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호흡기계][소화기계][만성 전염병][동물매개][닭기관지][난계대 전염병]호흡기계 전염병, 소화기계 전염병, 만성 전염병, 동물매개 전염병, 닭기관지 전염병, 난계대 전염병에 관한 심층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염병][호흡기계][소화기계][만성 전염병][동물매개][닭기관지][난계대 전염병]호흡기계 전염병, 소화기계 전염병, 만성 전염병, 동물매개 전염병, 닭기관지 전염병, 난계대 전염병에 관한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호흡기계 전염병
1. 디프테리아(diphtheria)
1) 병원체
2) 병원소
3) 전파
4) 감수성 및 면역성
5) 예방책
2. 백일해(whooping cough)
1) 병원체
2) 병원소
3) 전파
4) 감수성 및 면역성
5) 예방책
3. 홍역(measles)
1) 병원체
2) 병원소
3) 전파
4) 감수성 및 면역성
5) 예방책
4.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mumps)
5. 풍진(rubella, german measles)

Ⅱ. 소화기계 전염병
1. 장티푸스
1) 병원체와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대책
2. 파라티푸스
1) 병원체와 병원소
2) 전파양식과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 대책
3. 콜레라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대책
4. 세균성 이질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대책
5. 소아마비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대책
6. 전염성 간염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대책

Ⅲ. 만성 전염병
1. 결핵(tuberculosis)
2. 한센병(leprosy)
3. 성병
1) 매독(syphilis)
2) 임질(gonorrhea)
4. 트라코마(trachoma)
5. 간염(hepatitis virus A.B.C)
6.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Ⅳ. 동물 매개 전염병
1. 광견병
1) 병원체와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관리 및 예방대책
2. 탄저병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예방대책
3. 쯔쯔가 무시병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예방대책
4. 렙토스피라증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예방대책
5. 서교열
1) 병원체 및 병원소
2) 전파양식 및 감수성
3) 예방대책

Ⅴ. 닭 기관지 전염병

Ⅵ. 난계대 전염병
1. 원인
2. 진단
1) 초생추
2) 성계
3. 예방 및 치료
1) agglutination test
2) 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의한 교상 및 찰과상을 철저히 소독한다.
Ⅴ. 닭 기관지 전염병
닭 전염성 기관지염(Infectious bronchitis; IB)은 IB 바이러스(IB virus: IBV)에 의한 전염병으로 어린 병아리와 성계에서 각각 호흡기 질병 및 산란 저하를 주로 일으키는 병이다. 1931년 미국에서 최초로 보고한 이래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면서 양계 산업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질병이다(King 과 Cavanagh, 1992). IBV는 어린 병아리에 단독 감염되면 호흡기 증상을 주로 일으키며, 마이코플라즈마나 대장균 등 다른 호흡기성 병원체와 복합 감염 시 호흡기 증상 및 폐사율이 증가된다(Yoder 등, 1977; Cook 등, 1986). 어린 일령에 감염되면 수란관에 손상을 주어 영구적인 무산계가 되며(Crinion 등, 1971), 일부 혈청형은 신장염을 일으키기도 한다(Goryo 등, 1984; Winterfield 등, 1984; Condron 등, 1985). IBV가 성계에 감염되면 산란율 저하뿐만 아니라 난질 저하 및 부화율 저하를 일으키기도 한다.(Maiti 등, 1985). IBV는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르고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며 각 혈청형 간에는 방어능이 없거나 부분적이기 때문에 백신에 의한 예방에 어려움이 있다(Cowen 등, 1972). 국내에서의 IB 발생은 1986년 이전까지 야외 계군에 대한 항체 보유 조사로 간접적으로 확인하였으며(김 등, 1980), 이 등(1986), 한 과 김(1987)에 의하여 처음으로 발생 사례가 보고되었다. 그 후 IB 발생으로 인한 호흡기 증상과 산란율 저하 등의 문제는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어린 병아리에서 높은 폐사율을 동반한 신장염의 발생이 보고 된 바 있다(김 등; 1992). IB의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혈청학적 검사 및 조직이나 분비물로부터 IBV 분리 동정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야외 IBV는 adaptation이 되기 전까지는 배양 세포에서 세포 변성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바이러스 분리 동정은 주로 발육란 접종법이나(Larose와 van Roekel, 1961) 배양 기관조직 접종법(Colwell과 Lukert, 1970)을 이용하였다. 배양 기관 접종법은 기관 배양의 어려움으로 그 이용이 제한적이며, 발육란 접종법은 계태아에서 최소한 4-6대의 계대 과정을 거쳐야만 IBV의 특징적인 병변이 나타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IBV 특이 단클론성 항체(IBV monoclonal antibody: MAb)를 이용한 형광항체법(Yagyu 와 ohata, 1990)이나 dot-immunoblotting assay(DIA)(Muneer 등, 1988), 면역 조직 염색법(Wainright 등, 1989)에 의한 IBV 특이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바이러스 동정뿐만 아니라 혈청형을 동시에 확인하기 위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과 cDNA probe를 이용한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Jackwood 등, 1992)이 이용되고 있다.
IBV에 대한 항체가 측정법으로는 한천 겔 침강반응(Lohr, 1971; Lohr, 1980), 보체 결합 반응(Marquardt, 1974), 형광항체 반응(Coria, 1969), 바이러스 중화 시험(Johson 등, 1975; Lohr, 1976), 혈구응집 억제 반응(Alexander 등, 1976; King 과 Hopkins, 1984; King,1988) 및 효소 면역 측정법 등이 있다. 이 중 보체 결합 반응과 형광항체 반응은 실험 방법이 복잡하여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한천 겔 침강 반응은 항원 제조 및 실험 방법이 간편하고 group-specific한 반응으로 혈청형에 상관없이 항체를 검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반응의 민감도가 낮고 검출되는 항체가 일시적이라는 점 때문에 이용에 제약을 받고 있다. 중화 시험에는 발육 계란(Lohr, 1976), 기관 배양(Johnson 과 Marquardt, 1975) 및 세포배양(Hopkins, 1978) 등이 이용되고 있다. 발육 계란에서의 중화 시험은 많은 수의 종란이 필요하고, 기관 배양에서의 중화 시험은 실험 방법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세포 배양에서의 중화 시험은 IBV를 배양 세포에 순응시키기 위하여 계태아 및 배양 세포에서의 계대 과정을 거쳐야하는 문제점이 있다(Chomiak 등, 1958). 또한 중화 시험은 혈청형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반적인 항체 측정법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주로 IBV의 혈청형 구분에 이용하고 있다(Johnson 과 Marquardt, 1975; Lohr, 1976; Hopkins, 1978). IBV를 phospholipase C(type 1)로 처리하였을 때 닭 적혈구에 대한 응집 능력이 있음이 확인된 이후로(Bingham 등,1975), 혈구응집 억제 반응을 이용한 항체 측정법이 현재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Alexander 등, 1976; King 과 Hopkins, 1983; King, 1988). 그러나 IBV의 혈구응집 억제 반응은 낮은 항체가에서 비특이 반응이 나타나고 혈청형에 따라서 교차 반응이 부분적으로 만 나타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Ⅵ. 난계대 전염병
추백리는 초생추에서 백색의 설사를 특징으로 하며 높은 폐사율은 가진 소화기계의 전염병이다. 추백리균인 Sallmonella pullorum의 감염에 의하여 발병하며 난계대 전염을 하고 성계애서는 불현성 감염 또는 난소에 심한 병변이 형성되었을 경우 산란율 저하를 나타내거나 특이한 임상증상 없이 보균계로 있으면서 균을 배출한다. 닭 이외에 칠면조에서도 발병한다.
1. 원인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Sallmonella pullorum이고 운동성이 없는 그람음성의 간균이다. 닭티프스균인 Sallmonella gallinarum과 비슷하나 항원성으로 구별되고 Sallmonella속 균은 O항원과 H항원에 의해서 많은 혈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2.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