비중병 속의 광유의 온도가 올라가서 어떤 영향을 주지 않을 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물론 그 온도의 차이는 매우 미비하므로 그리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28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