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대의 경제 생활
2. 고려의 경제 정책과 토지제도
3. 조선의 경제 정책과 토지제도
4. 토지조사사업
5. 농경의 발달 과정
2. 고려의 경제 정책과 토지제도
3. 조선의 경제 정책과 토지제도
4. 토지조사사업
5. 농경의 발달 과정
본문내용
⑥ 농서 편찬
㉠ 농사직설(세종, 정초)
┌ 우리 실정에 맞는 최초의 농서 편찬
├ 농부들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편찬
├ 이앙법인 모내기법 소개
└ 씨앗 저장 방법, 품종 개량 방법 등 소개
㉡ 금양잡록(성종, 강희맹) → 시흥 지방의 농법 소개
㉢ 구황촬요(명종, 국가) → 기근을 모면하기 위해 국가가 번역하여 보급
10) 조선후기
① 농경지 확대
㉠ 왕실·양반 지주층에 의해 황무지 개간
㉡ 늪지나 하천의 간척지 개간 - 영·정조 때 145만 결로 농지 확대
② 농법 개발
㉠ 논농사(=수전) : 직파법에서 이앙법으로 발전 ┐ 광작
㉡ 밭농사(=한전) : 농종법에서 견종법으로 발전 ┘ 현상
③ 수리 시설의 정비
㉠ 제언사 설치(1662, 현종)
㉡ 제언절목 반포(1778, 정조)
④ 상업작물 재배 - 인삼, 담배, 고추, 호박, 토마토 등
⑤ 구황작물 재배┌ 고구마 → 조엄이 쓰시마에서 영조때 전래(18C)
└ 감 자 → 청에서 헌종때 전래(19C)
⑥ 고구마 재배법 소개 : 강필리의 감저보, 김장순의 감저신보, 서유구의 종저보 등 편찬
⑦ 지주제의 변동 초래
㉠ 광작 또는 합리적 경영에 의한 서민 지주의 등장으로 지주-전호관계 변화
㉡ 종래의 신분적 지배-예속관계를 탈피, 순수한 경제적 관계로 진전
⑧ 지대의 변화
㉠ 타조법이 일반적이나 도조법 등장
㉡ 화폐지대인 지대의 금납화 가능
㉢ 전호권의 성장과 지주권의 약화
⑨ 농서 편찬
㉠ 성리학적 농서 - 농가집성(효종, 신속)
ⓐ 조선전기 농서를 집대성함
ⓑ 전기의 농사직설의 농학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이앙법과 견종법으로의 기술적인 전환과 그 보급을 목표로 편찬하였으나, 아직 지주제를 그대로 계승하는 범위 내에서 농법의 개량만을 주장함
㉡ 실학적 농서
ⓐ 색경(박세당) : 현종 때, 채소·과수·화초 등의 재배법과 목축·양잠기술소개, 종법 보급에 기여, 지주제적 경영 부정
ⓑ 산림경제(홍만선) : 숙종 때, 농업 이외의 임업, 축산 등에 관한 농의학사전
ⓒ 임원경제지(서유구) : 순조 때, 축산, 원예, 상업적 농업 등에 이르기까지 집대성한 농업백과사전, 경영형 부농의 경영 원리를 바탕으로 임노동하의 지주제를 구상하여 체계화 함
ⓓ 과농소초(박지원) : 순조 때, 전제, 농기구 수리, 영농에 대한 언급, 한전론 주장, 당시 농서 중 체계가 가장 완벽하며 수리 조항을 처음으로 신설함
ⓔ 해동농서(서수호) : 정조 때 왕명으로 편찬한 한국농학을 집대성한 농서
㉠ 농사직설(세종, 정초)
┌ 우리 실정에 맞는 최초의 농서 편찬
├ 농부들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편찬
├ 이앙법인 모내기법 소개
└ 씨앗 저장 방법, 품종 개량 방법 등 소개
㉡ 금양잡록(성종, 강희맹) → 시흥 지방의 농법 소개
㉢ 구황촬요(명종, 국가) → 기근을 모면하기 위해 국가가 번역하여 보급
10) 조선후기
① 농경지 확대
㉠ 왕실·양반 지주층에 의해 황무지 개간
㉡ 늪지나 하천의 간척지 개간 - 영·정조 때 145만 결로 농지 확대
② 농법 개발
㉠ 논농사(=수전) : 직파법에서 이앙법으로 발전 ┐ 광작
㉡ 밭농사(=한전) : 농종법에서 견종법으로 발전 ┘ 현상
③ 수리 시설의 정비
㉠ 제언사 설치(1662, 현종)
㉡ 제언절목 반포(1778, 정조)
④ 상업작물 재배 - 인삼, 담배, 고추, 호박, 토마토 등
⑤ 구황작물 재배┌ 고구마 → 조엄이 쓰시마에서 영조때 전래(18C)
└ 감 자 → 청에서 헌종때 전래(19C)
⑥ 고구마 재배법 소개 : 강필리의 감저보, 김장순의 감저신보, 서유구의 종저보 등 편찬
⑦ 지주제의 변동 초래
㉠ 광작 또는 합리적 경영에 의한 서민 지주의 등장으로 지주-전호관계 변화
㉡ 종래의 신분적 지배-예속관계를 탈피, 순수한 경제적 관계로 진전
⑧ 지대의 변화
㉠ 타조법이 일반적이나 도조법 등장
㉡ 화폐지대인 지대의 금납화 가능
㉢ 전호권의 성장과 지주권의 약화
⑨ 농서 편찬
㉠ 성리학적 농서 - 농가집성(효종, 신속)
ⓐ 조선전기 농서를 집대성함
ⓑ 전기의 농사직설의 농학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이앙법과 견종법으로의 기술적인 전환과 그 보급을 목표로 편찬하였으나, 아직 지주제를 그대로 계승하는 범위 내에서 농법의 개량만을 주장함
㉡ 실학적 농서
ⓐ 색경(박세당) : 현종 때, 채소·과수·화초 등의 재배법과 목축·양잠기술소개, 종법 보급에 기여, 지주제적 경영 부정
ⓑ 산림경제(홍만선) : 숙종 때, 농업 이외의 임업, 축산 등에 관한 농의학사전
ⓒ 임원경제지(서유구) : 순조 때, 축산, 원예, 상업적 농업 등에 이르기까지 집대성한 농업백과사전, 경영형 부농의 경영 원리를 바탕으로 임노동하의 지주제를 구상하여 체계화 함
ⓓ 과농소초(박지원) : 순조 때, 전제, 농기구 수리, 영농에 대한 언급, 한전론 주장, 당시 농서 중 체계가 가장 완벽하며 수리 조항을 처음으로 신설함
ⓔ 해동농서(서수호) : 정조 때 왕명으로 편찬한 한국농학을 집대성한 농서
추천자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국민기초생활보장법][기초생활보장]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배경, 국...
[남북통합][남한][북한][통합][남한과 북한 통합]남북한 독립유공자 통합, 남북한 가치관 통...
[보훈제도][보훈정책][보훈][캐나다][미국][일본][호주]캐나다의 보훈제도사례(보훈정책사례)...
[직능자격제도][인사관리][인사]인사관리의 시대별 접근방법, 인사관리의 환경과 직능자격제...
[환경감사제도][환경감사][감사제도][감사][법제화]환경감사제도의 정의와 환경감사제도의 용...
[선분양제도][선분양제도의 현황][선분양제도의 관련규정][선분양제도의 퇴조][선분양제도의 ...
[후분양제도의 정착가능성][후분양제도와 주택개발금융][후분양제도의 문제점][후분양제도의 ...
[과세제도][다국적 과세][기업인수][파생금융상품][지대세][골프장][과세][세금][조세][세제]...
[금융, 전자금융, 우체국금융, 주택금융]금융과 전자금융, 우체국금융, 금융과 주택금융, 토...
[공시, 부문별 공시, 부실공시, 소비자정보공시, 주식배당공시, 유상증자공시, 신용리스크공...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수립,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의의,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경제체...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대상,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법인세,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
지방자치제도의 개선방안,지방행정제도의 개편,주민참여제도,대의민주주의의,직접민주주의 - ...
대천덕 신부가 말하는 토지와 경제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