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XML의 등장배경
Ⅲ. XML의 구조
Ⅳ. XML 관련 프로그램
1. DOM과 XML
2. 자바와 XML
3. UML과 XML
4. 보안과 XML
Ⅴ. XML의 활용
1. e-비즈니스와 XML
2. 컨텐츠 통합관리
3. 음성포탈
4. 전자 출판
5. 멀티미디어
Ⅵ. 결론
참고문헌
Ⅱ. XML의 등장배경
Ⅲ. XML의 구조
Ⅳ. XML 관련 프로그램
1. DOM과 XML
2. 자바와 XML
3. UML과 XML
4. 보안과 XML
Ⅴ. XML의 활용
1. e-비즈니스와 XML
2. 컨텐츠 통합관리
3. 음성포탈
4. 전자 출판
5. 멀티미디어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6개사가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2. 컨텐츠 통합관리
기업은 내부에서 생성되는 자료 외에 외부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자료들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자료의 상호 이질성은 전사적 차원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자료 공유와 통신을 어렵게 한다.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 역시 동일한 이유로 어렵다. 전사적 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자료 저장과 관리 기능, 자료 뷰와 교환, 질의 편이성,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이 필요하다. 대다수의 기업들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는데, 간단한 구조의 XML 문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매핑이 가능하다. 하지만 복잡한 XML 문서의 저장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나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야 자료 구조를 보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자료 저장 방식을 선정할 때는 성능, 신뢰성, 가용성,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자료 전송을 위해서 XML 파서나 XSL 프로세서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XML로 제작된 문서는 XPath를 이용하면 효과적인 질의가 가능하다.
EIP(Enterprise Information Portals)는 종업원이나 고객, 비즈니스 파트너와 같은 특정인들의 관점으로 각종 자원을 집중화시켜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한다. 기업의 자료는 정형 자료와 비정형 자료로 구성된다. 정형 자료는 사내 양식, 업무 지침서, 거래서, 고객 DB, 거래자 DB와 같은 자료들이다. 비정형 자료는 개인 문서, 개인 보유 자료, 이메일, 팩스, 보고서 등과 같이 기업의 프로세스 상에서 중앙으로 취합되거나 관리되지 않는 자료를 말한다. 효과적인 EIP 구축은 바로 지식 DB화가 가능하다. EIP 구현을 위해서는 정형 자료와 비정형 자료의 취합과 변환,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실제로 매우 까다롭다. 이는 자료와 비즈니스 규칙이 합쳐진 형태로 이들 자료가 구성돼 있고, 다변하는 요구사항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표현 규칙이 없기 때문이다. XML은 웹에서 자료를 교환하는 사실상의 표준이 되고 있으며, 또한 기존 시스템 환경에서 XML을 이용한 거래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XML 기반으로 정형 자료와 비정형 자료를 제작하면 이러한 EIP의 빠른 구축이 가능하다. 이 때 기존 자료는 XML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IBM의 컨텐츠 통합관리 사례를 살펴보자. ibm.com은 IBM 인터넷 서비스의 시작점으로 하루에 8백만 회 이상의 히트수를 기록하는 인기 사이트다. IBM은 2GB에 이르는 문서 데이터를 서비스하고 있는데, 매월 수 MB의 새로운 컨텐츠가 추가된다. IBM은 웹 사이트 운영과정에서 컨텐츠들이 메타데이터나 문서 구조 정보가 없어 관리의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리고 1년에 2차례씩 새로운 웹 기술의 도입과 참신성 유지를 위해 웹 디자인을 바꾸는데, 이 과정에서 수천 페이지가 항상 갱신되지 않아 웹의 일관성을 잃는 경우도 있었다. IBM은 컨텐츠의 효과적인 관리와 몇 개의 스타일시트만으로 홈페이지 전체를 재 디자인 할 수 있기를 원했고 다음과 같이 사이트를 구축했다. 각 페이지마다 관리 가능한 메타데이터를 가진다. 주요 컨텐츠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XML을 통해 관리한다. 디자인 변경이 있는 경우 XSL 스타일시트를 이용해 영향을 최소화한다. XML로 구축된 문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3. 음성포탈
PC나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 없이 음성만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고객이 전화로 웹의 컨텐츠를 검색 열람하고,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 음성 포탈(Voice Portal)이다. 켈시 그룹에서는 북미지역 이동전화 가입자중 4500만이 음성포탈을 이용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시장의 분위기는 낙관적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로는 고객이 전화로 날씨와 교통 상황을 확인하고, 식당이나 영화 상영 목록을 들을 수 있다. 음성포탈은 음성인식 기술과 음성변환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음성변환은 기존의 텍스트 컨텐츠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인데, VoiceXML이 향후 표준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XML을 이용해 웹에서 개인화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VoiceXML은 태그와 명령 외에 전화의 기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화로 VoiceXML 서버에 접근하고, 서버는 해당 웹 페이지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미국의 라이코스는
2. 컨텐츠 통합관리
기업은 내부에서 생성되는 자료 외에 외부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자료들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자료의 상호 이질성은 전사적 차원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자료 공유와 통신을 어렵게 한다.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 역시 동일한 이유로 어렵다. 전사적 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자료 저장과 관리 기능, 자료 뷰와 교환, 질의 편이성,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이 필요하다. 대다수의 기업들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는데, 간단한 구조의 XML 문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매핑이 가능하다. 하지만 복잡한 XML 문서의 저장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나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야 자료 구조를 보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자료 저장 방식을 선정할 때는 성능, 신뢰성, 가용성,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자료 전송을 위해서 XML 파서나 XSL 프로세서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XML로 제작된 문서는 XPath를 이용하면 효과적인 질의가 가능하다.
EIP(Enterprise Information Portals)는 종업원이나 고객, 비즈니스 파트너와 같은 특정인들의 관점으로 각종 자원을 집중화시켜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한다. 기업의 자료는 정형 자료와 비정형 자료로 구성된다. 정형 자료는 사내 양식, 업무 지침서, 거래서, 고객 DB, 거래자 DB와 같은 자료들이다. 비정형 자료는 개인 문서, 개인 보유 자료, 이메일, 팩스, 보고서 등과 같이 기업의 프로세스 상에서 중앙으로 취합되거나 관리되지 않는 자료를 말한다. 효과적인 EIP 구축은 바로 지식 DB화가 가능하다. EIP 구현을 위해서는 정형 자료와 비정형 자료의 취합과 변환,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실제로 매우 까다롭다. 이는 자료와 비즈니스 규칙이 합쳐진 형태로 이들 자료가 구성돼 있고, 다변하는 요구사항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표현 규칙이 없기 때문이다. XML은 웹에서 자료를 교환하는 사실상의 표준이 되고 있으며, 또한 기존 시스템 환경에서 XML을 이용한 거래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XML 기반으로 정형 자료와 비정형 자료를 제작하면 이러한 EIP의 빠른 구축이 가능하다. 이 때 기존 자료는 XML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IBM의 컨텐츠 통합관리 사례를 살펴보자. ibm.com은 IBM 인터넷 서비스의 시작점으로 하루에 8백만 회 이상의 히트수를 기록하는 인기 사이트다. IBM은 2GB에 이르는 문서 데이터를 서비스하고 있는데, 매월 수 MB의 새로운 컨텐츠가 추가된다. IBM은 웹 사이트 운영과정에서 컨텐츠들이 메타데이터나 문서 구조 정보가 없어 관리의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리고 1년에 2차례씩 새로운 웹 기술의 도입과 참신성 유지를 위해 웹 디자인을 바꾸는데, 이 과정에서 수천 페이지가 항상 갱신되지 않아 웹의 일관성을 잃는 경우도 있었다. IBM은 컨텐츠의 효과적인 관리와 몇 개의 스타일시트만으로 홈페이지 전체를 재 디자인 할 수 있기를 원했고 다음과 같이 사이트를 구축했다. 각 페이지마다 관리 가능한 메타데이터를 가진다. 주요 컨텐츠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XML을 통해 관리한다. 디자인 변경이 있는 경우 XSL 스타일시트를 이용해 영향을 최소화한다. XML로 구축된 문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3. 음성포탈
PC나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 없이 음성만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고객이 전화로 웹의 컨텐츠를 검색 열람하고,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 음성 포탈(Voice Portal)이다. 켈시 그룹에서는 북미지역 이동전화 가입자중 4500만이 음성포탈을 이용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시장의 분위기는 낙관적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로는 고객이 전화로 날씨와 교통 상황을 확인하고, 식당이나 영화 상영 목록을 들을 수 있다. 음성포탈은 음성인식 기술과 음성변환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음성변환은 기존의 텍스트 컨텐츠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인데, VoiceXML이 향후 표준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XML을 이용해 웹에서 개인화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VoiceXML은 태그와 명령 외에 전화의 기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화로 VoiceXML 서버에 접근하고, 서버는 해당 웹 페이지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미국의 라이코스는
추천자료
웹서비스
전자상거래에서 e-SCM의 역할과기능
멀티미디어를 통한 하이퍼텍스트 소설의 기능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
웹서비스
RSS(컨텐츠 배급과 수집에 관한 표준포맷)
웹 2.0 이노베이션 - 웹 2.0에 관한 PPT 발표보고서
[CGI]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정의,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데이터전달과...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정의와 특징,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장단점, 자바스크립트...
2008년 2학기 전산특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신문기사)
2007년 2학기 전산특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학생기록부 출력)
전산특강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0년 2학기 전산특강 기말시험 핵심체크
Xpath와 XPoint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