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표준어의 정의
Ⅲ. 표준어의 체계와 내용
Ⅳ. 표준어의 문제점
Ⅴ. 표준어 관련 제언
참고문헌
Ⅱ. 표준어의 정의
Ⅲ. 표준어의 체계와 내용
Ⅳ. 표준어의 문제점
Ⅴ. 표준어 관련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주는 단어라서 비표준어로 처리한 예가 다수 포함돼 있다. 개지, 곰탕, 곱수머리, 배챗괘기, 솔개미, 키장다리 따위가 그것이다.
현재 방언형으로 처리되고 있는 내음, 나래 따위는 절대 냄새, 날개 따위보다 더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많은 학자들이 표준어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관련되는 규정대로라면 내음, 나래는 냄새, 날개보다 더 널리 쓰이지 않기 때문에 표준어로 인정받을 수 없다.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형은 복수표준어로 삼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방언과 관련된 사정 기준은 표준어와 대응하지 않는 방언형에 대한 표준어 사정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고형(원형)과 신형의 관계에 있는 어형에서는 주로 사용 빈도와 어원 의식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만을 표준어로 삼으나 그런 면에 볼 때 네와 예, 쇠-와 소- 를 둘 다 인정하여 복수표준어로 삼은 것은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네와 예는 이병근 (1998)에 따르면 네는 수도권의 방언형이요 예는 그 밖의 지역의 방언형이다. 쇠- 와 소- 도 엄밀히 쇠- 는 고어형이고, 소- 는 현대어형이다. 그렇게 보면 이들은 모두 발음 변화와 관련된 고형(원형)과 신형의 관계로 볼 수 없다. 그 밖에 자음이나 모음이 교체되어 어감의 차이를 불러일으키는 단어들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였는데 이들 단어들은 별개의 단어로 봐야 할 것이라서 자연스러운 조처라 할 수 있다.
Ⅴ. 표준어 관련 제언
표준어는 분명 존재하고 있고 앞으로도 없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문제는 표준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이냐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말이 표준어라는 데에 동의한다면 가장 널리 쓰이는 말이 무엇인지에 대한 실상을 파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다수가 쓰는 말이라도 비표준어가 될 수 있고 소수가 쓰는 말이라도 표준어가 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는 단순히 실태 조사 결과만으로 표준어를 정하는 것에 반대할 것이다. 지난 수십년을 되돌아보면 언중은 교육과 정책의 대상이었고 표준어를 정하는 주체가 따로 있었다. 즉, 국어학자들이 표준어를 사정(査定)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사람들이 쓰는 말이 곧 표준어라는 원칙에 충실한다면 다수의 사람들이 쓰는 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일이 중요하게 될 것이다. 결국 언중의 사용 실태와 학자들의 판단 중에서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둘 것이냐가 문제이다. 언중의 사용 실태를 외면한 독단적인 표준어 사정도 있을 수 없겠지만 단지 언중의 사용 실태만으로 표준어를 정하기 곤란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남영신 - 우리말 맞춤법, 표준어사전, 한강문화사, 1993
대교문화 - 새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 대교문화, 1989
미승우 - 새맞춤법과 표준어 해설, 지학사, 1988
은하출판사 편집부 - 생활 속의 언어, 은하출판사, 2002
이익섭 외 - 우리말 우리글 바로 쓰기, 동화서적, 2001
이익섭 - 한국어 표준어의 제문제, 일지사 1983
서정욱 - 국어 정서법의 이론과 실제, 문창사, 1996
현재 방언형으로 처리되고 있는 내음, 나래 따위는 절대 냄새, 날개 따위보다 더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많은 학자들이 표준어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관련되는 규정대로라면 내음, 나래는 냄새, 날개보다 더 널리 쓰이지 않기 때문에 표준어로 인정받을 수 없다.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쓰이는 방언형은 복수표준어로 삼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방언과 관련된 사정 기준은 표준어와 대응하지 않는 방언형에 대한 표준어 사정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고형(원형)과 신형의 관계에 있는 어형에서는 주로 사용 빈도와 어원 의식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만을 표준어로 삼으나 그런 면에 볼 때 네와 예, 쇠-와 소- 를 둘 다 인정하여 복수표준어로 삼은 것은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네와 예는 이병근 (1998)에 따르면 네는 수도권의 방언형이요 예는 그 밖의 지역의 방언형이다. 쇠- 와 소- 도 엄밀히 쇠- 는 고어형이고, 소- 는 현대어형이다. 그렇게 보면 이들은 모두 발음 변화와 관련된 고형(원형)과 신형의 관계로 볼 수 없다. 그 밖에 자음이나 모음이 교체되어 어감의 차이를 불러일으키는 단어들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였는데 이들 단어들은 별개의 단어로 봐야 할 것이라서 자연스러운 조처라 할 수 있다.
Ⅴ. 표준어 관련 제언
표준어는 분명 존재하고 있고 앞으로도 없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문제는 표준어를 어떻게 규정할 것이냐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말이 표준어라는 데에 동의한다면 가장 널리 쓰이는 말이 무엇인지에 대한 실상을 파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다수가 쓰는 말이라도 비표준어가 될 수 있고 소수가 쓰는 말이라도 표준어가 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는 단순히 실태 조사 결과만으로 표준어를 정하는 것에 반대할 것이다. 지난 수십년을 되돌아보면 언중은 교육과 정책의 대상이었고 표준어를 정하는 주체가 따로 있었다. 즉, 국어학자들이 표준어를 사정(査定)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사람들이 쓰는 말이 곧 표준어라는 원칙에 충실한다면 다수의 사람들이 쓰는 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일이 중요하게 될 것이다. 결국 언중의 사용 실태와 학자들의 판단 중에서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둘 것이냐가 문제이다. 언중의 사용 실태를 외면한 독단적인 표준어 사정도 있을 수 없겠지만 단지 언중의 사용 실태만으로 표준어를 정하기 곤란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남영신 - 우리말 맞춤법, 표준어사전, 한강문화사, 1993
대교문화 - 새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 대교문화, 1989
미승우 - 새맞춤법과 표준어 해설, 지학사, 1988
은하출판사 편집부 - 생활 속의 언어, 은하출판사, 2002
이익섭 외 - 우리말 우리글 바로 쓰기, 동화서적, 2001
이익섭 - 한국어 표준어의 제문제, 일지사 1983
서정욱 - 국어 정서법의 이론과 실제, 문창사, 1996
추천자료
- 표준화 검사의 종류 및 방향
- [염화비닐][염화비닐제조][염화비닐의 제조공정][염화비닐의 용도][염화비닐의 원료][염화비...
- 표준국어문법론 요약
- [국어 운율의 요소][국어 운율의 도출][국어 운율과 어조][국어 운율과 표준발음법][운율과 ...
- 표준보육과정 6가지 영역과 의사소통영역
- 표준시 변경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ppt
- [이사회][이사회의 권한][이사회 표준정관][이사회 운영][이사회 경영권방어][이사회 주주총...
- 의사소통 영역의 실제 - 표준 보육과정의 의사소통 영역 내용 및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 영...
- [표준국어문법론] 11장.부속성분 {관형어, 부사어, 독립성분}
- 표준보육과정 만 2세 보육과정의 영역별 목표 중 의사소통영역의 내용범주에 해당하는 듣기, ...
-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0-2세 아동미술교사 역할에 대해 서술 [미술]
-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 영역에 해당되는 말하기 지도를 위한 활동계획안을 작성해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