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치제어(NC)의 정의
(1) NC 란 ,(2) CNC 란, (3) NC의 분류, (4) NC 공작기계
2. 어드레스와 지령치 범위
(1) 어드레스 기능 의미, (2) 어드레스 지령치 범위
3. 소재의 재질에 따른 절삭깊이 및 이송속도
4. G-CODE , M-CODE 일람표
(1) G-CODE 일람표, (2) M-CODE 일람표
5. 보간기능 및 예제
(1) NC 란 ,(2) CNC 란, (3) NC의 분류, (4) NC 공작기계
2. 어드레스와 지령치 범위
(1) 어드레스 기능 의미, (2) 어드레스 지령치 범위
3. 소재의 재질에 따른 절삭깊이 및 이송속도
4. G-CODE , M-CODE 일람표
(1) G-CODE 일람표, (2) M-CODE 일람표
5. 보간기능 및 예제
본문내용
는 I, K를 사용합니다. )
[도면 풀이]
G01 X40. F0.2
Z-30.
G02 X50. Z-35. R5.
X60.
▶ 도면 분석
1. 우선, 가공방향을 봐서 G02, G03을 결정한다.
- 주로 A점을 기준으로 B점 쪽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그림처럼 원호중심이 공작물 바깥쪽에 위치합니다.
그러므로 G02방향으로 가공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G02)
2. R의 값이 5로 되어 있고 끝점 좌표값이 Z는 -35이고 X값은 지름값으로 봐야하므로 50이 된다. (X50. Z-35. R5.)
[ 도면 풀이 ]
G01 X40. F0.2
Z-30.
X50.
G03 X60. Z-35. R5.
G01Z-70.
▶ 도면 분석
1. 우선, 가공방향을 봐서 G02, G03을 결정한다.
- 주로 A점을 기준으로 B점 쪽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그림처럼 원호중심이 공작물 안쪽에 위치합니다.
그러므로 G03방향으로 가공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G03)
2. R의 값이 5로 되어 있고 끝점 좌표값이 Z는 -35이고 X값은 60이 된다. (X60. Z-35. R5.)
(4) G04-지령된 시간만큼 공구를 정지시키는 명령어
:주로 홈가공할시 홈바이트가 정삭할 때 일시 멈춰서 면을 고르게 해 줄 때 사용합니다.
G04 X_. 또는 U_. 또는P ;
X , U : 정시시간을 표시하는데 반드시 점을 찍어야 합니다.
(X2. ,U2. - 2초간 정지합니다. 둘 중 1개만 사용하세요)
P : 정시시간을 표시하는데 점을 찍으면 절대 안됩니다. (P2000 2초간 정지합니다)
1) 사용예제
T0300 ......... 홈바이트 공구 교환
G97 S300 ......... 주축속도로는 300RPM 좋습니다.
G00 X32. Z-25. T0303 ........ 가공할 위치로 공구보정 및 급속 이동
(앞에 30파이가 있기 때문에 충격을
방지할 목적으로 일부로 높이 줍니다.)
G01 X18. F0.07 ........도면의 깊이되로 18파이만큼절삭합니다.
G04 P2000 ........ 2초간 정지
G00 X24. ....... 나머지 가공하기위해 먼저 X축부터
이송한다.
Z23. 혹은 W2. ........ 폭이 5mm 로 마쳐주어야 하기 때문에
Z축으로 이송
G01 X18.
G04 P2000 ....... 2초간 정지
G00 X24.
X100. Z100. T0300
(5) G20,21 - 단위를 인치나 미리로 변환해 줌.
:도면 전체의 치수가 Inch로 되어 있을 때나 Metric으로 되어 있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기계의 이동단위를 Inch나 Metric으로 변환시켜줍니다.
G 코드
단 위 계
최소 설정 단위
G20
Inch
0.0001 inch
G21
mrtric (mm)
0.001 mm
(6) G27 - 원점 복귀가 제대로 되었는지 체크함.
; 기계원점에 복귀하도록 작성된 프로그램이 정확하게 기계원점에 복귀했는지를 체크하는 기능입니다.
지령된 위치가 원점이 되면 원점복귀 램프가 점등하고, 지령된 위치가 원점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알람이 발생합니다.
1)지령 형식
G27 X(U) __. Z(W) __.
X(U), Z(W) 원점복귀를 하고자 하는 축을 지령합니다.
축의 뒤에 기입한 수치는 중간점의 좌표가 됩니다.
U, W지령(증분지령)은 현재 위치에서 이동거리입니다.
X, Z지령(절대지령)은 공작물 좌표계 원점에서의 위치이므로 절대지령의 방식은 주의를 해야 합니다.
(7) G28 - 기계 원점으로 자동 복귀합니다.
; 급속이송으로 중간점을 경유하여 기계원점까지 자동으로 복귀 합니다.
1) 지령 형식
G28 X(U) __. Z(W) __.
X(U), Z(W) 원점복귀를 하고자 하는 축을 지령합니다.
축의 뒤에 기입한 수치는 중간점의 좌표가 됩니다.
U, W지령(증분지령)은 현재 위치에서 이동거리입니다.
X, Z지령(절대지령)은 공작물 좌표계 원점에서의 위치이므로 절대지령의 방식은 주의를 해야 합니다.
Mode 스위치를 \"자동\"혹은 \"반자동\"에 위치 시키고, G28을 이용 하여 각축을 기계원점까지 복귀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Machine Lock ON 상태에서는 기계원점을 복귀할 수 없습니다.
G28 X120. Z-50.
현재 공구가 소재와 밀접하게 있는데 이를 기계원점까지 이송시키는데에는 중간점을 지정해 줍니다.
이 중간점은 이송하다가 소재와의 충돌을 막기위함인데 여기서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느냐고 이런 그림을 그린것입니다.
사실상 기계원점복귀는 기계를 강제로 세웠거나 기계를 아침에 출근해서 사용할려고 킬 때 주로 사용하는데 가급적 수동으로 해주는 것이 안전합니다.
(8) G30 -제2원점, 제3원점 , 제4 원점으로 급속 복귀 합니다.
; 일반적으로 공구 교환 지점으로 활용하는 제2원점, 제3원점 , 제4 원점은
기계원점을 기준한 거리를 입력합니다.
반드시 기계 원점복귀 완료 후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1) 지령 형식
G30 P_ X(U) __. Z(W) __.
P2, P3, P4 : 제2, 3, 4원점을 선택하고 P를 생략하면 제2원점이 선택됩니다.
X(U),, Z(W) : 원점복귀를 하고자 하는 축을 지령하고 그위치를 정해줍니다.
2) 사용예제
G30 U0. W0.
U, W지령(증분지령)은 파라메다 -1241에서 지정된 값으로 이송하는데 그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량이 없는 것입니다.
즉, 이송을 하는데 제2원점값으로 복귀(G00) 후 변화가 없다는 것입니다.
G30 X100. Z100.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각축의 한계지점(0)까지 갈 수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을 안합니다.
(9) G50 -공작물의 위치를 지정해주고, 주축(스핀들) 최고속도를 지정해
주는 명령입니다.
; 공작물을 가공할 시 그 위치를 기계에 입력하여 가르쳐 주는 기능입니다. (공작물 좌표계 설정)
1) 지령 형식 1
G50 X __. Z __.
X, Z : 현재 공구의 위치를 좌표로 지정합니다.
공작물의 기준점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NC 기계는 모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소재를 1번 기준공구로 직접
[도면 풀이]
G01 X40. F0.2
Z-30.
G02 X50. Z-35. R5.
X60.
▶ 도면 분석
1. 우선, 가공방향을 봐서 G02, G03을 결정한다.
- 주로 A점을 기준으로 B점 쪽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그림처럼 원호중심이 공작물 바깥쪽에 위치합니다.
그러므로 G02방향으로 가공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G02)
2. R의 값이 5로 되어 있고 끝점 좌표값이 Z는 -35이고 X값은 지름값으로 봐야하므로 50이 된다. (X50. Z-35. R5.)
[ 도면 풀이 ]
G01 X40. F0.2
Z-30.
X50.
G03 X60. Z-35. R5.
G01Z-70.
▶ 도면 분석
1. 우선, 가공방향을 봐서 G02, G03을 결정한다.
- 주로 A점을 기준으로 B점 쪽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그림처럼 원호중심이 공작물 안쪽에 위치합니다.
그러므로 G03방향으로 가공하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G03)
2. R의 값이 5로 되어 있고 끝점 좌표값이 Z는 -35이고 X값은 60이 된다. (X60. Z-35. R5.)
(4) G04-지령된 시간만큼 공구를 정지시키는 명령어
:주로 홈가공할시 홈바이트가 정삭할 때 일시 멈춰서 면을 고르게 해 줄 때 사용합니다.
G04 X_. 또는 U_. 또는P ;
X , U : 정시시간을 표시하는데 반드시 점을 찍어야 합니다.
(X2. ,U2. - 2초간 정지합니다. 둘 중 1개만 사용하세요)
P : 정시시간을 표시하는데 점을 찍으면 절대 안됩니다. (P2000 2초간 정지합니다)
1) 사용예제
T0300 ......... 홈바이트 공구 교환
G97 S300 ......... 주축속도로는 300RPM 좋습니다.
G00 X32. Z-25. T0303 ........ 가공할 위치로 공구보정 및 급속 이동
(앞에 30파이가 있기 때문에 충격을
방지할 목적으로 일부로 높이 줍니다.)
G01 X18. F0.07 ........도면의 깊이되로 18파이만큼절삭합니다.
G04 P2000 ........ 2초간 정지
G00 X24. ....... 나머지 가공하기위해 먼저 X축부터
이송한다.
Z23. 혹은 W2. ........ 폭이 5mm 로 마쳐주어야 하기 때문에
Z축으로 이송
G01 X18.
G04 P2000 ....... 2초간 정지
G00 X24.
X100. Z100. T0300
(5) G20,21 - 단위를 인치나 미리로 변환해 줌.
:도면 전체의 치수가 Inch로 되어 있을 때나 Metric으로 되어 있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기계의 이동단위를 Inch나 Metric으로 변환시켜줍니다.
G 코드
단 위 계
최소 설정 단위
G20
Inch
0.0001 inch
G21
mrtric (mm)
0.001 mm
(6) G27 - 원점 복귀가 제대로 되었는지 체크함.
; 기계원점에 복귀하도록 작성된 프로그램이 정확하게 기계원점에 복귀했는지를 체크하는 기능입니다.
지령된 위치가 원점이 되면 원점복귀 램프가 점등하고, 지령된 위치가 원점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알람이 발생합니다.
1)지령 형식
G27 X(U) __. Z(W) __.
X(U), Z(W) 원점복귀를 하고자 하는 축을 지령합니다.
축의 뒤에 기입한 수치는 중간점의 좌표가 됩니다.
U, W지령(증분지령)은 현재 위치에서 이동거리입니다.
X, Z지령(절대지령)은 공작물 좌표계 원점에서의 위치이므로 절대지령의 방식은 주의를 해야 합니다.
(7) G28 - 기계 원점으로 자동 복귀합니다.
; 급속이송으로 중간점을 경유하여 기계원점까지 자동으로 복귀 합니다.
1) 지령 형식
G28 X(U) __. Z(W) __.
X(U), Z(W) 원점복귀를 하고자 하는 축을 지령합니다.
축의 뒤에 기입한 수치는 중간점의 좌표가 됩니다.
U, W지령(증분지령)은 현재 위치에서 이동거리입니다.
X, Z지령(절대지령)은 공작물 좌표계 원점에서의 위치이므로 절대지령의 방식은 주의를 해야 합니다.
Mode 스위치를 \"자동\"혹은 \"반자동\"에 위치 시키고, G28을 이용 하여 각축을 기계원점까지 복귀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Machine Lock ON 상태에서는 기계원점을 복귀할 수 없습니다.
G28 X120. Z-50.
현재 공구가 소재와 밀접하게 있는데 이를 기계원점까지 이송시키는데에는 중간점을 지정해 줍니다.
이 중간점은 이송하다가 소재와의 충돌을 막기위함인데 여기서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느냐고 이런 그림을 그린것입니다.
사실상 기계원점복귀는 기계를 강제로 세웠거나 기계를 아침에 출근해서 사용할려고 킬 때 주로 사용하는데 가급적 수동으로 해주는 것이 안전합니다.
(8) G30 -제2원점, 제3원점 , 제4 원점으로 급속 복귀 합니다.
; 일반적으로 공구 교환 지점으로 활용하는 제2원점, 제3원점 , 제4 원점은
기계원점을 기준한 거리를 입력합니다.
반드시 기계 원점복귀 완료 후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1) 지령 형식
G30 P_ X(U) __. Z(W) __.
P2, P3, P4 : 제2, 3, 4원점을 선택하고 P를 생략하면 제2원점이 선택됩니다.
X(U),, Z(W) : 원점복귀를 하고자 하는 축을 지령하고 그위치를 정해줍니다.
2) 사용예제
G30 U0. W0.
U, W지령(증분지령)은 파라메다 -1241에서 지정된 값으로 이송하는데 그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량이 없는 것입니다.
즉, 이송을 하는데 제2원점값으로 복귀(G00) 후 변화가 없다는 것입니다.
G30 X100. Z100.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각축의 한계지점(0)까지 갈 수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을 안합니다.
(9) G50 -공작물의 위치를 지정해주고, 주축(스핀들) 최고속도를 지정해
주는 명령입니다.
; 공작물을 가공할 시 그 위치를 기계에 입력하여 가르쳐 주는 기능입니다. (공작물 좌표계 설정)
1) 지령 형식 1
G50 X __. Z __.
X, Z : 현재 공구의 위치를 좌표로 지정합니다.
공작물의 기준점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NC 기계는 모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소재를 1번 기준공구로 직접
추천자료
머시닝 센터 프로그래밍(G-code, M-code)
CNC 프로그래밍(G-code, M-code)
ITS 기술의 개념과 기술 분류 및 향후 발전방향
[외상성뇌손상][TBI][뇌손상][뇌][재활치료]외상성뇌손상(TBI)의 개념, 외상성뇌손상(TBI)의 ...
[산업정책][석유화학산업정책][자동차산업정책][항공산업정책][정보통신산업정책][서비스산업...
[CPU][중앙처리장치][Intel][인텔][AMD]CPU(중앙처리장치)의 정의, CPU(중앙처리장치)의 구조...
[조사][통계][연구][조사방법][조사통계방법][조사통계분석][조사통계]조사, 통계, 연구의 정...
[CPU][중앙처리장치][연산장치][레지스터][레지스터 구성][레지스터의 상호전송]CPU(중앙처리...
(IT와경영정보시스템)(1) 일반적인 컴퓨터의 처리 방식인 직렬처리 방식에 비해 병렬처리 방...
[디젤엔진(디젤기관)][연료분사장치]디젤엔진(디젤기관)의 개념, 디젤엔진(디젤기관)의 원리...
OSI(개방형시스템표준)의 개념, OSI(개방형시스템표준)의 역사, OSI(개방형시스템표준)의 목...
정신보건사회복지 장애 분류
자료資料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료를 그림으로 수치로 나타내는 통계...
방어기제의 분류와 개인별 방어기제와 적응과정 자신이 사용하는 방어기제의 사례 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