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 노래한 사모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버이 노래한 사모곡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작품감상
2. 어석 연구
3. 형식 및 내용연구
4. 비유법에 대한 논란
5. 관련설화 - 목주가
6. 사모곡과 목주와의 관계에 대한 논란
7. 민요에 나타나는 <사모곡>의 정서
Ⅲ. 결론

본문내용

동사어간 ‘(如)’, 부사화접미사 ‘이’의 연결형.
‘티’는 원래 ‘’의 ‘’음 탈락형 ‘ㅎ’이 부사화접미사 ‘이’를 튀하여 ‘티’로 된 형이므로 어간은 ‘’이 아니라 ‘ㅎ’이다.
(2) 들 리도 > 들 리도, 들 까닭도
동사어간 ‘들 (切, 入)’과 의존명사 ‘리(이유, 까닭)’, 태격접미사 ‘도’의 연결형. ‘들’은 어간말음 ‘리’ 때문에 직접 관형사형으로 사용된 것이다.
(3) 업스니이다 > 없습니다.
동사어간 ‘업(無)’과 조성모음 ‘으’, 현재시상선행어미 ‘니’, 존칭서술형종결어미 ‘이다’의 연결형.
「시용향악보」의 ‘어섀라’는 ‘업스세라’의 이형으로 ‘업스’로 표기되어야 하나 어두자음군을 가진 ‘(米), (種), (用)’ 등에 사용된 초성 ‘ㅄ’의 유추에 의해 ‘어’로 변형되었다. ‘섀라’는 뒷 구에 나오는 ‘어라’와 동일형인 ‘어섀라>어라’로 표기되어야 하나 가창의 필요에서 조성모음 ‘으’를 취하여 ‘어’형에 감탄형종결어미 ‘섀라’가 연결된 형이다. 원래는 ‘업서’의 ‘서’에 서술형종결어미 ‘ ㅣ라’가 합성되어 ‘세라’가 되어야하나, ‘섀라’로 변형되었다.
3. 아바님도 어이어신마 위 덩더둥셩
(1) 아바님도 > 아버님도
명사어간 ‘압(父)’과 호격접미사 ‘아’, 존칭접미사 ‘님’의 연결형.
‘님’은 원래 앞이나 주인을 뜻하는 명사였으나, 애인 또는 손위의 어른에게 붙이는 존칭접미사로 기능하게 되었다.
(2) 어이어신마 > 어버이시건마는
명사어간 ‘어이(親)’와 선행어미 ‘거신>어신’, 연결어미 ‘마’의 연결형.
‘어이’의 어근은 ‘엇(母)’이며, ‘어이’는 ‘엇’에 명사형성접미사 ‘이’가 연결되어 굳어진 형으로 ‘엇+이’가 ‘어시>어>어이’의 변천을 거쳤다.「시용향악보」에는〈사모곡〉을 속칭〈엇노리〉라 하여 ‘어머니 노리’의 뜻으로 ‘어이’의 원형 ‘엇’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시용향악보」의 표기에는 ‘어어신마’으로 ‘ㅿ’음이 남아 있다.
〈사모곡〉에서 ‘어>어이’는 부모의 뜻으로 사용된 것이다. 그러나 ‘엇’은 향가에서 보이듯이 본래는 ‘어머니’의 뜻으로만 사용되다가 뒤에 점차 ‘부모’의 뜻으로 전의된 것이다. 이는 모계를 종심으로 한 씨족사회인 고대가족제도에서 어머니만이 ‘친(親)’이었던 사실을 말해준다. 그러다가 점차 부계가족제도가 확립됨에 따라 ‘엇’이 부모 공칭으로 전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는 모계중심에서 부계중심 사회로 변천함에 따라 ‘어>어이’의 앞에 아버지, 수컷을 뜻하는 ‘압’의 모음교체형 ‘업’이 붙어 ‘업+어(어이)’ 즉 ‘어버>어버이’가 생겨 오늘날 부모(親)의 뜻으로 굳어진 것이다.
또한 ‘어머니’만을 뜻한 ‘엇’은 오늘날 사용되는 ‘어머니, 어미, 엄마’의 어근 ‘엄’과는 별개의 어사이다. 원형 ‘엄’이 ‘암컷(雌), 싹(芽), 창조, 여성’ 등을 모두 뜻하다가 음의 상징적 변화로 ‘암(雌), 엄(母), 움(芽)’ 으로 의미분화를 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 초기만 하더라도 이들 ‘암, 엄, 움’은 어감의 차이만 보였을 뿐 분별함이 없이 단일 어사로 두루 사용되었다. ‘암’ 등이 ‘엇’과 더불어 어머니의 뜻으로 일찍이 사용된 것은 사실이나, ‘엇’은 모계중심의 가족제도에서의 ‘어머니’를 , ‘암’등은 ‘암컷’을 각각 지칭한 것이라고 볼 것이다.
‘엇 어>어이’는 어머니의 칭호에서 부모를 공칭하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고, 부모를 공칭하게 됨에 따라 ‘아버지’의 뜻인 ‘업’이 머리에 붙어 ‘어버>어버이’가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어버’형의 우세에 따라 ‘어’형은 자연히 소멸되고 ‘어머니’의 뜻에는 ‘암’의 모음교체형인 ‘엄’이 대치되었다. ‘암, 엄, 움’ 등의 의미분화에 따라 ‘엄’이 어머니의 뜻으로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2.20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