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위(神位)
2. 축문 쓰는 법
1)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2)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3) 關稱某 敢昭告于
4) 顯某親某官府君
5)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6) 關稱某 敢昭告于
7) 顯某親某官府君
3. 지방(紙榜)
1) 지방 쓰는 법
2) 지방의 내용과 작성법
(1) 남자조상
(2) 여자조상
① 고조부모(예) : 고조모가 청주 한씨(淸州 韓氏)인 경우
② 증조부모(예) : 증조모가 안동 김씨(安東 金氏)인 경우
③ 조부모(예) : 조모가 광산 김씨(光山 金氏)인 경우
④ 부모(예) : 모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인 경우
⑤ 백부모(예) : 백모가 경주 김씨(慶州 金氏)인 경우
⑥ 숙부모(예) : 숙모가 김해 김씨(金海 金氏)인 경우
⑦ 부부(예) : 부인이 전주 이씨(부인李氏)인 경우
⑧ 형, 형수(예) : 형수가 밀양 박씨(密陽 朴氏)인 경우
⑨ 동생(예) : 동생이름이 길동(吉童)일 경우
2. 축문 쓰는 법
1)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2)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3) 關稱某 敢昭告于
4) 顯某親某官府君
5) 維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6) 關稱某 敢昭告于
7) 顯某親某官府君
3. 지방(紙榜)
1) 지방 쓰는 법
2) 지방의 내용과 작성법
(1) 남자조상
(2) 여자조상
① 고조부모(예) : 고조모가 청주 한씨(淸州 韓氏)인 경우
② 증조부모(예) : 증조모가 안동 김씨(安東 金氏)인 경우
③ 조부모(예) : 조모가 광산 김씨(光山 金氏)인 경우
④ 부모(예) : 모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인 경우
⑤ 백부모(예) : 백모가 경주 김씨(慶州 金氏)인 경우
⑥ 숙부모(예) : 숙모가 김해 김씨(金海 金氏)인 경우
⑦ 부부(예) : 부인이 전주 이씨(부인李氏)인 경우
⑧ 형, 형수(예) : 형수가 밀양 박씨(密陽 朴氏)인 경우
⑨ 동생(예) : 동생이름이 길동(吉童)일 경우
본문내용
게 됩니다. 아내의 제사인 경우에는 ‘敢’자를 버리고 ‘昭告于’라고 쓰며, 아우 이하의 비유(卑幼)인 경우는 그대로 ‘告于’라고 씁니다.
7) 顯某親某官府君
(1) 顯某親
이것은 제위에 대한 경칭어(敬稱語)로서 아버지에 대해서는 ‘顯考’라 쓰고, 어머니에 대해서는 ‘顯’라고 씁니다. 그리고 조부에는 ‘懸祖考’, 조모에는 ‘顯祖’, 아내는 ‘故室’, 아랫사람인 경우에는 ‘顯’자를 ‘亡’자로 바꿔 씁니다. 아들인 경우 ‘亡子秀才某’라고 쓰면 됩니다.
3. 지방(紙榜)
제사 지낼 때에는 지방을 쓰는데. 제사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대신으로 사용 하였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한다. 그 내용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조상과의 친속관계, 조상의 관직(여성은 봉호), 시호(여성은 성씨)등을 나타낸다. 지방이라는 것은 고인의 신위표시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당에 신주를 모시는 분은 지방이 필요 없지만 그렇지 않은 분은 흰 종이 위에 작고하신 분의 호칭과 관직을 먹으로 정성껏 써서 교의 또는 제상(祭床) 정후면(正後面) 병풍에 붙인다. 지방길이는 주척(周尺)으로 일척이촌(一尺二寸) 폭이 삼촌(三寸)인바 주척일척(周尺一尺)은 현재 미터법으로 약 이십(二十)센치에 해당하니까 길이가 이십이(二十二)센치에 넓이가 육(六)센치 정도이다.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사용하기도 한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이다. 한 장의 지방에 남,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한다. 만약 여자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조상의 바로 오른쪽에서부터 계속 쓴다.
1) 지방 쓰는 법
(1) 신위(神位)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는데, 옛 법에서는 지방(紙榜)으로 하였습니다. 지방을 쓸 때에는 몸을 청결히 하고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폭 6 cm, 길이 22 cm 정도로 합니다. 남자의 지방을 쓸 때에는 벼슬이 없으면 ‘學生’이라고 쓰고, 그의 부인은 ‘孺人’이라고 씁니다. 만약 벼슬이 있으면 그 관직을 그대로 씁니다. 예를 들어, 벼슬이 ‘정일품 숭록대부’라면 그 관직 그대로 ‘崇祿大夫’로 쓰고, 그 부인의 경우는 ‘貞敬夫人’을 씁니다.
(2) 남자 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 하고 사후에는 ‘考’라 하며 비()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母’라 하며 사후에는 ‘’라고 합니다.
(3) 여자의 경우에는 유인(孺人)다음에 본관 성씨를 쓰며, 아내의 경우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주제가 되며 자식의 경우에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주제가 됩니다.
(4) 양위(兩位)를 함께 쓸 때에는 현(顯)자에서부터 가운데를 세로로 잘라 분리시켜 남녀가 유별(有別)함을 나타냅니다. 만약 재취로 인하여 삼위지방일 경우에는 왼쪽에 남자 지방, 중간에 본비의 지방,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씁니다.
(5) 지방을 꾸미느라고 상단 모서리를 약간 오려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조상의 안면 상부를 난도질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절대 금해야 합니다. 또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어야 합니다.
2) 지방의 내용과 작성법
(1) 남자조상
지방의 구성은 모시는 조상+조상의 관직+조상의 이름+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의미는 어떤 이름의 어떤 벼슬을 지낸 몇 대 조상의 자리란 뜻.
한자
顯 考
學 生
府 君
神 位
음
현 고
학 생
부 군
신 위
구성
모시는 조상
조상의 지위
조상의 이름
조상의 자리
의미
顯 : 존경의 의미
考 :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
學生 : 관직이
없는 경우
관직이 있는 경우에는, 관직명을 쓴다.
府君 : 제사대상이
윗사람임
손아래면 이름을
그대로 작성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작성법
아버지 : 顯考
조 부 : 顯祖考
증조부 : 顯曾祖考
고조부 : 顯高祖考
일반 : 學生
의원 : 國會議員
손 위 : 府君
손아래 : ○○(이름)
일반적으로
神位라고 작성
(2) 여자조상
지방의 구성은 모시는 조상+남편의 벼슬에 따른 봉작+성씨+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의미는 어떤 성씨의 어떤 여성지위의 몇 대 조상의 자리란 뜻.
한자
顯
孺 人
密 陽 朴 氏(예)
神 位
음
현 비
유 인
밀 양 박 씨(예)
신 위
구성
모시는 조상
조상의 지위
조상의 이름
조상의 자리
의미
顯 : 존경의 의미
考 :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
孺人 : 봉작이
없는 경우
봉작이 있는 경우,
봉작명을 쓴다.
부인이 두분 이상인 경우 구분하기 위함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작성법
어머니 : 顯
조 모 : 顯祖
증조모 : 顯曾祖
고조모 : 顯高祖
일 반 : 孺人
영부인 : 領夫人
본관 + 성씨
○○ + ○氏
일반적으로
神位라고 작성
① 고조부모(예) : 고조모가 청주 한씨(淸州 韓氏)인 경우
고 조 부 고 조 모
顯
高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顯
高
祖
孺
人
淸
州
韓
氏
神
位
② 증조부모(예) : 증조모가 안동 김씨(安東 金氏)인 경우
증 조 부 증 조 모
顯
曾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顯
曾
祖
孺
人
安
東
金
氏
神
位
③ 조부모(예) : 조모가 광산 김씨(光山 金氏)인 경우
조 부 조 모
顯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顯
祖
孺
人
光
山
金
氏
神
位
④ 부모(예) : 모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인 경우
부 모
顯
考
學
生
府
君
神
位
顯
孺
人
全
州
李
氏
神
位
⑤ 백부모(예) : 백모가 경주 김씨(慶州 金氏)인 경우
백 부 백 모
顯
伯
父
學
生
府
君
神
位
顯
伯
母
孺
人
慶
州
金
氏
神
位
⑥ 숙부모(예) : 숙모가 김해 김씨(金海 金氏)인 경우
숙 부 숙 모
顯
叔
父
學
生
府
君
神
位
⑦ 부부(예) : 부인이 전주 이씨(부인李氏)인 경우
남 편 부 인
顯
學
生
府
君
神
位
故(亡)
室
孺
人
全
州
李
氏
神
位
⑧ 형, 형수(예) : 형수가 밀양 박씨(密陽 朴氏)인 경우
형 형 수
顯
兄
學
生
府
君
神
位
顯
兄
嫂
孺
人
密
陽
朴
氏
神
位
⑨ 동생(예) : 동생이름이 길동(吉童)일 경우
동 생
故
弟
學
生
吉
童
神
位
亡
弟
學
生
吉
童
神
位
7) 顯某親某官府君
(1) 顯某親
이것은 제위에 대한 경칭어(敬稱語)로서 아버지에 대해서는 ‘顯考’라 쓰고, 어머니에 대해서는 ‘顯’라고 씁니다. 그리고 조부에는 ‘懸祖考’, 조모에는 ‘顯祖’, 아내는 ‘故室’, 아랫사람인 경우에는 ‘顯’자를 ‘亡’자로 바꿔 씁니다. 아들인 경우 ‘亡子秀才某’라고 쓰면 됩니다.
3. 지방(紙榜)
제사 지낼 때에는 지방을 쓰는데. 제사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대신으로 사용 하였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한다. 그 내용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조상과의 친속관계, 조상의 관직(여성은 봉호), 시호(여성은 성씨)등을 나타낸다. 지방이라는 것은 고인의 신위표시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당에 신주를 모시는 분은 지방이 필요 없지만 그렇지 않은 분은 흰 종이 위에 작고하신 분의 호칭과 관직을 먹으로 정성껏 써서 교의 또는 제상(祭床) 정후면(正後面) 병풍에 붙인다. 지방길이는 주척(周尺)으로 일척이촌(一尺二寸) 폭이 삼촌(三寸)인바 주척일척(周尺一尺)은 현재 미터법으로 약 이십(二十)센치에 해당하니까 길이가 이십이(二十二)센치에 넓이가 육(六)센치 정도이다.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사용하기도 한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이다. 한 장의 지방에 남,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한다. 만약 여자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조상의 바로 오른쪽에서부터 계속 쓴다.
1) 지방 쓰는 법
(1) 신위(神位)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는데, 옛 법에서는 지방(紙榜)으로 하였습니다. 지방을 쓸 때에는 몸을 청결히 하고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폭 6 cm, 길이 22 cm 정도로 합니다. 남자의 지방을 쓸 때에는 벼슬이 없으면 ‘學生’이라고 쓰고, 그의 부인은 ‘孺人’이라고 씁니다. 만약 벼슬이 있으면 그 관직을 그대로 씁니다. 예를 들어, 벼슬이 ‘정일품 숭록대부’라면 그 관직 그대로 ‘崇祿大夫’로 쓰고, 그 부인의 경우는 ‘貞敬夫人’을 씁니다.
(2) 남자 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 하고 사후에는 ‘考’라 하며 비()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母’라 하며 사후에는 ‘’라고 합니다.
(3) 여자의 경우에는 유인(孺人)다음에 본관 성씨를 쓰며, 아내의 경우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주제가 되며 자식의 경우에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주제가 됩니다.
(4) 양위(兩位)를 함께 쓸 때에는 현(顯)자에서부터 가운데를 세로로 잘라 분리시켜 남녀가 유별(有別)함을 나타냅니다. 만약 재취로 인하여 삼위지방일 경우에는 왼쪽에 남자 지방, 중간에 본비의 지방,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씁니다.
(5) 지방을 꾸미느라고 상단 모서리를 약간 오려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조상의 안면 상부를 난도질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절대 금해야 합니다. 또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어야 합니다.
2) 지방의 내용과 작성법
(1) 남자조상
지방의 구성은 모시는 조상+조상의 관직+조상의 이름+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의미는 어떤 이름의 어떤 벼슬을 지낸 몇 대 조상의 자리란 뜻.
한자
顯 考
學 生
府 君
神 位
음
현 고
학 생
부 군
신 위
구성
모시는 조상
조상의 지위
조상의 이름
조상의 자리
의미
顯 : 존경의 의미
考 :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
學生 : 관직이
없는 경우
관직이 있는 경우에는, 관직명을 쓴다.
府君 : 제사대상이
윗사람임
손아래면 이름을
그대로 작성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작성법
아버지 : 顯考
조 부 : 顯祖考
증조부 : 顯曾祖考
고조부 : 顯高祖考
일반 : 學生
의원 : 國會議員
손 위 : 府君
손아래 : ○○(이름)
일반적으로
神位라고 작성
(2) 여자조상
지방의 구성은 모시는 조상+남편의 벼슬에 따른 봉작+성씨+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의미는 어떤 성씨의 어떤 여성지위의 몇 대 조상의 자리란 뜻.
한자
顯
孺 人
密 陽 朴 氏(예)
神 位
음
현 비
유 인
밀 양 박 씨(예)
신 위
구성
모시는 조상
조상의 지위
조상의 이름
조상의 자리
의미
顯 : 존경의 의미
考 :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
孺人 : 봉작이
없는 경우
봉작이 있는 경우,
봉작명을 쓴다.
부인이 두분 이상인 경우 구분하기 위함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작성법
어머니 : 顯
조 모 : 顯祖
증조모 : 顯曾祖
고조모 : 顯高祖
일 반 : 孺人
영부인 : 領夫人
본관 + 성씨
○○ + ○氏
일반적으로
神位라고 작성
① 고조부모(예) : 고조모가 청주 한씨(淸州 韓氏)인 경우
고 조 부 고 조 모
顯
高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顯
高
祖
孺
人
淸
州
韓
氏
神
位
② 증조부모(예) : 증조모가 안동 김씨(安東 金氏)인 경우
증 조 부 증 조 모
顯
曾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顯
曾
祖
孺
人
安
東
金
氏
神
位
③ 조부모(예) : 조모가 광산 김씨(光山 金氏)인 경우
조 부 조 모
顯
祖
考
學
生
府
君
神
位
顯
祖
孺
人
光
山
金
氏
神
位
④ 부모(예) : 모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인 경우
부 모
顯
考
學
生
府
君
神
位
顯
孺
人
全
州
李
氏
神
位
⑤ 백부모(예) : 백모가 경주 김씨(慶州 金氏)인 경우
백 부 백 모
顯
伯
父
學
生
府
君
神
位
顯
伯
母
孺
人
慶
州
金
氏
神
位
⑥ 숙부모(예) : 숙모가 김해 김씨(金海 金氏)인 경우
숙 부 숙 모
顯
叔
父
學
生
府
君
神
位
⑦ 부부(예) : 부인이 전주 이씨(부인李氏)인 경우
남 편 부 인
顯
學
生
府
君
神
位
故(亡)
室
孺
人
全
州
李
氏
神
位
⑧ 형, 형수(예) : 형수가 밀양 박씨(密陽 朴氏)인 경우
형 형 수
顯
兄
學
生
府
君
神
位
顯
兄
嫂
孺
人
密
陽
朴
氏
神
位
⑨ 동생(예) : 동생이름이 길동(吉童)일 경우
동 생
故
弟
學
生
吉
童
神
位
亡
弟
學
生
吉
童
神
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