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유득공
Ⅲ. 발해고
1. 저서 배경
2. 내용
3. 의의
Ⅳ. 주변국의 발해역사 인식
1. 중국
2. 러시아
3. 일본
4. 북한
Ⅴ. 결론
Ⅱ. 유득공
Ⅲ. 발해고
1. 저서 배경
2. 내용
3. 의의
Ⅳ. 주변국의 발해역사 인식
1. 중국
2. 러시아
3. 일본
4. 북한
Ⅴ. 결론
본문내용
히려는 것이고, 둘째는 한국사의 정통성을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에서 찾아, 신라사 위주의 신라중심적 남한 학계와 차별성을 두려는 것이다. 첫째의 문제는 남북한이 서로 공통점을 갖는 부분이다. 중국이 발해를 당나라의 지방정권이었던 홀한주도독부로 간주하고 중국사의 일부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둘째의 문제는 북한이 남쪽의 통설인 `통일신라'를 부정하고 `후기신라'로 규정짓고 '발해와 후기신라'라 하면서 발해를 앞세우고 있는 것이 다르다. 이러한 주장의 지리적인 이유가 크다고 볼 수 있는데, 북한이 그 자신의 정통성을 정립하는데 발해 중심의 역사를 도입시키려는 것이다. 즉 발해와 신라의 남북국시대와 현재의 북한과 남한의 상태를 발해사의 연구에까지 확장,적용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Ⅴ. 결론
A4용지 몇 장의 글로 우리조의 모든 생각들을 담기는 정말 어려운 것 같다. 여지껏 발해에 대해서 짧고 단편적인 지식을 갖고 있었을 뿐 직접 발해를 공부하고, 발해고의 역사적 의의를 공부해 보니 어려운 점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다. 발해에 대한 사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발해고에 대한 자료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발해를 우리나라 역사로 생각은 하고 있으면서 아직까지 발해에 대해 공부해서 박사논문을 받은 사람은 10명이 채 되지 않는다고 하니 얼마나 부끄러운 일인가. 진짜 역사는 책에만 써있다고 해서 역사가 아니다. 발해에 대해서 몸소 느끼고, 생각하는 사람 많이 발해를 진짜 우리 역사로 인식하는 사람들이다. 역사의 주인공들은 바로 우리들이다. 우리가 발해를 진짜 우리 역사로 인식하고, 생각하는 태도를 길렀으면 싶다.
Ⅴ. 결론
A4용지 몇 장의 글로 우리조의 모든 생각들을 담기는 정말 어려운 것 같다. 여지껏 발해에 대해서 짧고 단편적인 지식을 갖고 있었을 뿐 직접 발해를 공부하고, 발해고의 역사적 의의를 공부해 보니 어려운 점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다. 발해에 대한 사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발해고에 대한 자료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발해를 우리나라 역사로 생각은 하고 있으면서 아직까지 발해에 대해 공부해서 박사논문을 받은 사람은 10명이 채 되지 않는다고 하니 얼마나 부끄러운 일인가. 진짜 역사는 책에만 써있다고 해서 역사가 아니다. 발해에 대해서 몸소 느끼고, 생각하는 사람 많이 발해를 진짜 우리 역사로 인식하는 사람들이다. 역사의 주인공들은 바로 우리들이다. 우리가 발해를 진짜 우리 역사로 인식하고, 생각하는 태도를 길렀으면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