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 론
1. 포스코 기업소개
2. CEO의 특징
3. 포스코기업의 변화 - 민영화-
4. 포스코의 비전과 기업문화
(1) 비전
(2) 기업문화
5. 포스코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
6. 포스코의 마케팅
(1) 포스코의 문화마케팅
(2) 포스코의 그린마케팅
(3) 프로슈머 마케팅
7. 포스코의 문제점
8. 포스코의 인재상
Ⅲ. 맺음말
Ⅱ. 본 론
1. 포스코 기업소개
2. CEO의 특징
3. 포스코기업의 변화 - 민영화-
4. 포스코의 비전과 기업문화
(1) 비전
(2) 기업문화
5. 포스코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
6. 포스코의 마케팅
(1) 포스코의 문화마케팅
(2) 포스코의 그린마케팅
(3) 프로슈머 마케팅
7. 포스코의 문제점
8. 포스코의 인재상
Ⅲ. 맺음말
본문내용
를 개발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인 경영을 하고있다. 또한 환경 생태림을 조성하는 등의 활동과 e-푸른세상(webzine.posco.co.kr)이라는 환경웹진을 발행해서 사회공헌에 앞장서서 기업이미지 개선에 힘쓰고 있다.
(3) 프로슈머 마케팅
◈ 프로슈머 마케팅이란?
프로슈머는 앨빈토플러가 그의 저서<제3의물결>에서 처음 언급한 용어이다. 이책에서 그는 ‘제2의 물결사회(산업사회) 양축인 공급자와 소비자간 경계가 무너지면서 소비자가 제품개발과 유통에 직접 참여하는 생산적 소비자로 거듭난다’며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를 합성한 프로슈머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한때 <제3의물결>이 인기를 끌고, 프로슈머가 널리 회자됐지만 이를 생산에 직접 도입한 기업은 거의 없었다. 단순히 고객의 불만사항을 접수해 해결해주는 정도였다. 다시 말해 애프터서비스(AS) 차원에서 고객들의 의견을 처리했던 것이다.
그러다가 최근 들어 인터넷이 기업경영에 폭넓게 이용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각 기업들이 인터넷을 활용해 고객들의 의견을 실시간을 듣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프로슈머마케팅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이 등장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일부 제조업체와 인터넷 쇼핑몰, 그리고 외국계 회사를 중심으로 고객이 제공하는 상품정보나 아이디어를 판촉으로 연결시키고, 더 나아가 이를 제품개발에까지 활용하는 사례가 크게 늘어 눈길을 끌고 있다.
◈ 포스코의 프로슈머마케팅
포스코가 광양제철소 내에 만든 강재연구센터에는 포스코 연구진의 자체 실험동 외에 고객사인 자동차업체가 제품개발 초기단계부터 참여하는 EVI(Early Vendor Involvment) 연구동이 있다. 자동차 직원들이 상주하면서 차체에 대한 고객의 수요에 맞춰 제품개발에 깊숙이 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놓은 것이다. 고객이 직접 쏟아내는 정보가 곧바로 생산과 매출로 연결된다는 것을 파악한 것이다.
구체적인 마케팅의 예
① TV광고
◈ 스틸하우스 편 (07.11.03~ )
이 광고에서는 아름다운 자연에 꼬마아이 2명 동물에게 다가가는 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자연속에 스틸로 만든 집이 나오며 동물들이 그집으로 다가온다.
그러면서 “다가서면 물러서지만 존중해지면 다가옵니다. 철은 자연과 함께
사는법을 알고 있습니다.” 라는 멘트가 나온다. 이 광고의 의미는 포스코는
자연과 함께 하는 법을 알고 있고 실천한다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자신의 회사가 실천하는 직접적인 사례를 광고에 보여주는 것을 피하고
자연과 철의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CF를 만들었다.
즉 사회적 책임 안에 한 부분인 자연보호를 실천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방법으로 보여주고 있다.
◈ 뻥튀기 편 (07.04.14 ~ 07.11.02)
이 광고의 내용은 탄자니아 지역에서 뻥튀기를 튀겨주는 한국인이 나오고
그 뻥튀기를 튀기는 것은 스틸이다. 그리고 “세상은 함께 움직이는 것”이라는
멘트가 마지막에 나온다. 이 CF는 사회적 책임으로 세계 식량문제와 연관되어
직접적인 지원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철은 세상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그것을 만드는 포스코 역시 세계문제에 봉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 페스티벌 편 (05.07.9 ~ 05.10.9)
이 광고는 포스코의 사회공헌 중 지역사회 공헌의 일부인 포항국제불빛축제를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포스코는 이렇게 주민들을 위한 축제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② 인쇄광고
< 스틸하우스 편 >
◈ 스틸하우스편
“철은 자연과 함께 사는 법을 알고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고 토끼가
스틸하우스를 바라다 보는 구성의 인쇄광고가 있다.
이 광고의 의미는 자연을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는 메시지를 감성적으로
표현하며 스틸하우스를 통해 철의 친환경성 및 친환경적인 기업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 FINEX공법 상용화 성공
“용광로 100년의 역사를 새로 씁니다”
세계 최초 파이넥스 공법 상용화 기술개발 성공! 포스코가 친환경, 저원가의
파이넥스 기술로 철강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갑니다
이렇게 문구가 써있고 철 제조 공장을 보여준다. 이광고는 새공법으로
친환경 포스코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직접적인 광고이다.
다른 여타의 간접 광고와는 사뭇 달랐다.
7. 포스코의 문제점
기업 표면적, 외부적 문제로는,
1. 국제 경쟁력에서의 경쟁력 상실 우려
중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
일본 기업의 기술 경쟁력
2. 원자재의 높은 해외 의존도
기업 잠재적, 내재적인 문제로는,
1. 환경오염
환경사고나 새로운 환경문제로 인한 기업의 이미지 악화
가시적 공해 발생에 따른 부정적 이미지
환경 관련 Risk를 태생적으로 포함
오염방지에 과다한 비용 소요
환경규제 강화
2. 유통
운송업자들의 단합 반발 우려
- 포스코는 생산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사내에서 해결할 수 있지만,
운송에서만은 그렇지 못하고 있다.
- 실제 2003년도 화물연대 파업으로 포스코의 철강 생산 및 2, 3차 생산업까지 피 해를 입은 경험이 있다.
8. 포스코의 인재상
Ⅲ. 맺음말
지금까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기업소개와 기업문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을 중심으로 과제를 해보았다. 또한 기업의 중요한 부분인 마케팅에 관해서도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수업시간에 배웠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을 중점적으로 관련하여 조사해 보았는데, 이를 중심으로 말을 맺어 보려고 한다.
포스코는 너무나 많은 사회적 공헌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이익에 비해 당연히 이정도의 사회적 공헌을 해야한다. 과거 공기업에서 민영화로 전환한 포스코는 국가의대표 기업, 나라의 대들보라고 국민들은 대다수가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더더욱 사회공헌에 힘을 써야할 기업이기도 하다. 포스코의 기업은 철을 만들기에 환경적 문제에 봉착을 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포스코는 꾸준한 연구개발로 인해 수질,공기등에 환경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환경운동연합과 대화를 하고 방안을 모색하며 지역사회에 환경문제에 적극 참여하였다.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내놓고 실천하여 이익분배에 힘
(3) 프로슈머 마케팅
◈ 프로슈머 마케팅이란?
프로슈머는 앨빈토플러가 그의 저서<제3의물결>에서 처음 언급한 용어이다. 이책에서 그는 ‘제2의 물결사회(산업사회) 양축인 공급자와 소비자간 경계가 무너지면서 소비자가 제품개발과 유통에 직접 참여하는 생산적 소비자로 거듭난다’며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를 합성한 프로슈머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한때 <제3의물결>이 인기를 끌고, 프로슈머가 널리 회자됐지만 이를 생산에 직접 도입한 기업은 거의 없었다. 단순히 고객의 불만사항을 접수해 해결해주는 정도였다. 다시 말해 애프터서비스(AS) 차원에서 고객들의 의견을 처리했던 것이다.
그러다가 최근 들어 인터넷이 기업경영에 폭넓게 이용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각 기업들이 인터넷을 활용해 고객들의 의견을 실시간을 듣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프로슈머마케팅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이 등장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일부 제조업체와 인터넷 쇼핑몰, 그리고 외국계 회사를 중심으로 고객이 제공하는 상품정보나 아이디어를 판촉으로 연결시키고, 더 나아가 이를 제품개발에까지 활용하는 사례가 크게 늘어 눈길을 끌고 있다.
◈ 포스코의 프로슈머마케팅
포스코가 광양제철소 내에 만든 강재연구센터에는 포스코 연구진의 자체 실험동 외에 고객사인 자동차업체가 제품개발 초기단계부터 참여하는 EVI(Early Vendor Involvment) 연구동이 있다. 자동차 직원들이 상주하면서 차체에 대한 고객의 수요에 맞춰 제품개발에 깊숙이 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놓은 것이다. 고객이 직접 쏟아내는 정보가 곧바로 생산과 매출로 연결된다는 것을 파악한 것이다.
구체적인 마케팅의 예
① TV광고
◈ 스틸하우스 편 (07.11.03~ )
이 광고에서는 아름다운 자연에 꼬마아이 2명 동물에게 다가가는 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자연속에 스틸로 만든 집이 나오며 동물들이 그집으로 다가온다.
그러면서 “다가서면 물러서지만 존중해지면 다가옵니다. 철은 자연과 함께
사는법을 알고 있습니다.” 라는 멘트가 나온다. 이 광고의 의미는 포스코는
자연과 함께 하는 법을 알고 있고 실천한다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자신의 회사가 실천하는 직접적인 사례를 광고에 보여주는 것을 피하고
자연과 철의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CF를 만들었다.
즉 사회적 책임 안에 한 부분인 자연보호를 실천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방법으로 보여주고 있다.
◈ 뻥튀기 편 (07.04.14 ~ 07.11.02)
이 광고의 내용은 탄자니아 지역에서 뻥튀기를 튀겨주는 한국인이 나오고
그 뻥튀기를 튀기는 것은 스틸이다. 그리고 “세상은 함께 움직이는 것”이라는
멘트가 마지막에 나온다. 이 CF는 사회적 책임으로 세계 식량문제와 연관되어
직접적인 지원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철은 세상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그것을 만드는 포스코 역시 세계문제에 봉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 페스티벌 편 (05.07.9 ~ 05.10.9)
이 광고는 포스코의 사회공헌 중 지역사회 공헌의 일부인 포항국제불빛축제를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포스코는 이렇게 주민들을 위한 축제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고 있다.
② 인쇄광고
< 스틸하우스 편 >
◈ 스틸하우스편
“철은 자연과 함께 사는 법을 알고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고 토끼가
스틸하우스를 바라다 보는 구성의 인쇄광고가 있다.
이 광고의 의미는 자연을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는 메시지를 감성적으로
표현하며 스틸하우스를 통해 철의 친환경성 및 친환경적인 기업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 FINEX공법 상용화 성공
“용광로 100년의 역사를 새로 씁니다”
세계 최초 파이넥스 공법 상용화 기술개발 성공! 포스코가 친환경, 저원가의
파이넥스 기술로 철강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갑니다
이렇게 문구가 써있고 철 제조 공장을 보여준다. 이광고는 새공법으로
친환경 포스코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직접적인 광고이다.
다른 여타의 간접 광고와는 사뭇 달랐다.
7. 포스코의 문제점
기업 표면적, 외부적 문제로는,
1. 국제 경쟁력에서의 경쟁력 상실 우려
중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
일본 기업의 기술 경쟁력
2. 원자재의 높은 해외 의존도
기업 잠재적, 내재적인 문제로는,
1. 환경오염
환경사고나 새로운 환경문제로 인한 기업의 이미지 악화
가시적 공해 발생에 따른 부정적 이미지
환경 관련 Risk를 태생적으로 포함
오염방지에 과다한 비용 소요
환경규제 강화
2. 유통
운송업자들의 단합 반발 우려
- 포스코는 생산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사내에서 해결할 수 있지만,
운송에서만은 그렇지 못하고 있다.
- 실제 2003년도 화물연대 파업으로 포스코의 철강 생산 및 2, 3차 생산업까지 피 해를 입은 경험이 있다.
8. 포스코의 인재상
Ⅲ. 맺음말
지금까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기업소개와 기업문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을 중심으로 과제를 해보았다. 또한 기업의 중요한 부분인 마케팅에 관해서도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수업시간에 배웠던 사회적 책임과 윤리경영을 중점적으로 관련하여 조사해 보았는데, 이를 중심으로 말을 맺어 보려고 한다.
포스코는 너무나 많은 사회적 공헌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이익에 비해 당연히 이정도의 사회적 공헌을 해야한다. 과거 공기업에서 민영화로 전환한 포스코는 국가의대표 기업, 나라의 대들보라고 국민들은 대다수가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더더욱 사회공헌에 힘을 써야할 기업이기도 하다. 포스코의 기업은 철을 만들기에 환경적 문제에 봉착을 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포스코는 꾸준한 연구개발로 인해 수질,공기등에 환경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환경운동연합과 대화를 하고 방안을 모색하며 지역사회에 환경문제에 적극 참여하였다.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내놓고 실천하여 이익분배에 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