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시대의 오르가눔, 디스칸투스, 콘트라펑투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ntro

Organum (c. 850 - c. 1030)

Musica mensurabilis / discantus (1200s)

contrapunctus (1300s-1400s)

Conclusion

본문내용

련 프로그램을 보여주는데, 그것은 그가 일부 부분적인 영국의 실제들과, 칸투스 위에 두 성부 이상을 즉흥 연주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북부 이탈리아로 전파시켰음을 나타낸다.
정선율 위에서 즉흥 연주되는 다성부에 있어서 Guiliemus의 수사는, 그와 대략적으로 동시대 인물이며 Naples 궁정에 고용되었던 이론가이자 작곡가인 J. Tinctoris와는 다른 사고의 차이를 드러낸다. 1477년 팅크토리스의 Liber de arte contrapuncti는 이 전의 두 세기로부터 콘트라펑투스 이론의 절정에 이르는 다양한 방법들을 보여준다. 그가 언급한 주요 주제들은 음정진행, 대위를 위한 8개의 일반적인 법칙, 단순대위와 장식대위 사이에서의 구분 등이 있다. 팅크토리스가 그 이전의 이론가들과 크게 다른 것은 그가 존경하던 작곡가들의 기보된 다성 음악이나 작품을 강조한다는 것에 있다. 이것은 성악적이며 오직 연주되는 결과로서만 존재하는 콘트라펑투스와 쓰이거나 기보된 콘트라펑투스 사이를 구분했던 Paduan 이론가보다 초기 구분에 대한 반양이기도 하다. 두 이론가는 자신들이 설명한 일반적인 개념들이 쓰인 콘트라펑투스와 마찬가지로 시들해져 버리리라 지적하지만, 그러나 팅크토리스의 시작부에 제시한 소견에도 불구하고 그는 “대위의 기술”에 관한 균형이 쓰인 다성부를 향해 현저히 기울어져 있다.
Conclusion
오르가눔, 디스칸트 혹은 콘트라펑투스에 관한 과정에 관하여 쓴 이론가들은 여러 성부로 된 음악의 창출을 위하여 상당히 기초적인 훈련을 중요하게 다루었다는 것과, 그들이 교체한 내용들은 그들의 시대에 보편적으로 타당하게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으나 일정 범위 내의 문화적인 계층과 지역적인 장소 안에서의 특정한 실제들과 관련한다는 것이다. 둘 혹은 그 이상의 성부들이 어떻게 결합하는가에 관한 과거의 이론적인 저서들은 850년 ~ 1480년 기간 동안의 다성음악을 이끌었던 음악가들의 다양한 관점에 대한 지침을 마련해 주며, 이들은 기보된 레퍼토리들의 양식적 어법의 변화와 관련하기도 한다. 방대한 양의 논서들에서 보여지는 실제들은 필시 젊은 음악가들의 근본적인 감수성을 구체화 한 것이며, 그 결과로서 그 중 일부는 기보법을 통해 보존된 그들 자신만의 다성부를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제적인 영역은 다성부와 이론적인 원칙에 있어 대체적으로 구두로 구체화되었으며, 오직 일부분만이 쓰여진 작곡기법의 영역과 겹쳐졌다.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30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