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책과 토지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제 정책과 토지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대의 경제 생활

2. 고려의 경제 정책과 토지제도

3. 조선의 경제 정책과 토지제도

4. 토지조사사업

5. 농경의 발달 과정

본문내용

⑥ 농서 편찬
㉠ 농사직설(세종, 정초)
┌ 우리 실정에 맞는 최초의 농서 편찬
├ 농부들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편찬
├ 이앙법인 모내기법 소개
└ 씨앗 저장 방법, 품종 개량 방법 등 소개
㉡ 금양잡록(성종, 강희맹) → 시흥 지방의 농법 소개
㉢ 구황촬요(명종, 국가) → 기근을 모면하기 위해 국가가 번역하여 보급
10) 조선후기
① 농경지 확대
㉠ 왕실·양반 지주층에 의해 황무지 개간
㉡ 늪지나 하천의 간척지 개간 - 영·정조 때 145만 결로 농지 확대
② 농법 개발
㉠ 논농사(=수전) : 직파법에서 이앙법으로 발전 ┐ 광작
㉡ 밭농사(=한전) : 농종법에서 견종법으로 발전 ┘ 현상
③ 수리 시설의 정비
㉠ 제언사 설치(1662, 현종)
㉡ 제언절목 반포(1778, 정조)
④ 상업작물 재배 - 인삼, 담배, 고추, 호박, 토마토 등
⑤ 구황작물 재배┌ 고구마 → 조엄이 쓰시마에서 영조때 전래(18C)
└ 감 자 → 청에서 헌종때 전래(19C)
⑥ 고구마 재배법 소개 : 강필리의 감저보, 김장순의 감저신보, 서유구의 종저보 등 편찬
⑦ 지주제의 변동 초래
㉠ 광작 또는 합리적 경영에 의한 서민 지주의 등장으로 지주-전호관계 변화
㉡ 종래의 신분적 지배-예속관계를 탈피, 순수한 경제적 관계로 진전
⑧ 지대의 변화
㉠ 타조법이 일반적이나 도조법 등장
㉡ 화폐지대인 지대의 금납화 가능
㉢ 전호권의 성장과 지주권의 약화
⑨ 농서 편찬
㉠ 성리학적 농서 - 농가집성(효종, 신속)
ⓐ 조선전기 농서를 집대성함
ⓑ 전기의 농사직설의 농학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이앙법과 견종법으로의 기술적인 전환과 그 보급을 목표로 편찬하였으나, 아직 지주제를 그대로 계승하는 범위 내에서 농법의 개량만을 주장함
㉡ 실학적 농서
ⓐ 색경(박세당) : 현종 때, 채소·과수·화초 등의 재배법과 목축·양잠기술소개, 종법 보급에 기여, 지주제적 경영 부정
ⓑ 산림경제(홍만선) : 숙종 때, 농업 이외의 임업, 축산 등에 관한 농의학사전
ⓒ 임원경제지(서유구) : 순조 때, 축산, 원예, 상업적 농업 등에 이르기까지 집대성한 농업백과사전, 경영형 부농의 경영 원리를 바탕으로 임노동하의 지주제를 구상하여 체계화 함
ⓓ 과농소초(박지원) : 순조 때, 전제, 농기구 수리, 영농에 대한 언급, 한전론 주장, 당시 농서 중 체계가 가장 완벽하며 수리 조항을 처음으로 신설함
ⓔ 해동농서(서수호) : 정조 때 왕명으로 편찬한 한국농학을 집대성한 농서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30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3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