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바이러스의 구조와 증상jo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볼라 바이러스의 구조와 증상j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에볼라 바이러스의 구조와 증상jo

Ⅰ 서 론

Ⅱ. 본 론
1. 에볼라 바이러스의 유래
2. 구 조
1) 크기와 형태
2) 유전자
3. 에볼라 바이러스의 형태
1) 아형
2) 에볼라 자이르형
3) 에볼라 수단형
4) 에볼라 레스턴형
5) 에볼라 아이보리 코스트형

4. 에볼라 바이러스의 증상
5. 치 료
6. 백 신
7. 예 방

Ⅲ.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데, 바이러스성 단백질 즉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가 바이러스 복제 과정에서 유전자를 mRNA로 전사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3. 에볼라 바이러스의 형태
길다란 막대 모양, 나뭇가지 모양, 끝이 구부러진 모양 등 다양하다. 직경은 80nm, 길이는 700~1,400nm 정도이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유행성출혈열 증세를 보이며, 감염 후 일주일 이내에 90%의 치사율을 보인다. 혈관을 통해 모든 장기에 이동, 장애를 일으키며 출혈과 함께 사망에 이르게 한다.
에볼라(ebola) 바이러스는 인간과 영장류에 치명적인 출혈열을 일으키는 필로비리데(Filoviridae)에 속하며 아이보리 코스트(ivory coast), 수단(sudan), 자이르(Zaire), 레스턴(reston)형의 4개 종으로 나뉜다. 에볼라 자이르 종은 출혈증상을 제외한 다른 증상이 가장 심하며 치사율도 높다. 수단 형은 자이르 형보다는 증상이 경미하지만 외부 출혈 경향은 가장 심하다. 레스턴형은 인간에게는 피해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영장류에게는 치명적인 출혈열을 일으키고 공기로 전염될 수 있다.
1) 아형
에볼라 바이러스에는 여러가지 아형이 있다.
2) 에볼라 자이르형
자이르형은 가장 먼저 발견되고 유행 횟수가 가장 많은 아형이다. 1976년과 2003년 사이에 발생한 자이르형의 유행 사례를 보면 지금까지의 모든 아형 중 평균 치사율이 83%로 가장 높다. 1976년 88%, 1977년 100%, 1994년 59%, 1995년 81%, 1996년 73, 2001년 ~ 2002년 80%, 2003년에 90%의 치사율을 기록했다.
첫 유행은 1976년 8월 26일 자이르의 북쪽 마을인 얌부쿠에서 발생했다. 첫 증례는 44세의 교사 Mabalo Lokela이다. 처음 그의 고열은 말라리아로 진단을 받았고 그는 퀴닌 주사를 맞았다. Lokela는 집으로 돌아갔다. 1주 후 그의 증상은 심한 구토, 혈변, 두통, 현기증, 호흡곤란으로 발전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코, 입, 직장에서 출혈이 일어났다. Lokela는 처음 증상 발현으로부터 14일 후인 9월 8일 사망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다양하지만 유사한 증상을 가진 환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증상은 열, 두통, 근육통과 관절통, 피로감, 오심, 현기증으로 시작해 혈변, 심한 구토 그리고 출혈로 발전했다. 초기 전염은 Lokela의 주사에 사용된 바늘을 소독하지 않고 재사용해 일어난 것이었고, 이후 환자들의 장벽간호(barrier nursing)의 부재, 사망 후 시체를 처리하는 전통 관습에서 추가적인 전염이 발생했다.
3) 에볼라 수단형
수단형은 1976년 자이르형 다음으로 발견되었다. 첫 증례는 수단 Nzara의 솜 공장 노동자에게서 발생했다. 과학자들은 이 증례가 자연계의 숙주에게 노출됨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했으나, 부근의 어떤 동물이나 곤충에서도 바이러스는 발견되지 않았다. 곧이어 발생한 두 번째 증례는 Nzara의 나이트클럽 주인이었다. 지역 병원인 Maridi에서 치료를 시도했지만, 환자는 사망했다. 역시 자이르형의 초기와 마찬가지로 전염은 병원 의료진들의 소독에 대한 개념 부족으로 병원 전체로까지 번지게 되었다.
가장 최근에 일어난 수단형의 유행은 2004년 5월 수단의 Yambio 주에서 발생했다. 총 20건의 증례 중에서 5명이 사망했다. 수단형의 치사율은 1976년 54%, 1979년 68%, 2000-2001년 53%이며 평균 치사율은 53.7%이다.
4) 에볼라 레스턴형
레스턴형은 1989년 11월 필리핀에서 버지니아주 레스턴(Reston)으로 수입된 100마리의 게잡이원숭이에게서 발견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1.21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5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