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성(性)을 금지당한 궁녀들
3. 왜 궁녀가 됐는가?
4. 돌파구 승은(承恩), 그리고 대식(對食)
5. 맺음말
*참고 문헌
2. 성(性)을 금지당한 궁녀들
3. 왜 궁녀가 됐는가?
4. 돌파구 승은(承恩), 그리고 대식(對食)
5.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 궁녀들만큼 수십 년 동안 궁중에서 일하면서 궁궐 내부의 사정을 속속들이 알게 되는 여성들이 출궁하여 다른 남자의 처나 첩이 된다면? 궁중 내부의 비밀이 고스란히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왕의 침소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외부에 누출되기라도 한다면 이는 왕의 신변에 크나큰 위험이 될 수도 있다. 안 그래도 출궁한 뒤에도 혹 비밀을 발설할 위험이 있는 궁녀들인데 여기에 다른 남자와 만나 간통이라도 한다면? 그렇게 되면 훨씬 비밀이 새어나갈 가능성이 높아지기에 궁궐 입장에서는 용납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궁녀들은 궁 밖으로 나가서도 궁녀라는 굴레 속에서 세속과 차단된 채 외롭고 쓸쓸한 삶을 살아야 했던 것이다.9)
-------------------------------------------------------------------------------------------------
4) 1)과 같음, p.229
5) 조선 시대의 임신한 여자 사형수는 출산 후 100일 후에 처형하는 것이 관례였지만 궁녀가 간통하여 임신한 경우 출산 후에
곧바로 처형하고 아이는 노비로 만들었다. 이 정도까지 엄한 처벌은 궁녀가 감히 다른 남자와 간통하지 못하게 하고 어느
남자도 감히 궁녀와 간통할 생각조차 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처사다.
6) 궁녀가 성을 금지당하고 궁 밖으로 나가지도 못하고 다른 남자와의 간통이 금지된 이유 중 하나에는 재가금지법 외에도 궁궐 내 비밀유지에 있었다. 궁녀들만큼 궁에서 수십 년간 일을 하면서 궁궐 내부의 시시콜콜한 사정들을 속속들이 알게 있는 여성은 없었다. 이런 궁녀들이 다른 남자와 혼인하거나 연인사이가 된다면 궁궐 내부의 비밀이 고스란히 드러날 가능성이 높았다.
아주 사소한 것 하나도 왕에겐 치명적일 수 있기에 궁녀들은 혼인을 할 수 없었고 궁에서 쉽게 나갈 수 없었으며 평상시에도 철저히 입단속을 받아야만 했다.
7) 궁궐에서는 왕, 왕비, 대비, 세자, 세자빈 등 왕족을 제외한 사람들이 중병에 걸리면 궁 밖으로 나가서 치료해야 했다.
8) 이는 국가 재정이 빈약해지면 불필요한 입을 줄이는 구실도 했다. 국가 재정인 어려워질 경우 관료들의 봉급을 줄이고, 관원의 수를 감축하기도 했는데, 왕도 궁녀의 수를 줄임으로써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3. 왜 궁녀가 됐는가?
효종실록 4년 9월 24일
조선 초기에는 관청의 기생을 궁녀로 뽑아 쓰기도 하고 기생 첩의 소생을 궁녀로
그러므로 궁녀들은 궁 밖으로 나가서도 궁녀라는 굴레 속에서 세속과 차단된 채 외롭고 쓸쓸한 삶을 살아야 했던 것이다.9)
-------------------------------------------------------------------------------------------------
4) 1)과 같음, p.229
5) 조선 시대의 임신한 여자 사형수는 출산 후 100일 후에 처형하는 것이 관례였지만 궁녀가 간통하여 임신한 경우 출산 후에
곧바로 처형하고 아이는 노비로 만들었다. 이 정도까지 엄한 처벌은 궁녀가 감히 다른 남자와 간통하지 못하게 하고 어느
남자도 감히 궁녀와 간통할 생각조차 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처사다.
6) 궁녀가 성을 금지당하고 궁 밖으로 나가지도 못하고 다른 남자와의 간통이 금지된 이유 중 하나에는 재가금지법 외에도 궁궐 내 비밀유지에 있었다. 궁녀들만큼 궁에서 수십 년간 일을 하면서 궁궐 내부의 시시콜콜한 사정들을 속속들이 알게 있는 여성은 없었다. 이런 궁녀들이 다른 남자와 혼인하거나 연인사이가 된다면 궁궐 내부의 비밀이 고스란히 드러날 가능성이 높았다.
아주 사소한 것 하나도 왕에겐 치명적일 수 있기에 궁녀들은 혼인을 할 수 없었고 궁에서 쉽게 나갈 수 없었으며 평상시에도 철저히 입단속을 받아야만 했다.
7) 궁궐에서는 왕, 왕비, 대비, 세자, 세자빈 등 왕족을 제외한 사람들이 중병에 걸리면 궁 밖으로 나가서 치료해야 했다.
8) 이는 국가 재정이 빈약해지면 불필요한 입을 줄이는 구실도 했다. 국가 재정인 어려워질 경우 관료들의 봉급을 줄이고, 관원의 수를 감축하기도 했는데, 왕도 궁녀의 수를 줄임으로써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3. 왜 궁녀가 됐는가?
효종실록 4년 9월 24일
조선 초기에는 관청의 기생을 궁녀로 뽑아 쓰기도 하고 기생 첩의 소생을 궁녀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