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 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이육사(李陸史,1904 - 1943)
광야
<연구 1> 선구자의식 또는 미래지향적 역사의식
<연구 2> 천지창조의 원형을 통해 표현된 작가의 역사의식과 그로 인한 공

허함

청포도
<연구1> 독립을 바라는 손님
<연구2>시인이 바라는 진정한 이상향

절정
<연구1>
<연구2> 시사적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엇일까?
절정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디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연구1>
1연에서 시적 화자는 매운 계절의 채찍에 못 이겨 북방으로 쫓기게 된다. 시대적 배경을 고려할 때 ‘매운 계절의 채찍’에 못 이겨 북방으로 쫓기게 된다. 시대적 배경을 고려할 때 ‘매운 계절’이라든가 ‘채찍’은 일제 치하의 가혹한 탄압을 상징한다.
2연에서 화자는 북방 중에서도 극한 지점인 고원에 다다르게 된다. ‘서릿발 칼날진 그 위’인 고원이란 극한 상황인 공간적 배경이다.
3연은 비켜서거나 물러서는 것이 불가능한 절망적인 상황에서 그 고통과 어려움을 자신의 강인한 의지로밖에는 이겨낼 길이 없음을 암시하고있는 대목이다. 여기서 무릎을 꿇는 행위는 굴복이라기보다 절대자나 초월적 힘에 의지해 보려는 것으로 생각함이 더 타당하다. 그러나 그 행위조차 너무나 좁은 공간이기에 여의치 않다.
4연에 이르러 화자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다시 돌이켜 보는 태도를 취한다. 그 태도란 눈을 감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생각의 대상이 되는가? 바로 겨울이란 계절이다.
물론 그 겨울은 계절을 나타내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일제의 혹독하고 암담한 상황을 내포한다. 화자가 생각하기에 그 상황이 너무나 길다는 것이다. 실제 따지고 보면 30년 이상이나 지속된 겨울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사라져야 할 것이 면서도 사라지지 않는 것 마치 강철로 된 무지개 같은 것이라는 것이다. 과거 이 부분의 해석에 있어서 초월의 공간을 지향한 것, 비극적 황홀을 나타낸 것이라는 등의 언급들이 있었으나 이는 의도적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채홍,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1995, 교학사
<연구2> 시사적 의의
육사시가 현대 시사에서 갖는 위치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시사적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겠다. 무엇보다도 가장 분명한 것은 한국현대시사에서 저항시의 전형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가계로 보나 일제 식민통치 시절에 극렬한 항일투쟁운동 단체에 가담하여 저항활동을 한 행적으로 보나 그의 시는 식민지 현실에 대한 투철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했으리라는 추론은 분명한 사실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또 그의 시가 집단자아와 개체 자아적인 두 형태로 구분되어 보여진다하더라도 그것은 대아와 소아라는 차이일 뿐 동일한 정신적 심리적 갈등의 노작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분명한 것은 투철한 현실인식에서 연유하여 죽음까지도 초월한 저항정신, 그리고 한국 참여시의 진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한국 현대시사에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육사시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이러한 저항적이고 전통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시 절정은 육사시의 이러한 시사적 의의를 가장 확실하게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 신용협, 현대 대표시 연구, 2001, 새미
<발표조 생각>
이 시는 제목에 드러나 있듯이 극한의 긴장 속에 있는 한 투사가 자신이 서있는 상황을 노래한 작품이다. 따라서 자신을 둘러싼 외적세계와 팽팽히 맞서고 있는 시인의 세계인식으로부터 이 시는 강렬한 긴장미를 획득하게 되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시를 빛나게 한 것은 사람이 가진 보통의 인내력을 넘는 이 극한적 긴장 속에서 차라리 담담하게 그것을 받아들이는 시적 화자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했다.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개라는 역설에서 비극의 극점이 오히려 달관할 줄 아는 정신의 넓이로부터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토론사항>
이 시의 마지막행인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에서 ‘강철’과 ‘무지개’의 대립된 의미를 알아보자.
*참고문헌
권영진, 韓國 現代詩 解說, 1993. 숭실대학교 출판부
김은전, 이승원, 한국 현대 시인론 그 비평적 재조명, 1995, 시와 시학사
김영석, 한국 현대시의 논리, 1999, 삼경문화사
http://nongae.gsnu.ac.kr/~jcyoo/reread/bluegrape.html
양승준, 양승국, 한국현대시 400선, 1996, 태학사
朴錫天, 李陸史의 詩 硏究 /학위논문(석사), 1987, 全南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姜鍊鎬, 李陸史.尹東柱 詩의 構造 硏究: 空間構造와 時間構造를 中心, 1989, 高麗大學校 大學院: 國語國文學科,
남채홍,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1995, 교학사
신용협 현대 대표시 연구, 2001, 새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1.25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