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요검사 요약정리jo
1부. History of urinalysis
2부. Urine & Urinary system
1.정의 2. 채취 3. 양
4. 냄새 5.역할(기능) 6. 요 분석
3부. 정상뇨의 구성 성분
4부. 요검사의 정도 관리
1. 요검사 정도 관리의 목적
2. Monintoring quality control
3. 정도관리와 기계장비의 예방적인 유지관리
4. 요검사실에서의 안전
5. 비용과 비용효과
5부. 요 채취
1. 물리적인 방법 2. 화학적인 방법
3. 특별한 방부 4. 상품화된 방부제
6부. 요 채취
1. 방법 2. 오차의 원인
7 부. 일상뇨 검사
8부. 요의 물리적인 성질
1. 색조 2. 혼 탁 3. 냄 새
9부. 요의 비중, 삼투압 및 양
1. 비 중 2. 삼투압 농도
3. 총 고형성분 4.요의 양
10부. 요의 반응(pH)
11부. 농축시험과 희석시험
12부. 요 단백
1.단백뇨의 의의 2.단백뇨의 분류
3. 요단백 측정방법
13부. 벤스존스단백
1.임상적 의의 2.구조 3.측정법
14부. 요 당
1.포도당의 대사 3.당뇨의 종류
4.정성검사 5.당의 정량검사
15부. 환원성 물질 동정검사
1.유 당 2.과 당 3.오탄당
16부. 뮤코다당
1.개 요 2.임상적 의의
17부. 케톤체
18부. 비리루빈
1.비리루빈 검사법 2.비리루빈 측정
19부. 유로비리노젠과 유로비린
1.유로비리노젠 측정법
3.유로비리노젠 정량검사
20부. 혈뇨와 혈색소뇨
1.혈뇨(Hematuria) 2.혈색소뇨 3.혈색소뇨와 Haptoglobin
4.혈뇨와 혈색소뇨 검사 5.잠혈반응 검사
21부. 요 침사
1.요침사의 생리 2.요침사 검사법
3.요침사의 염색법 4.요침사의 현미경적인 특징
22부. Addis 카운트
1)Addis 카운트 원법 2)Addis count변법
23부. 아미노산뇨
1.Dent의 아미노산뇨의 분류 2.아미노산 시험
3.Renal aminoaciduria 4.Overflow Aminoaciduria
5. 아미노산유래의 비정상배설물질
24부. 인디칸
1.Jaffe법 2.Obermayer법 3.Jolles법(감도 0.03g/dl)
25부. 메라닌뇨
1.Ferric chloride시험 2.Thormahlen시험
3.Ammoniacal silver nitrate시험
26부. Diazo반응물질 (Ehrlich)
27부. VMA
1 카테콜아민의 대사2.VMA의 정성 검사법
28부. 세로토닌과 5-HIAA
39부. 요 중 전해질 추정검사
1.칼슘(Sulkowitch시험) 2.Cl(Fantus시험)
3.요 중 식염농도 측정법
30부. 요 중 백혈구 시험지검사
1.개요 2.에스테라제 활성
3.Cytur-Test 4.Combur 9 Test
5.Leukostix
31부. 세 균 뇨
1.개요 2.분리균의 임상적 의의
4.스라이드 침윤법(Dip-Slide법)
32부. 요검사의 자동화
1.정성검사 2.요침사검사의 자동화
33부. 요결석
1.성인 2.요결석분석법
1부. History of urinalysis
2부. Urine & Urinary system
1.정의 2. 채취 3. 양
4. 냄새 5.역할(기능) 6. 요 분석
3부. 정상뇨의 구성 성분
4부. 요검사의 정도 관리
1. 요검사 정도 관리의 목적
2. Monintoring quality control
3. 정도관리와 기계장비의 예방적인 유지관리
4. 요검사실에서의 안전
5. 비용과 비용효과
5부. 요 채취
1. 물리적인 방법 2. 화학적인 방법
3. 특별한 방부 4. 상품화된 방부제
6부. 요 채취
1. 방법 2. 오차의 원인
7 부. 일상뇨 검사
8부. 요의 물리적인 성질
1. 색조 2. 혼 탁 3. 냄 새
9부. 요의 비중, 삼투압 및 양
1. 비 중 2. 삼투압 농도
3. 총 고형성분 4.요의 양
10부. 요의 반응(pH)
11부. 농축시험과 희석시험
12부. 요 단백
1.단백뇨의 의의 2.단백뇨의 분류
3. 요단백 측정방법
13부. 벤스존스단백
1.임상적 의의 2.구조 3.측정법
14부. 요 당
1.포도당의 대사 3.당뇨의 종류
4.정성검사 5.당의 정량검사
15부. 환원성 물질 동정검사
1.유 당 2.과 당 3.오탄당
16부. 뮤코다당
1.개 요 2.임상적 의의
17부. 케톤체
18부. 비리루빈
1.비리루빈 검사법 2.비리루빈 측정
19부. 유로비리노젠과 유로비린
1.유로비리노젠 측정법
3.유로비리노젠 정량검사
20부. 혈뇨와 혈색소뇨
1.혈뇨(Hematuria) 2.혈색소뇨 3.혈색소뇨와 Haptoglobin
4.혈뇨와 혈색소뇨 검사 5.잠혈반응 검사
21부. 요 침사
1.요침사의 생리 2.요침사 검사법
3.요침사의 염색법 4.요침사의 현미경적인 특징
22부. Addis 카운트
1)Addis 카운트 원법 2)Addis count변법
23부. 아미노산뇨
1.Dent의 아미노산뇨의 분류 2.아미노산 시험
3.Renal aminoaciduria 4.Overflow Aminoaciduria
5. 아미노산유래의 비정상배설물질
24부. 인디칸
1.Jaffe법 2.Obermayer법 3.Jolles법(감도 0.03g/dl)
25부. 메라닌뇨
1.Ferric chloride시험 2.Thormahlen시험
3.Ammoniacal silver nitrate시험
26부. Diazo반응물질 (Ehrlich)
27부. VMA
1 카테콜아민의 대사2.VMA의 정성 검사법
28부. 세로토닌과 5-HIAA
39부. 요 중 전해질 추정검사
1.칼슘(Sulkowitch시험) 2.Cl(Fantus시험)
3.요 중 식염농도 측정법
30부. 요 중 백혈구 시험지검사
1.개요 2.에스테라제 활성
3.Cytur-Test 4.Combur 9 Test
5.Leukostix
31부. 세 균 뇨
1.개요 2.분리균의 임상적 의의
4.스라이드 침윤법(Dip-Slide법)
32부. 요검사의 자동화
1.정성검사 2.요침사검사의 자동화
33부. 요결석
1.성인 2.요결석분석법
본문내용
비중이 1.010 이하이면 보정을 하고 특히 알카리뇨일 때 해야 한다.
3)식후 뇨
식사 후 2시간 요를 사용하고 단백이나 당을 함유하기 쉽다.
4)특정시간 뇨
(1)오후 검체
오후 2~4시 사이에 유로비리노젠 정량에 이용
(2)주간 뇨
조식 전 오전 8시에 비우고 오후 8시까지 생긴 요
(3)야간 뇨
오후 8시에 방광을 비우고 밤 중의 요를 다 받는다.
(4)24시간 뇨
화학적인 정량검사에 이용
5)공복 뇨
식후 4시간 이상 경과시의 요는 전부 버리고 그 다음부터 배뇨하는 요는 전부 모은다.
6)배양을 위한 뇨
신장이나 요로감염을 보기 위한 것
7)세포진 검사를 위한 뇨
신선한 요를 채취하여야만 한다.
8)유아의 채뇨
카테터를 많이 이용한다. 멸균된 요를 채취하기 위해 suprapubic needle-aspiration도 한다.
9)Three-glass test
남자에서 병소부위를 알기 위해 환자는 연속적으로 세 개의 병에 방뇨를 한다.
첫 번째 요는 요도의 이상여부,
두 번째 요는 방광과 상부요로의 상태 반영,
세 번째 요는 전립선 분비가 많다고 한다.
10)카테터 뇨
요도를 통해서 방광에 카테터를 삽입해서 배뇨시키는 것이다.
11)치골상부 방광 천자법
주사침천자에 의해 방광의 요를 채취하는 것이다.
2. 오차의 원인
(1)세균 혹은 화학적으로 용기가 오염된 경우
(2)신선뇨를 채취하지 않았을 경우
(3)방부제가 잘못되었거나 부적당 할 때
(4)검체의 일부를 소실하였거나 검체가 너무 많을 경우
(5)검사전 혼합이 적절치 못했을 때
(6)24시간뇨의 채취를 부적당하게 한 경우
7 부. 일상뇨 검사
1. 방법
(1)신속하고 간편해야 한다.
(2)일상뇨 검사의 장점은 환자의 준비나 검체 채취에 지장을 받지 않는다.
(3)많은 양의 검체를 일시에 채취하여 검사를 쉽게 빨리 할 수 있다.
(4)여러 가지 장기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검사 비용도 싸다.
8부. 요의 물리적인 성질
1. 색조
정상뇨 색조의 주된 물질은 정상적으로 파괴되는 heme 색소이다.
2. 혼 탁
요가 혼탁되는 과정은 방광에서 생기며 대부분 침전현상은 pH의 변화에 의해서이고 요내로 유입되어 배설되는 물질들의 반응에 의해서 pH가 달라진다.
1)투명도와 혼탁도
알카리뇨: amorphous phosphate와 carbonate는 혼탁이 되는데 5~10%초산을 가하면 전자는 그대로 투명화되고 후자는 개스를 내며 투명하게 된다.
산성뇨에서의 요산염: 핑크빛이며 가열하면 없어진다.
수산염: 12% HCl에 의해 투명하게 된다.
농,혈액,상피세포: 알카리뇨에서 농은 mucoid하고 산성뇨에서는 푸석푸석 하게된다.
세균: 여과지로 여과가 되지 않는다.
지방: 우유빛이며 ether로 추출 제거한다.
Chyle: 기생충이나 비기생충성 때에 요의 색이 크림색이 된다.
2)혼탁감별법
(1)서서히 가열: 요산염에 의해 착색이 된다.
(2)빙초산 몇 방울을 적하
(3)2% 염산의 몇 방울 적하
(4)10% KOH를 떨구면:요산의 혼탁은 이것에 의해 투명하고, 농즙은 교상이 된다.
(5)알콜 및 에텔을 요 1 vol.+알콜 2 vol.+에텔 1 vol.의 비율로 가해서 진탕한다.
(6)요 약 1/50 중량의 magnesium oxide 또는 규조토를 가하고 진탕해서 여과지로
여과 반복할 때 투명하다.
(7)요 침사를 꼭 검경 해서 유형성분을 판정한다.
3. 냄 새
신장에 의해서 배설되는 소량의 ester들에 의한것.아세톤
즉 케톤체가 있으면 과일냄새가 나며 세균에 의한 부패는 암모니아 냄새가 난다.
역한 냄새가 나면 농이 존재하여 세균작용이 있다는 증거이다.
식품(마늘,양파)이나 약품들도 특이한 냄새를 낸다.
9부. 요의 비중, 삼투압 및 양
1. 비 중
사람뇨의 비중범위는 1.008~1.030사이이다.
물을 많이 섭취했을 땐 비중이 거의 1.000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1)요 비중계법
용액의 비중이란 동일 온도에서의 물의 부피에 대한 무게의 비율이다.
요도 용액이므로 비중은 녹아 있는 여러 가지 용질의 밀도나 무게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
요를 잘 혼합하고 요의 온도가 실온까지 되도록 방치한 후 비중계를 돌리면서 띄운 후 정지했을 때 메니스커스의 상단이나 하단을 읽는다.
[정상치]
성인: 1.001~1.020(수시뇨), 1.015~1.018(24시간뇨)
신생아: 1.002~1.004,
중년 그 이상: 비중이 점점 감소
2)굴절계법
신속하고 정밀하며, 단지 뇨 한 방울의 미량으로 족하고 60~100℉까지 온도가
자동 보정이 된다.
용액의 굴절계수는 녹아 있는 물질이 증가하면 증가한다.
3)시험지법
양이온만이 반응하기 때문에 요소를 측정하지 않는다.
또 pH보정과 단백질 보정을 필요로 하는 것도 있다.
4)Falling drop법
비중측정의 직접법이다. 요의 방울을 비중을 미리 아는 칼럼에 떨구는 것인데
칼럼은 비중이 점점 단계적으로 다르게 시리즈로 되어 있다.
5)초음파법
초음파는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는 높은 음으로 주파수 20kHz 이상의 것을 말한다.
이 기기는 체액 중의 음속과 온도를 측정해서 컴퓨터로 계산해서 요 비중을 구한다.
G = F(V, T)
G:요 비중, F:온도, 전반속도의 함수,V:초음파의 전반속도, T:온도
2. 삼투압 농도
1)Osmolality측정 방법
녹아 있는 용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osmolality 측정이 있다.
수시뇨의 범위는 200~1300mOsm/kg이다.
3. 총 고형성분
(S.G-1.000)×1000×F=g 총 고형성분/L, F의 범위는 각각 다르나 2.2~2.8 사이이다.
4.요의 양
건강성인의 하루 요 배설량은 1000~1500ml,이것은 1ml/kg/hr 정도 된다.
소아의 kg당 배뇨량은 성인의 3배이며, 1~6세는 300~1000ml,6~12세는
500~1500ml정도 된다.
[요량의 변화]
다뇨: 2000ml이상
핍뇨: 500ml미만
무뇨: 전혀없는 것
빈뇨
야간다뇨: 야간에 500ml이상이고 비중이 1.018이하 때
10부. 요의 반응(pH)
1. 측정법
1)리트머스 시험지법
청
3)식후 뇨
식사 후 2시간 요를 사용하고 단백이나 당을 함유하기 쉽다.
4)특정시간 뇨
(1)오후 검체
오후 2~4시 사이에 유로비리노젠 정량에 이용
(2)주간 뇨
조식 전 오전 8시에 비우고 오후 8시까지 생긴 요
(3)야간 뇨
오후 8시에 방광을 비우고 밤 중의 요를 다 받는다.
(4)24시간 뇨
화학적인 정량검사에 이용
5)공복 뇨
식후 4시간 이상 경과시의 요는 전부 버리고 그 다음부터 배뇨하는 요는 전부 모은다.
6)배양을 위한 뇨
신장이나 요로감염을 보기 위한 것
7)세포진 검사를 위한 뇨
신선한 요를 채취하여야만 한다.
8)유아의 채뇨
카테터를 많이 이용한다. 멸균된 요를 채취하기 위해 suprapubic needle-aspiration도 한다.
9)Three-glass test
남자에서 병소부위를 알기 위해 환자는 연속적으로 세 개의 병에 방뇨를 한다.
첫 번째 요는 요도의 이상여부,
두 번째 요는 방광과 상부요로의 상태 반영,
세 번째 요는 전립선 분비가 많다고 한다.
10)카테터 뇨
요도를 통해서 방광에 카테터를 삽입해서 배뇨시키는 것이다.
11)치골상부 방광 천자법
주사침천자에 의해 방광의 요를 채취하는 것이다.
2. 오차의 원인
(1)세균 혹은 화학적으로 용기가 오염된 경우
(2)신선뇨를 채취하지 않았을 경우
(3)방부제가 잘못되었거나 부적당 할 때
(4)검체의 일부를 소실하였거나 검체가 너무 많을 경우
(5)검사전 혼합이 적절치 못했을 때
(6)24시간뇨의 채취를 부적당하게 한 경우
7 부. 일상뇨 검사
1. 방법
(1)신속하고 간편해야 한다.
(2)일상뇨 검사의 장점은 환자의 준비나 검체 채취에 지장을 받지 않는다.
(3)많은 양의 검체를 일시에 채취하여 검사를 쉽게 빨리 할 수 있다.
(4)여러 가지 장기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검사 비용도 싸다.
8부. 요의 물리적인 성질
1. 색조
정상뇨 색조의 주된 물질은 정상적으로 파괴되는 heme 색소이다.
2. 혼 탁
요가 혼탁되는 과정은 방광에서 생기며 대부분 침전현상은 pH의 변화에 의해서이고 요내로 유입되어 배설되는 물질들의 반응에 의해서 pH가 달라진다.
1)투명도와 혼탁도
알카리뇨: amorphous phosphate와 carbonate는 혼탁이 되는데 5~10%초산을 가하면 전자는 그대로 투명화되고 후자는 개스를 내며 투명하게 된다.
산성뇨에서의 요산염: 핑크빛이며 가열하면 없어진다.
수산염: 12% HCl에 의해 투명하게 된다.
농,혈액,상피세포: 알카리뇨에서 농은 mucoid하고 산성뇨에서는 푸석푸석 하게된다.
세균: 여과지로 여과가 되지 않는다.
지방: 우유빛이며 ether로 추출 제거한다.
Chyle: 기생충이나 비기생충성 때에 요의 색이 크림색이 된다.
2)혼탁감별법
(1)서서히 가열: 요산염에 의해 착색이 된다.
(2)빙초산 몇 방울을 적하
(3)2% 염산의 몇 방울 적하
(4)10% KOH를 떨구면:요산의 혼탁은 이것에 의해 투명하고, 농즙은 교상이 된다.
(5)알콜 및 에텔을 요 1 vol.+알콜 2 vol.+에텔 1 vol.의 비율로 가해서 진탕한다.
(6)요 약 1/50 중량의 magnesium oxide 또는 규조토를 가하고 진탕해서 여과지로
여과 반복할 때 투명하다.
(7)요 침사를 꼭 검경 해서 유형성분을 판정한다.
3. 냄 새
신장에 의해서 배설되는 소량의 ester들에 의한것.아세톤
즉 케톤체가 있으면 과일냄새가 나며 세균에 의한 부패는 암모니아 냄새가 난다.
역한 냄새가 나면 농이 존재하여 세균작용이 있다는 증거이다.
식품(마늘,양파)이나 약품들도 특이한 냄새를 낸다.
9부. 요의 비중, 삼투압 및 양
1. 비 중
사람뇨의 비중범위는 1.008~1.030사이이다.
물을 많이 섭취했을 땐 비중이 거의 1.000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1)요 비중계법
용액의 비중이란 동일 온도에서의 물의 부피에 대한 무게의 비율이다.
요도 용액이므로 비중은 녹아 있는 여러 가지 용질의 밀도나 무게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
요를 잘 혼합하고 요의 온도가 실온까지 되도록 방치한 후 비중계를 돌리면서 띄운 후 정지했을 때 메니스커스의 상단이나 하단을 읽는다.
[정상치]
성인: 1.001~1.020(수시뇨), 1.015~1.018(24시간뇨)
신생아: 1.002~1.004,
중년 그 이상: 비중이 점점 감소
2)굴절계법
신속하고 정밀하며, 단지 뇨 한 방울의 미량으로 족하고 60~100℉까지 온도가
자동 보정이 된다.
용액의 굴절계수는 녹아 있는 물질이 증가하면 증가한다.
3)시험지법
양이온만이 반응하기 때문에 요소를 측정하지 않는다.
또 pH보정과 단백질 보정을 필요로 하는 것도 있다.
4)Falling drop법
비중측정의 직접법이다. 요의 방울을 비중을 미리 아는 칼럼에 떨구는 것인데
칼럼은 비중이 점점 단계적으로 다르게 시리즈로 되어 있다.
5)초음파법
초음파는 사람의 귀에 들리지 않는 높은 음으로 주파수 20kHz 이상의 것을 말한다.
이 기기는 체액 중의 음속과 온도를 측정해서 컴퓨터로 계산해서 요 비중을 구한다.
G = F(V, T)
G:요 비중, F:온도, 전반속도의 함수,V:초음파의 전반속도, T:온도
2. 삼투압 농도
1)Osmolality측정 방법
녹아 있는 용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osmolality 측정이 있다.
수시뇨의 범위는 200~1300mOsm/kg이다.
3. 총 고형성분
(S.G-1.000)×1000×F=g 총 고형성분/L, F의 범위는 각각 다르나 2.2~2.8 사이이다.
4.요의 양
건강성인의 하루 요 배설량은 1000~1500ml,이것은 1ml/kg/hr 정도 된다.
소아의 kg당 배뇨량은 성인의 3배이며, 1~6세는 300~1000ml,6~12세는
500~1500ml정도 된다.
[요량의 변화]
다뇨: 2000ml이상
핍뇨: 500ml미만
무뇨: 전혀없는 것
빈뇨
야간다뇨: 야간에 500ml이상이고 비중이 1.018이하 때
10부. 요의 반응(pH)
1. 측정법
1)리트머스 시험지법
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