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 방사 - 재포획법 (mark-recapture method)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지 - 방사 - 재포획법 (mark-recapture metho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목 : 표지-방사-재포획법

2. 실험목적

3. 이론적 배경
1) 간접적인 밀도 측정의 이유
2) 재포획법 (mark-recapture method)

4. 재료 및 방법

5. 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를 비교해보고자 <실험4>와 <실험5>를 추가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4>는 C=15, R=30인 경우로 하였다. <실험4>를 <실험3>과 비교하여 R의 차이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보려고 하였다. <실험4>의 결과로 평균이 69.107이 나왔는데 이것은 <실험3>보다 확실히 더 정확한 결과이다. 이 두 가지 실험을 통해 R의 크기가 증가하면 표지-재포획법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5>는 C=5, R=30인 경우인데, 평균이 52.5로 5가지의 실험 경우 중에 가장 부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1>과 <실험5>를 비교해보면 이것도 역시 R의 증가에 따른 영향을 볼 수 있는데 위의 <실험3>과 <실험4>를 비교했던 것과는 반대로 R의 크기가 작은 <실험1>에서 더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R의 크기가 절대적으로 큰 것이 항상 정확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C와 R의 크기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서로의 크기에 대해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즉 C의 값이 너무 작을 때 절대적인 R의 크기가 커진다고 해서 결과가 항상 더 정확해지지는 않으며 C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R의 크기가 적절히 결정되어야 실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C의 크기는 개체군의 전체 크기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실험1>의 경우 <실험5>의 경우보다 정확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실험4>보다는 부정확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 이유가 C의 크기가 적절하게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전체 개체군이 70인데 <실험1>의 경우에는 5개만을 표지하였고, <실험4>의 경우에는 15개를 표지하였다. 70개 전체 개체군 수를 생각한다면 5개보다는 15개를 표지한 경우가 좀 더 표지-재포획법을 실시하기에 적당한 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개체군 크기가 커질수록 표지하는 수도 그만큼 커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위의 5가지 실험 중 <실험2>와 <실험3>을 통하여 C의 증가가 표지-재포획법의 정확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실험3>,<실험4>를 통해 그리고 <실험1>, <실험5>를 통해 R의 증가가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기여하지만 그 크기가 C와 상대적인 것이어서 C와 비교하여 적정수준에서 R의 최대크기가 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C의 크기 또한 전체 개체군 크기를 고려하여 너무 작거나 너무 크지 않은 적당한 수로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개체군의 수를 표지-재포획법으로 추정할 때 C와 R값을 신중히 정해야 하는데, 개체군의 크기가 어느 정도 크거나 작을 것이라는 예상 하에 C를 적정한 수준으로 정하고 그에 맞춰서 R의 값도 적정 수준으로 결정해야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7. 참고문헌
최기철. 1989년. 6판. 「기초생태학」. 향문사. pp.50~52
김종원 외. 2004년. 2판. 「이것이 생태학이다.」. 월드사이언스. pp.153~157
이준우. 2003년. 초판. 「환경생태학」. 동화기술. pp.74~75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