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솔린 엔진 분해와 조립 순서
2. 각부 명칭 설명
3. 사용되는 공구
4. 주의사항
2. 각부 명칭 설명
3. 사용되는 공구
4. 주의사항
본문내용
차축(車軸)에 관성(慣性) 모멘트가 큰 바퀴를 장치하여 플라이휠의 작용을 하게 한다. 내연기관에서는 가스압력의 변동 ·피스톤 크랭크기구 등에 의한 1사이클 동안의 구동력의 불균형은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없앨 수 없다. 구동력과 부하(負荷)에 차이가 있으면 회전속도가 변동한다. 기계는 회전하는 동안에 가능한 한 순조롭게 변동 없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변동을 적게 하기 위해 플라이휠을 사용한다. 또, 일반적으로 지름 ·중량이 모두 큰 바퀴를 사용하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를 많이 흡수 ·보유하므로 그 에너지를 이용하여 최대부하에 견디게 하는 방법으로도 이용된다. 예를 들면, 천공기(穿孔機)나 단조기계(鍛造機械)에서는 전동기의 출력을 타격할 때 최대로 해 두면 무부하 상태에서 출력의 낭비가 생기므로, 전동기 출력을 1사이클의 평균 저항력으로 해 두고, 축에 플라이휠을 장치하여 이것에 운동에너지를 흡수시켜, 이 에너지를 타격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로커암
캠의 회전운동이나 푸쉬 로드의 상하운동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서 밸브를 여닫는 움직임으로 바꾸는 부품이다. 로커암은 시소와 똑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데, 한쪽을 밀어 올리면 다른 한쪽이 내려가면서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스프링이나 캠 등으로 언제나 눌리고 있으므로 그 힘을 견디기 위해서 강도가 필요하며 재질은 단조강이 사용된다.
노킹
엔진의 연료실 벽을 작은 해머로 빠른 속도로 두드리는 듯 한 소리 또는 그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 이것은 점화후 화염이 전파되기 전에 미연소 혼합가스가 자기착화하여 일시에 급격한 연소를 일으켜, 그 소리의 속도를 초과하는 충격파가 연소실 벽에 반사해서 생기는 소리. 과도한 노킹은 출력 감쇠 및 오버 히트의 원인이 된다. 단지 약간의 노킹이 있는 상태에서 가장 출력이 잘된다.
수온조절기
수온조절기는 기관내부의 냉각수 온도 변화에 따라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폐하여 라디에이터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수의 적정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일종의 개폐장치이다. 수온조절기의 밸브가 열리는 온도는 80℃안팎이다.
서모스탯(수온조절기)에는 펠릿형(Pellet type)과 벨로스형(Bellows type)이 있으며 벨로스형에 비해 수압의 영향을 덜 받아 온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펠릿형을 많이 사용한다.
펠릿형 서모스탯의 작동은 수온이 규정온도(약 80℃)까지 높아지면 펠릿안의 왁스가 팽창하여 고무부분을 압축함으로써 그 중심부에 있는 스핀들을 밀어 올리려고 하나 스핀들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펠릿이 밑으로 내려가서 밸브가 열린다.
반대로 수온이 낮아지면 팽창했던 왁스가 수축되고 고무의 압축이 제거되어 펠릿은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밸브는 닫힌다.
커넥팅로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축을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폭발행정중 발생한 연소실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크랭크축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여타의 행정에서도 피스톤을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이동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커넥팅로드는 폭발행정중에 4∼5톤의 힘을 받으며, 크랭크축에 의한 회전운동 때문에 분당 수천회나 운동 방향이 바뀐다. 또한, 피스톤과 연결된 소단부는 위쪽 방향 이동, 정지, 역방향 이동의 동작을 수천회 반복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냉열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작용되고 관성력에 의한 응력 또한 작용한다.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러한 응력과 온도변화가 지속되면 커넥팅로드의 대단부는 확장되게 되므로 정비 및 점검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점화코일
자기유도 작용, 상호유도 작용을 이용한 일종의 변압기이다. 철심에 2차 코일과 1차 코일을 감은 것을 케이스에 수용하고, 고정 및 절연을 위해 주위에 컴파운드 또는 절연유를 충전시킨 것이다. 1차 전류를 급격히 차단하면 코일의 자기유도 작용에 의해 1차 코일에는 약 300V 정도의 전압이 발생하고 이 전압이 2차 코일에 작용하여 상호유도 작용에 의해 15,000V, 20,000V의 고전압이 유기된다.
물 펌프
물펌프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장치로 임펠러(Impeller)의 회전으로 원심력을 일으켜 물을 뿜어내는 펌프작용을 하는데 물펌프는 펌프몸체, 임펠러(Impeller), Pump Axle, 베어리(Bearing), 풀리(Pully), 씰(Seal)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 축
크랭크 축은 크랭크케이스 안에 설치된 메인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고 각 실린더의 동력 행정에서 발생한 피스톤의 직선동력을 콘로드를 통해 회전동력으로 바꾸며, 반대로 다른 행정에서는 피스톤에 운동을 가해 연속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한다.
3. 사용되는 공구
소켓렌치
슬라이딩 핸들, 라쳇 핸들, 스피드 핸들, 연결대 등 강철제 막대를 끼워서 사용한다. 복스 렌치와 같이 육각볼트나 너트 각부에 고른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손상이 적고 적절한 토크를 가할수 있으므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토크렌치
볼트, 너트를 조일 때 규정 토크로 조이기 위한 공구이다.
복스렌치
소켓렌치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혐소한 곳의 볼트나 너트를 풀거나 조일수 있다
오일 필터렌치 : 오일 필터 탈착 및 장착에 사용한다.
스피드 핸들
소켓렌치와 조합되어 빠른 회전을 줄수 있으므로 작업능율이 좋아진다
고무해머
부품에 상처를 주지 않고 힘을 가해야 할 경우 사용한다.
오일 건
베어링 등 마찰부위에 윤활유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한다.
4. 주의사항
① 사용용도와 규격에 맞는 공구를 선택할 것.
② 분해된 부품은 순서대로 정열하고, 공구도 제자리에 정돈할 것.
③ 분해 및 조립은 순서에 따라 작업하고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 것.
④ 작업중 바닥에 기름을 흘렸을 때는 즉시 닦아낼 것.
⑤ 공구를 사용할 때는 자기 몸쪽으로 당기면서 힘을 가할 것.
⑥ 분해 및 조립 작업 시 부품이 긁히거나 찍히지 않도록 주의할 것.
⑦ 공구 및 부품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
⑧ 볼트로 조일 때는 반드시 규정 토크로 조이고 과소 또는 과대한 토크를 주지말 것.
⑨ 각종 이물질 또는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청결하게 작업할 것.
⑩ 탈거 또는 분해 작업 전에 조립상태를 잘 관찰하여 정확히 다시 조립되도록 할 것.
로커암
캠의 회전운동이나 푸쉬 로드의 상하운동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서 밸브를 여닫는 움직임으로 바꾸는 부품이다. 로커암은 시소와 똑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데, 한쪽을 밀어 올리면 다른 한쪽이 내려가면서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스프링이나 캠 등으로 언제나 눌리고 있으므로 그 힘을 견디기 위해서 강도가 필요하며 재질은 단조강이 사용된다.
노킹
엔진의 연료실 벽을 작은 해머로 빠른 속도로 두드리는 듯 한 소리 또는 그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 이것은 점화후 화염이 전파되기 전에 미연소 혼합가스가 자기착화하여 일시에 급격한 연소를 일으켜, 그 소리의 속도를 초과하는 충격파가 연소실 벽에 반사해서 생기는 소리. 과도한 노킹은 출력 감쇠 및 오버 히트의 원인이 된다. 단지 약간의 노킹이 있는 상태에서 가장 출력이 잘된다.
수온조절기
수온조절기는 기관내부의 냉각수 온도 변화에 따라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폐하여 라디에이터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수의 적정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일종의 개폐장치이다. 수온조절기의 밸브가 열리는 온도는 80℃안팎이다.
서모스탯(수온조절기)에는 펠릿형(Pellet type)과 벨로스형(Bellows type)이 있으며 벨로스형에 비해 수압의 영향을 덜 받아 온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펠릿형을 많이 사용한다.
펠릿형 서모스탯의 작동은 수온이 규정온도(약 80℃)까지 높아지면 펠릿안의 왁스가 팽창하여 고무부분을 압축함으로써 그 중심부에 있는 스핀들을 밀어 올리려고 하나 스핀들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펠릿이 밑으로 내려가서 밸브가 열린다.
반대로 수온이 낮아지면 팽창했던 왁스가 수축되고 고무의 압축이 제거되어 펠릿은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밸브는 닫힌다.
커넥팅로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축을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폭발행정중 발생한 연소실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크랭크축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여타의 행정에서도 피스톤을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이동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커넥팅로드는 폭발행정중에 4∼5톤의 힘을 받으며, 크랭크축에 의한 회전운동 때문에 분당 수천회나 운동 방향이 바뀐다. 또한, 피스톤과 연결된 소단부는 위쪽 방향 이동, 정지, 역방향 이동의 동작을 수천회 반복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냉열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작용되고 관성력에 의한 응력 또한 작용한다.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러한 응력과 온도변화가 지속되면 커넥팅로드의 대단부는 확장되게 되므로 정비 및 점검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점화코일
자기유도 작용, 상호유도 작용을 이용한 일종의 변압기이다. 철심에 2차 코일과 1차 코일을 감은 것을 케이스에 수용하고, 고정 및 절연을 위해 주위에 컴파운드 또는 절연유를 충전시킨 것이다. 1차 전류를 급격히 차단하면 코일의 자기유도 작용에 의해 1차 코일에는 약 300V 정도의 전압이 발생하고 이 전압이 2차 코일에 작용하여 상호유도 작용에 의해 15,000V, 20,000V의 고전압이 유기된다.
물 펌프
물펌프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장치로 임펠러(Impeller)의 회전으로 원심력을 일으켜 물을 뿜어내는 펌프작용을 하는데 물펌프는 펌프몸체, 임펠러(Impeller), Pump Axle, 베어리(Bearing), 풀리(Pully), 씰(Seal)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 축
크랭크 축은 크랭크케이스 안에 설치된 메인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고 각 실린더의 동력 행정에서 발생한 피스톤의 직선동력을 콘로드를 통해 회전동력으로 바꾸며, 반대로 다른 행정에서는 피스톤에 운동을 가해 연속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한다.
3. 사용되는 공구
소켓렌치
슬라이딩 핸들, 라쳇 핸들, 스피드 핸들, 연결대 등 강철제 막대를 끼워서 사용한다. 복스 렌치와 같이 육각볼트나 너트 각부에 고른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손상이 적고 적절한 토크를 가할수 있으므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토크렌치
볼트, 너트를 조일 때 규정 토크로 조이기 위한 공구이다.
복스렌치
소켓렌치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혐소한 곳의 볼트나 너트를 풀거나 조일수 있다
오일 필터렌치 : 오일 필터 탈착 및 장착에 사용한다.
스피드 핸들
소켓렌치와 조합되어 빠른 회전을 줄수 있으므로 작업능율이 좋아진다
고무해머
부품에 상처를 주지 않고 힘을 가해야 할 경우 사용한다.
오일 건
베어링 등 마찰부위에 윤활유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한다.
4. 주의사항
① 사용용도와 규격에 맞는 공구를 선택할 것.
② 분해된 부품은 순서대로 정열하고, 공구도 제자리에 정돈할 것.
③ 분해 및 조립은 순서에 따라 작업하고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 것.
④ 작업중 바닥에 기름을 흘렸을 때는 즉시 닦아낼 것.
⑤ 공구를 사용할 때는 자기 몸쪽으로 당기면서 힘을 가할 것.
⑥ 분해 및 조립 작업 시 부품이 긁히거나 찍히지 않도록 주의할 것.
⑦ 공구 및 부품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
⑧ 볼트로 조일 때는 반드시 규정 토크로 조이고 과소 또는 과대한 토크를 주지말 것.
⑨ 각종 이물질 또는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청결하게 작업할 것.
⑩ 탈거 또는 분해 작업 전에 조립상태를 잘 관찰하여 정확히 다시 조립되도록 할 것.
추천자료
포드의 대량생산시스템
국제경영학 글로벌시장 전략-캐퍼필러와 코마슈 사례 분석Caterpillar & Komatsu
현대자동차의 장기적 세계경쟁력 확보방안
[자동차매연][자동차배출가스]자동차매연(자동차배출가스)의 영향과 자동차매연(자동차배출가...
천연가스 자동차 현황 및 수출 보편화 방안
경유차 배출가스저감장치 기술
2차전지 시장동향 및 주요업체 동향
내연기관 텀 프로젝트 - 전자제어 연료분사 장치를 통한 배기가스 저감
지크 마케팅 최종회편
쌍용자동차의 러시아 진출 사례 연구
내연기관 연료의 특성 - 대체연료
생활속의 자동차 - 현재 EV[전기자동차] 산업의 현황과 고찰
LPG 차량의 구성 및 화재위험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