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ATIA
(1) CATIA 의 특징
(2) 발전과정 -
(3) CATIA의 보급현황
(4) CATIA의 장점
2. AutoCAD
(1) 특징
3. UG
(1) 특징
4. I-DEAS
(1) 특징
5. Pro/ENGINEER
(1) 특징
6. 솔리드윅스 (Solidworks) , Inventor, MDT
(1) CATIA 의 특징
(2) 발전과정 -
(3) CATIA의 보급현황
(4) CATIA의 장점
2. AutoCAD
(1) 특징
3. UG
(1) 특징
4. I-DEAS
(1) 특징
5. Pro/ENGINEER
(1) 특징
6. 솔리드윅스 (Solidworks) , Inventor, MDT
본문내용
인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해 봄으로써 설계 상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2) 구조물 설계 및 도면화를 하며 판금 설계 기능 및 다양한 기계 설계용 라이브러리를 쉽게 활용할 수 있다.
3) 자체 금형 설계 툴을 사용하여 코어와 캐비티 제작을 자동화하며 마법사 형식의 사출해석 툴인 MoldflowXpress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사출 부품의 제작성을 검증할 수 있다.
(2) 특징
1) ViewPorts 기능
작업화면을 2개 또는 4개의 링크된 창으로 분할하여 모델링하는데 있어서 형상을 좀더 자세하게 볼 수 있으며 작업창의 왼쪽 아래 뷰 방향 버튼이 위치하여 작업 중 수시로 원하는 뷰 방향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2) Top Down 설계
면, 피쳐, 바디, 파트의 색상과 텍스쳐 정보를 작업창에 태그 형식으로 나타내서 선택한 대상의 모양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수정도 가능하다.
3) 작업 속도 향상을 위한 선택 기능
작업창에서만 가능하던 Box선택이 FeatureManager 디자인트리에서도 가능하다또한 선택방향 바꾸기를 이용해서 선택한 이외의 아이템을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많은 아이템을 선택하기가 휠씬 쉬워졌습니다.
4) 어셈블리 정보 표 시 창 기능
파트 또는 어셈블리에서 피쳐 바디, 부품의 색, 텍스쳐, 투명표시유무, 뷰모양을 지정하고 표시해주는 기능으로 모델에 부여된 가시적인 정보를 한눈에 표시해줍며, 어셈블리에서는 각 부품별로 표시방법을 달리해서 표시할 수 있다.
5) 포물선, 타원 옵셋
기존의 선이나 원호 외에 포물선, 타원, 부분타원까지 옵셋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케치 옵셋 명령을 다양한 방향을 사용 할 수 있다.
6) 스케치 블록
도면에서 사용하던 블록 기능을 스케치 상에서도 블록을 생성, 편집하고 파일로 저장해서 사용 가능하며 파트에서 한 스케치에 여러 개의 블록을 구성하여 구동체크가능 구성한 블록을 이용하여 어셈블리 작성하면 각 블록이 파트로 생성한다.
7) 3D 스케치 도구
원호(중심점호, 3호점, 접원호), 원(중심점 원, 3점원), 사각형, 평행사변형 추가됨으로 해서 3D 스케치에서 구현하기 힘들었던 형상을 쉽게 표현 할수있다.
8) 평면 생성
3D 스케치 편집 상태에서 참조하는 평면을 생성 가능하고 그 평면에 스케치를 작성하는 방법이 간편하다. 또한 3D 스케치에 부여할 수 있는 치수의 종류도 다양하다.
- 출처위치
http://prism21.co.kr/intro.htm
http://www.solidworks.co.kr/newweb/html/index.jsp
8. 카티아와 다른 프로그램의 장단점 및 비교
1. CATIA
(Computer-Graphics Aided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Application)
- CATIA는 제품의 모델을 설계개념에서부터 제품생산까지 전과정에 걸쳐제작, 수정,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는 화면 하단에 나타나는 작업내용을 보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그 상황에 맞게 응답이 즉시 화면하단에 나타난다. 그리고 2D의 설계뿐 아니라 3D까지 아주 섬세하고 세밀한 부분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Catia에서 3D로 작업을 한 후에 생길 수 있는 문제라든지 잘못된 작업에 대해서 문제점을 체크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CATIA는 현대, 기아 자동차 및 그 계열사에서 차체 설계 등 자동차 부품 관련 설계에 많이 쓰이며 또한 비선형 곡면(자동차,항공기)에도 사용되는걸로 알고 있다.
2. AutoCAD (Computer Aided Design)
- 1학년 과정에서 배운 AutoCAD는 카티아의 3차원 이미지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지 않지만, 다만 3차원 전용 프로그램처럼 빛이나 재질의 편집이 쉽지 않기 때문에 쉽게 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AutoCAD의 장점은 작업속도이다. 명령어를 키보드를 이용해 입력, 사용하는 프로그램인데, 처음 AutoCAD를 배우는 분들은 직접 입력해야 하는 명령어에 많아 AutoCAD를 어렵게 생각만 직접입력 방식은 처음에서 좀 배우기가 어렵더라도 일단 어느 정도 숙달이 되면 작업속도는 다른 프로그램보다도 빠르게 작업할 수 있다
3. UG(UniGraphics)
- 일반금형 설계에 많이 쓰이며, 주로 대우자동차계열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UG의 장점은 모델링에서 가공까지 한번에 할수 있다는 것이다.
4. I-DEAS
- 자동차, 전자 등 많은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주로 삼성전자에서 사용된다고 한다.
I-DEAS은 모델링과 FEM 해석이 가능한 종합 소프트웨어이지만 모델링 기능이 훨씬 뛰어나다. 전문 FEM해석 Tool인 ANSYS와 연계하여 I-DEAS에서는 모델링만을 수행한 후 ANSYS에서 해석을 수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ANSYS 자체 내에서도 모델링이 가능하지만 전문 모델러에 비해 그 기능이나 편의성이 떨어지지만 해석 작업 소요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모델링 작업을 보다 쉽고 보다 빠르게 수행함으로 전체적인 해석소요시간을 줄이고자 하는데 사용된다.
5. Pro/ENGINEER(wild fire)
- 일반 전자제품(노트북, 핸드폰)의 금형설계에 많이 쓰인다. 그리고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관련서적이나 관련자료 등을 접하기가 쉽다
또한 자유형 서피싱 기능을 사용하여 설계자와 엔지니어는 매우 정확하고 미적 감각이 뛰어난 제품 설계를 빠르고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커서로 직접 모델을 조작할 수도 있다.
6. 솔리드윅스 (Solidworks) , Inventor, MDT
- 일반 전장류 기계(자동화 설비 전자제품 등)의 설계에 많이 쓰입니다.
실제 동작 및 부품간 기계적인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해 봄으로써 설계 상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물 설계 및 도면화를 하며 판금 설계 기능 및 다양한 기계 설계용 라이브러리를 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자체 금형 설계 툴을 사용하여 코어와 캐비티 제작을 자동화하며 마법사 형식의 사출해석 툴인 MoldflowXpress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사출 부품의 제작성을 검증할 수 있다
2) 구조물 설계 및 도면화를 하며 판금 설계 기능 및 다양한 기계 설계용 라이브러리를 쉽게 활용할 수 있다.
3) 자체 금형 설계 툴을 사용하여 코어와 캐비티 제작을 자동화하며 마법사 형식의 사출해석 툴인 MoldflowXpress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사출 부품의 제작성을 검증할 수 있다.
(2) 특징
1) ViewPorts 기능
작업화면을 2개 또는 4개의 링크된 창으로 분할하여 모델링하는데 있어서 형상을 좀더 자세하게 볼 수 있으며 작업창의 왼쪽 아래 뷰 방향 버튼이 위치하여 작업 중 수시로 원하는 뷰 방향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2) Top Down 설계
면, 피쳐, 바디, 파트의 색상과 텍스쳐 정보를 작업창에 태그 형식으로 나타내서 선택한 대상의 모양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수정도 가능하다.
3) 작업 속도 향상을 위한 선택 기능
작업창에서만 가능하던 Box선택이 FeatureManager 디자인트리에서도 가능하다또한 선택방향 바꾸기를 이용해서 선택한 이외의 아이템을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많은 아이템을 선택하기가 휠씬 쉬워졌습니다.
4) 어셈블리 정보 표 시 창 기능
파트 또는 어셈블리에서 피쳐 바디, 부품의 색, 텍스쳐, 투명표시유무, 뷰모양을 지정하고 표시해주는 기능으로 모델에 부여된 가시적인 정보를 한눈에 표시해줍며, 어셈블리에서는 각 부품별로 표시방법을 달리해서 표시할 수 있다.
5) 포물선, 타원 옵셋
기존의 선이나 원호 외에 포물선, 타원, 부분타원까지 옵셋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케치 옵셋 명령을 다양한 방향을 사용 할 수 있다.
6) 스케치 블록
도면에서 사용하던 블록 기능을 스케치 상에서도 블록을 생성, 편집하고 파일로 저장해서 사용 가능하며 파트에서 한 스케치에 여러 개의 블록을 구성하여 구동체크가능 구성한 블록을 이용하여 어셈블리 작성하면 각 블록이 파트로 생성한다.
7) 3D 스케치 도구
원호(중심점호, 3호점, 접원호), 원(중심점 원, 3점원), 사각형, 평행사변형 추가됨으로 해서 3D 스케치에서 구현하기 힘들었던 형상을 쉽게 표현 할수있다.
8) 평면 생성
3D 스케치 편집 상태에서 참조하는 평면을 생성 가능하고 그 평면에 스케치를 작성하는 방법이 간편하다. 또한 3D 스케치에 부여할 수 있는 치수의 종류도 다양하다.
- 출처위치
http://prism21.co.kr/intro.htm
http://www.solidworks.co.kr/newweb/html/index.jsp
8. 카티아와 다른 프로그램의 장단점 및 비교
1. CATIA
(Computer-Graphics Aided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Application)
- CATIA는 제품의 모델을 설계개념에서부터 제품생산까지 전과정에 걸쳐제작, 수정,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는 화면 하단에 나타나는 작업내용을 보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그 상황에 맞게 응답이 즉시 화면하단에 나타난다. 그리고 2D의 설계뿐 아니라 3D까지 아주 섬세하고 세밀한 부분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Catia에서 3D로 작업을 한 후에 생길 수 있는 문제라든지 잘못된 작업에 대해서 문제점을 체크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CATIA는 현대, 기아 자동차 및 그 계열사에서 차체 설계 등 자동차 부품 관련 설계에 많이 쓰이며 또한 비선형 곡면(자동차,항공기)에도 사용되는걸로 알고 있다.
2. AutoCAD (Computer Aided Design)
- 1학년 과정에서 배운 AutoCAD는 카티아의 3차원 이미지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지 않지만, 다만 3차원 전용 프로그램처럼 빛이나 재질의 편집이 쉽지 않기 때문에 쉽게 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AutoCAD의 장점은 작업속도이다. 명령어를 키보드를 이용해 입력, 사용하는 프로그램인데, 처음 AutoCAD를 배우는 분들은 직접 입력해야 하는 명령어에 많아 AutoCAD를 어렵게 생각만 직접입력 방식은 처음에서 좀 배우기가 어렵더라도 일단 어느 정도 숙달이 되면 작업속도는 다른 프로그램보다도 빠르게 작업할 수 있다
3. UG(UniGraphics)
- 일반금형 설계에 많이 쓰이며, 주로 대우자동차계열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UG의 장점은 모델링에서 가공까지 한번에 할수 있다는 것이다.
4. I-DEAS
- 자동차, 전자 등 많은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주로 삼성전자에서 사용된다고 한다.
I-DEAS은 모델링과 FEM 해석이 가능한 종합 소프트웨어이지만 모델링 기능이 훨씬 뛰어나다. 전문 FEM해석 Tool인 ANSYS와 연계하여 I-DEAS에서는 모델링만을 수행한 후 ANSYS에서 해석을 수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ANSYS 자체 내에서도 모델링이 가능하지만 전문 모델러에 비해 그 기능이나 편의성이 떨어지지만 해석 작업 소요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모델링 작업을 보다 쉽고 보다 빠르게 수행함으로 전체적인 해석소요시간을 줄이고자 하는데 사용된다.
5. Pro/ENGINEER(wild fire)
- 일반 전자제품(노트북, 핸드폰)의 금형설계에 많이 쓰인다. 그리고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관련서적이나 관련자료 등을 접하기가 쉽다
또한 자유형 서피싱 기능을 사용하여 설계자와 엔지니어는 매우 정확하고 미적 감각이 뛰어난 제품 설계를 빠르고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커서로 직접 모델을 조작할 수도 있다.
6. 솔리드윅스 (Solidworks) , Inventor, MDT
- 일반 전장류 기계(자동화 설비 전자제품 등)의 설계에 많이 쓰입니다.
실제 동작 및 부품간 기계적인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해 봄으로써 설계 상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물 설계 및 도면화를 하며 판금 설계 기능 및 다양한 기계 설계용 라이브러리를 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자체 금형 설계 툴을 사용하여 코어와 캐비티 제작을 자동화하며 마법사 형식의 사출해석 툴인 MoldflowXpress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사출 부품의 제작성을 검증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