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화의 개념
2. 자문화중심주의와 문화 상대주의
1) 자문화중심주의
2) 문화 상대주의
3. 일본의 문화
1) 의상문화(기모노)
2) 식문화
3) 주택문화
4) 방송문화
5) 영화시장 문화
6) 교복 문화
4. 일본의 문화와 우리나라문화와의 공통점
1) 의상문화(한복과 기모노)
2) 식문화
3) 언어문화
4) 인종적 유사성
5) 건축문화
6) 집단주의적 문화
7) 유사한 사회제도
5. 보편성에 작용하는 요인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문화의 개념
2. 자문화중심주의와 문화 상대주의
1) 자문화중심주의
2) 문화 상대주의
3. 일본의 문화
1) 의상문화(기모노)
2) 식문화
3) 주택문화
4) 방송문화
5) 영화시장 문화
6) 교복 문화
4. 일본의 문화와 우리나라문화와의 공통점
1) 의상문화(한복과 기모노)
2) 식문화
3) 언어문화
4) 인종적 유사성
5) 건축문화
6) 집단주의적 문화
7) 유사한 사회제도
5. 보편성에 작용하는 요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라가 없었으므로 한국이나 중국 처럼 잘 씌여 있는 역사 기록이 별로 없다보니 일본의 역사 교과서의 60퍼센트 이상이 근대사 이다. 서양의 근대 문명을 소리없이 빨리 받아 드려 지금의 일본을 만든 었고 그래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감각을 보면 한국인 보다 일본인이 물질 문명에 대한 감각과 적응된 삶의 정신이 한세대 정도 앞서 있다고 보여 진다.
Ⅲ. 결론
이상으로 문화의 개념과 자문화중심주의, 문화상대주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의 문화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와 같은 공통점을 알아보았으며 일본문화와 우리문화의 보편성이 작용하는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자문화가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삶에 대한 그 규정성은 클 수밖에 없다. 우리는 자문화라는 삶의 표준에 따라 살아가면서 한편으로는 그것을 의식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자문화를 의식하는 것은 이를 교육의 소재로 삼을 때나 타문화를 접할때이다. 교육은 자문화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새로운 세대가 그것을 내면화하도록 기여한다. 시간의 흐름속에서 세상이 변하는데 현재의 자문화에 안주하는 것이 언제나 유용하거나 타당한 것은 아니다.
타문화가 자문화를 산출한다고 하더라도 당장 타문화를 받아들이고 자문화를 버릴수는 없으며 타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자문화보다 타문화가 낫다는 것이 수시로 입증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문화가 동일하게 지배적인 위상을 갖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일부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가 지배적인 위상을 가지게 되는데 문제는 그들의 문화가 과연 세께의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상생의 문화인가 하는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상생의 문화를 지향하면서 그들의 문화를 지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역동을 볼 수 있는 안목의 수준을 높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김준기(1998), 교육사회학, 서울: 재동문화사.
김연정(1999), 동서양 전통적인 주택 양식의 실내공간 특성 비교분석 연구 : 한국, 중국, 일본, 로마, 이집트, 이탈리아의 사례주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우 외(2001), 교육사회, 서울: 동문사.
문화와 교육, 2008 학습보조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아오키타모츠 외 1인(2002), 문화의 충돌과 이문화 공존, 경남대학교출판부
이현청(1994), 교육사회학, 서울: 양서원
정봉도(1999), 교육사회학, 서울: 동문사.
장지연 외 1인(2006), 이것이 한국사특강이다, 서울:고시연구원.
조용환 외 2인 공저(2008), 문화와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차경수 외(1999), 교육사회학의 이해, 서울:양서원
일본어한마당 http://cafe.daum.net/japaneseplaza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612&docid=133290
http://myhome.naver.com/sw016/f-00.htm
Ⅲ. 결론
이상으로 문화의 개념과 자문화중심주의, 문화상대주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의 문화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와 같은 공통점을 알아보았으며 일본문화와 우리문화의 보편성이 작용하는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자문화가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삶에 대한 그 규정성은 클 수밖에 없다. 우리는 자문화라는 삶의 표준에 따라 살아가면서 한편으로는 그것을 의식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자문화를 의식하는 것은 이를 교육의 소재로 삼을 때나 타문화를 접할때이다. 교육은 자문화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새로운 세대가 그것을 내면화하도록 기여한다. 시간의 흐름속에서 세상이 변하는데 현재의 자문화에 안주하는 것이 언제나 유용하거나 타당한 것은 아니다.
타문화가 자문화를 산출한다고 하더라도 당장 타문화를 받아들이고 자문화를 버릴수는 없으며 타문화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자문화보다 타문화가 낫다는 것이 수시로 입증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문화가 동일하게 지배적인 위상을 갖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일부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가 지배적인 위상을 가지게 되는데 문제는 그들의 문화가 과연 세께의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상생의 문화인가 하는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상생의 문화를 지향하면서 그들의 문화를 지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역동을 볼 수 있는 안목의 수준을 높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김준기(1998), 교육사회학, 서울: 재동문화사.
김연정(1999), 동서양 전통적인 주택 양식의 실내공간 특성 비교분석 연구 : 한국, 중국, 일본, 로마, 이집트, 이탈리아의 사례주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우 외(2001), 교육사회, 서울: 동문사.
문화와 교육, 2008 학습보조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아오키타모츠 외 1인(2002), 문화의 충돌과 이문화 공존, 경남대학교출판부
이현청(1994), 교육사회학, 서울: 양서원
정봉도(1999), 교육사회학, 서울: 동문사.
장지연 외 1인(2006), 이것이 한국사특강이다, 서울:고시연구원.
조용환 외 2인 공저(2008), 문화와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차경수 외(1999), 교육사회학의 이해, 서울:양서원
일본어한마당 http://cafe.daum.net/japaneseplaza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612&docid=133290
http://myhome.naver.com/sw016/f-00.htm
추천자료
조직문화의 개념 및 중요성
문화산업의 개념과 중요성
혼전동거문화의 개념,실태,원인,찬성반대의견,외국과한국비교,향후방향
[청소년의 단체문화] 단체문화의 개념과 특성 및 문제점 개선방안
기업문화의 기본개념
문화관광의 개념(의의)에 대해 설명
다문화가정의 개념, 현황, 문제점, 제안,
다문화가정 개념.현황,국내해외사례,문제점,해결방안,나의의견
문화산업의 개념, 특징, 경제적 효과, 부산 국제영화제, 지역축제 발전, 지역경제 발전, 개발...
[소비와 소비문화] 소비와 소비문화의 개념(의의)과 특징
다문화가정아동의 개념과 현황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고유성(固有性)의 개념적 발전 - 고유성의 개념, 고유성의 유형(객...
문화세계화의 개념정의
다문화사회의 개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