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따돌림(왕따)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따돌림(왕따)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집단따돌림의 정의

2. 집단 따돌림의 유형

3. 집단따돌림의 청소년의 특성

4. 집단따돌림의 원인

5. 집단따돌림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6. 집단따돌림의 대책

7. 학교폭력, 집단따돌림의 실태, 사례

본문내용

미있어 친구를 따돌리고 31.4%는 자신도 따돌림을 당하기 않기 위해 따돌림 행동에 가세한다고 대답해 문제의 심각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가. 집단 따돌림 피해자 실태
집단 따돌림의 피해자 실태는 다음 표와 같다. <따돌림, 폭력 가해 피해 학생 집단별 비교>
(단위 : %)
집단
내용
따돌림가해
따돌림피해
폭력가해
폭력피해
전체
학교생활
만족
34.3
24.2
34.6
31.3
40.2
만족도
불만족
28.8
34.1
32.2
27.8
16.8
가정생활
만족
46.9
35.7
43.1
50.4
58.0
만족도
불만족
19.5
20.9
18.8
16.3
10.1
학업성적
낮음
42.8
55.2
46.2
52.7
40.1
교급

63.8
61.5
56.0
62.4
49.5
일반고
24.5
25.8
28.6
25.2
34.4
실업고
11.7
12.6
15.4
12.4
16.1
성별

47.1
54.6
78.4
78.6
49.6

52.9
45.4
21.6
21.4
50.4
가출
경험

21.5
21.5
29.4
18.0
8.5

78.5
78.5
70.6
82.0
91.5
빈도
1-2회
52.9
39.6
55.9
44.8
71.3
3-5회
19.1
22.6
20.3
22.4
16.8
5회 이상
27.9
37.7
23.7
32.8
11.9
피해 경험
욕설 협박 피해
26.7
62.2
32.3
76.8
19.8
폭행 피해
16.1
40.4
22.5
-
14.1
금품갈취 피해
16.2
34.8
17.8
46.5
4.3
따돌림 피해
19.0
-
23.0
29.0
2.9
가해 경험
욕설 협박
54.9
39.3
74.9
40.1
10.8
폭행
41.8
26.8
-
33.7
6.1
금품갈취
25.3
19.7
25.6
17.1
2.1
따돌림
-
30.1
32.4
18.8
4.7
부모폭행
14.1
19.1
12.7
12.7
1.2
교사폭행
15.4
18.0
13.9
13.1
1.3
공공기물 파손
49.1
37.7
49.5
29.0
10.7
폭력 원인
힘 과시
49.5
51.4
55.3
60.2
52.0
도덕성 부족
23.5
29.2
20.8
23.0
25.3
대인관계 미숙
27.3
19.5
22.1
18.0
28.7
자제력 부족
24.2
18.4
29.7
19.5
27.4
용돈 부족
18.1
16.8
22.1
19.5
13.8
성비행
성폭력 가해
5.1
5.4
3.9
5.0
1.0
성폭력 피해
4.8
6.5
4.2
5.7
0.7
이성 성관계
10.9
11.4
17.6
10.0
3.7
성매매
5.1
7.6
7.4
6.5
0.6
출처 : 청소년보호위원회, "학교폭력 가해학생 선도·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2003. 12.
또한 서울대 의대 조수철(정신과)교수팀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서울 시내 16개 중학교 1,2학년 학생 2천2백92명을 조사한 결과 집단따돌림을 당하는 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정신질환에 걸릴 위험이 18 배나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병 실태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약 5%(1백57명: 남자1백14명, 여자43명)가 집단 따돌림 피해자였다. 이들 가운데 30%(47명)는 약식 정신진단 검사 결과 정신질환 징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생활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학생(2천1백35명) 중 정신질환 징후가 높은 것으로 판명된 학생은 2%(50명)에 불과했다. 두 그룹 사이에 징후 소유자의 비율이 15배 차이인데 징후의 강약을 계량화해 비교하면 18배의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2) 집단 따돌림의 가해자 실태
초중고교생 10명 중 3명 이상은 친구를 집단 따돌림 시킨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청소년폭력예방재단 김장대 박사는 ‘학교 폭력 및 성폭력 추방을 위한 시민 대 토론회에서 발표한학원 폭력 실태와 예방 대책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재단이 최근 청소년 578명을 대상으로 따돌림에 대해 조사,211명(36.5%)은 친구를 왕따 시킨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따돌림을 시키는 이유는따돌림 당할 만한 행동을 해서(65.4%)’, 친구들이 따돌려서(10.9%)’등의 순이었다. 특별한 이유가 있기보다는 마음에 들지 않을 때 따돌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따돌림을 한 뒤 느낌을 묻는 질문에 ‘후회 및 미안했다’가 56.9%로 절반이상이 잘못됨을 뉘우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기분이 좋았다거나 재미있다’도 19%, ‘별 느낌이 없다’가 10.9% 등으로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학생도 30%나 됐다.
집단따돌림의 동기는 자신들의 말을 듣지 않거나 몸이 약하다, 거짓말을 한다, 공부를 잘하는 모범생이라는 등 사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해자들은 별다른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집단 따돌림을 당한 학생들은 신체적 피해는 물론이고 정서적, 심리적으로도 치유되기 힘든 상처를 얻은 채 제대로 대처를 하거나 고통을 호소할 곳조차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날로 잔인해지고 심화되는 학생들의 비행만을 탓할 것이 아니라 집단 따돌림을 예방하고 피해 학생들을 보호, 치료하려는 사회와 학교, 국가의 적극적인 시책과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곳
(1) 전화
청소년 긴급전화 1388 (#1388 문자 상담 가능)
학생고충신고상담 전화 1588-7179
청소년상담전화 02-2645-6900
학교폭력신고상담전화 063-653-1318
(2) 인터넷 또는 시설
- 한국 청소년상담원 http://www.kyci.or.kr
- 학교폭력대책국민협의회 http://www.ttastop.org
- 왕따 닷컴 http://www.wangtta.com
- 왕위모 http://myhome.naver.com/dhkddnla
- 청소년폭력예방재단 http://www.jikim.net
- 자녀안심하고학교보내기운동 http://www.1318love.net
- 학교폭력대책국민협의회 http://www.ttastop.org
- 동그라미 사이버청소년상담실 http://counsel4u.dreamwiz.com
- 사이버 왕따 상담실 www.cyberwangdda.or.kr
- 국가 청소년 위원회 http://youth.go.kr/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9.01.21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