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 7일정도 감 → 동쪽으로 더 감.

뵀사게타이인(Thyssagetore), 유르카이인(Iurcae)의 거주지:
⑴우랄산맥의 서북 경사지대(Minns의 주장)

아르깊파인(Argippaioi)의 거주지:
⑴투르크인설과 몽고인설의 대립.
⑵천산산맥과 알타인 산맥 사이의 지역.
⑶본서에서는 우랄산맥 동쪽 기슭의 민족이라 주장.
5. 스키타이 교역로 D < 잇세도네스인(Issedones) >
①많은 학자에 의해 티베트인으로 간주.
→ 잇세도네스인과 티베트인의 풍습이 유사. ex)해골가공풍습, 공처(共妻)풍습.
②but, 헤로도투스의 기록을 확대해석 하는 오류.
→ B.C 5C 경 타림분지 지역의 티베트인 세력은 극히 미약.
③잇세도네스인은 알타이 산맥 주변에 유목하고 있는 유목민일것임.
④여러 고분의 출토품은 스키타이, 그리스문화가 알타이 지방에서 농도 짙게
파급되었음을 시사.
6. 스키타이 교역로 E < 잇세도네스인 이후 >
아리마스포이(Arimaspoi) → 그리핀(Griffins) → 북극민(北極民,Hyperboreans)
①천산산맥 동부에서 동북쪽으로 흉노의 본거지에 이르는 루트 시사.
②타이가 지대의 북방수렵민 지역으로의 루트 시사.
7. 스키타이 교역로 F < 전체적인 개관 >
①당시 스키타이 상인들은 아르깊파인의 거주지 까지 직접 교역.
②동쪽의 여러나라의 물품들은 아르깊파인에 의해 중계되었음을 시사.
③헤로도투스의 기록이 아르깊파인까지는 정확하나 그 이후는 매우 모호해짐.
8. 스키타이 교역로의 교역품
①스키타이 인들은 보스포러스 왕국을 중계지로 하여 그리스 식민시와 교역.
②스키타이의 수출품.
⑴곡물: 소맥(小麥), 삼, 기장, 콩(豆), 향신류(香辛類) 등.
→ 소맥은 가장 중요한 수출품. 그리스의 식량자급의 불능으로 인하여.
⑵생선, 가축, 모피, 소금, 밀랍(蜜臘), 의약품, 노예, 금, 보석.
⑶모피는 부디노이와 뵀사게타이에서 중계.
⑷금은 알타이 산록에서 운반.
③그리스의 수출품.
⑴도자기, 초벌구이도자기, 청동기, 금은기, 황금제 장식품(귀장식,머리장식), 상아세공품.
⑵시리아, 이집트의 보석 가공품.
⑶올리브, 주류(酒類), 일용잡화.
9. 스키타이인과 그리스인의 문화교류.
①그리스 공예품은 스키타이와 그 외 유목민들에게 중히 여겨짐.
②스키타이 왕국, 흑해주변의 그리스 식민시, 사우로마티이인들 사이에서 모방품 제작.
③후에는 이들이 독자적 공예품을 제작.
④스키토-사우로마타이 문양의 융단, 벽걸이, 도자기, 호박(琥珀), 금은세공품이 등장.
⑤스키타이 문양의 전파.
⑴오오느츰사슴, 사자, 괴조, 그리핀 등이 서로 힘차게 물고 있는 독특한 의장(意匠).
⑵중국변경의 수원(綏遠) ~ 흑해연안의 쿠반(Kuban)rkd 유역에 걸쳐 널리 분포.
⑶미누신스크(Minusinsk), 오르도스(Ordos) 지방에서 중점적으로 출토 (동쪽지방)
⑷카프카즈(Kavkaz) 지방에서 중점적으로 출토 (서쪽지방)
⑸아쉬쿠즈(Ashkuz)부근에서 원시적 문양이 출토 → 거기에서 동서로 진출하여
독자적인 스키타이류의 문양 전개.
  • 가격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