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 신소재기술과 도자기
본 론 : 한국의 도자기사(史)
중국의 도자기사
일본의 도자기사
동서 간 도자기 교류
결 론 : 동아시아 3국의 도자기사 이해
과제수행을 통해 느낀 점
본 론 : 한국의 도자기사(史)
중국의 도자기사
일본의 도자기사
동서 간 도자기 교류
결 론 : 동아시아 3국의 도자기사 이해
과제수행을 통해 느낀 점
본문내용
앞서 16세기에는, ‘포르투칼’의 ‘바스코 다가마’가 인도 항로를 열자 많은 사람들이 아시아로 뱃머리를 돌렸다. 이로 인해 유럽과 중국, 일본과의 교류가 빈번해진다. 따라서 상호 필요에 의한 상품 교역이 나타날 수밖에 없게 된다. 당시 열등한 유럽은 아편을 중국에 팔기 시작했고 우리는 이를 아편전쟁이라고 한다. 아편전쟁의 내면에는 문화적인 열등감이 도사리고 있었던 것이다. 당시 국제 시장을 헤집고 다녔던 장사꾼의 나라 ‘네덜란드’와 교류하면서 국제 정보를 훤히 알고 있었던 일본은 원천 기술을 빼앗기로 결정하고 조선반도를 침략한다. 급기야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던 조선의 도공들을 납치하는 데 성공한다. 이로써 일본도 17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도자기 국제 경쟁의 대열에 뛰어든다. 네덜란드와 손을 잡고 유럽에 자기를 수출하여 엄청난 이익을 챙길 수 있었다. 특히 일본의 규슈 지역은 유럽과 도자기 교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사쓰마, 죠오슈, 사가 등 규슈 지방이 강력한 에도의 도쿠가와 막부체제에 도전해 이를 무너뜨릴 수 있었던 것은 결국 도자기 교역을 통해 얻은 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조선 도공들의 손길에서 시작된 일본 백자가 일본의 역사를 바꾸는 명치유신의 원동력이 된 것이다.
이렇듯 한중일 의 도자기 역사는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자기 제조에 있어 가장 먼저 독보적 위치를 점했던 중국과 그것을 배워 더욱 발전시킨 일본, 독자적으로 그들만의 문화를 창조해 나간 한국, 이렇게 동아시아 3국의 도자기사만 살펴보더라도 예전에 3국 상호 간의 문물이 어떻게 교류되었으며 어떠한 힘의 논리가 작용했는지도 짐작해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만일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우수한 도공들을 빼앗기지 않았더라면, 현재 우리나라는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도자기계의 강국이 되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역사(歷史)의 기록은 승자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승자가 기록한 사실이 후세 사람들이 생각하는 역사가 되는 것이고, 패자는 그것을 할 수 없습니다. 후세 사람들은 기록에 의존해 짐작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몇 만 년을 사는 사람이 없는 한 진실은 승자들에 의해 왜곡될 것이고, 힘의 논리에 의해서 승자만이 새로운 역사를 창조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제껏 역사가 어떠했든,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국제적인 입지가 어떠하든, 미래에 있어 승자가 되면 새로운 역사를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지금 저와 같은 20대 청년들이 해야 하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인구도, 토지도, 자원도 모두 부족한 우리나라이기에, 승자가 될 수 있는 돌파구는 첨단산업기술의 발전과 대체에너지 개발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에 있어, 자본에 있어서도 어떠한 국가도 감히 얕잡아 볼 수 없는 진정한 승자가 되어 세계 속에 군림할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길 기대하며, 저도 다시 한 번 각오를 다지고 학업에 임할까 합니다.
한 학기 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렇듯 한중일 의 도자기 역사는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자기 제조에 있어 가장 먼저 독보적 위치를 점했던 중국과 그것을 배워 더욱 발전시킨 일본, 독자적으로 그들만의 문화를 창조해 나간 한국, 이렇게 동아시아 3국의 도자기사만 살펴보더라도 예전에 3국 상호 간의 문물이 어떻게 교류되었으며 어떠한 힘의 논리가 작용했는지도 짐작해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안타까운 점이 있다면, 만일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우수한 도공들을 빼앗기지 않았더라면, 현재 우리나라는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도자기계의 강국이 되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역사(歷史)의 기록은 승자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승자가 기록한 사실이 후세 사람들이 생각하는 역사가 되는 것이고, 패자는 그것을 할 수 없습니다. 후세 사람들은 기록에 의존해 짐작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몇 만 년을 사는 사람이 없는 한 진실은 승자들에 의해 왜곡될 것이고, 힘의 논리에 의해서 승자만이 새로운 역사를 창조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제껏 역사가 어떠했든,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국제적인 입지가 어떠하든, 미래에 있어 승자가 되면 새로운 역사를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지금 저와 같은 20대 청년들이 해야 하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인구도, 토지도, 자원도 모두 부족한 우리나라이기에, 승자가 될 수 있는 돌파구는 첨단산업기술의 발전과 대체에너지 개발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에 있어, 자본에 있어서도 어떠한 국가도 감히 얕잡아 볼 수 없는 진정한 승자가 되어 세계 속에 군림할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길 기대하며, 저도 다시 한 번 각오를 다지고 학업에 임할까 합니다.
한 학기 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동아시아 IT산업의 동향을 통해 살펴본 21세기 국제정치경제질서 (한국․중국&#...
한국도자기의 물류현황은 어떠한가
[도자기 예술의 이해] 소지의 정의 및 종류
[도자기 예술의 이해] 유약과 소성
도자기의 흙의 종류 와 특징
도자기의 복원제와 특성
ppt 한국도자기 명소여행 사업계획서 대학과제
한국의 도자기 역사
[전래][유교사상][개신교][감리교][천주교][성결교회][유학][불상][도자기]유교사상의 전래, ...
[현대일본정치의 이해]강제병합 100년 - 과거와 미래의 대화 (19세기를 보는 시각, 문명기준...
[도자기공예] 옹기와 자기의 차이점 {옹기의 역사, 형태와 종류, 특성과 제작과정, 옹기가마,...
★ 젓가락문화 - 젓가락의 세계화 , 젓가락이란, 동아시아의 젓가락, 한국, 중국, 일본, 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