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프라이버시•감시 문제점
1) 전자감시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2) RFID 태그 보편화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Ⅲ. 문제점에 대한 방안
Ⅳ. 결 론
Ⅱ. 프라이버시•감시 문제점
1) 전자감시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2) RFID 태그 보편화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Ⅲ. 문제점에 대한 방안
Ⅳ. 결 론
본문내용
보다 개인의 윤리의식이라 할 수 있으며 “인간 중심의 성찰적 정보화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 되어야 할 것이다.” 민 경 배, 「유비쿼터스 문명과 사이보그 시대의 사회적 쟁점」, 경희대학교, 2005년, 47쪽.
Ⅳ. 결 론
유비쿼터스 사회는 우리에게 물질적 풍요와 편리성을 제공해준다는 것은 틀림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 만큼 문제점들이 그림자처럼 따라오고 있다. 이 글에서 언급한 유비쿼터스 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이외에도 예견되는 문제점들은 수없이 많다. 인터넷 중독, 새로운 계층의 분화와 인간소외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공포와 위험이 우리 앞에 도사리고 있다. “빛이 밝으면 그림자도 짙은 법이다.유비 쿼터스가 제공하는 편리함과 풍요로움 그리고 사이보그가 선사하는 건강과 안전을 얻는 댓가로 우리는 또 다른 소중한 것들을 잃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잊지 말아야 한다.” 위의 책, 47쪽.
필자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양날의 칼’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한쪽 날이 더욱 날카로워지기를 바랄뿐이다. 또한 필자는 대중들에게 이런 질문을 하고 싶다. 앞으로도 계속 브레이크 없이 전진만 해야 할 것인가? 잠깐의 휴식도 필요하지 않을까? 우리는 시간적 여유를 가지며 앞으로 다가올 u-사회를 위해 단단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경규권오병이경전이은종이호근조위덕, 『유비쿼터스 패러다임과 u-소사이어티』, 진한M&B, 2006년 10월 31일.
김동선,『정보화 사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진한M&B ,2004년 9월 10일.
김의박우경, 하원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신사회 시스템』, 노무라총합연구소, 2003년 2월 20일.
이장욱이홍주,『유비쿼터스 혁명』,이코_북, 2004년 9월 10일.
오길록,『경영과 컴퓨터』, 민컴, 2002년 9월.
이종화 박사 집필, 「u-사회 진입에 따른 전자감시와 프라이버시 침해」,『유비쿼터스 시대의 정보문화 쟁점과 정책과제』,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6년 12월.
이종화 박사 집필, 「RFID 태그 이용보편화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유비쿼터스 시대의 정보문화 쟁점과 정책과제』,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6년 12월.
민경배 교수, 「유비쿼터스 문명과 사이보그 시대의 사회적 쟁점」,경희대학교, 2005년.
횡단성, 전자감시사회에 대한 철학적 고찰, http://blog.naver.com/redshand.do, 2005년 7월 12일.
Ⅳ. 결 론
유비쿼터스 사회는 우리에게 물질적 풍요와 편리성을 제공해준다는 것은 틀림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 만큼 문제점들이 그림자처럼 따라오고 있다. 이 글에서 언급한 유비쿼터스 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이외에도 예견되는 문제점들은 수없이 많다. 인터넷 중독, 새로운 계층의 분화와 인간소외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공포와 위험이 우리 앞에 도사리고 있다. “빛이 밝으면 그림자도 짙은 법이다.유비 쿼터스가 제공하는 편리함과 풍요로움 그리고 사이보그가 선사하는 건강과 안전을 얻는 댓가로 우리는 또 다른 소중한 것들을 잃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잊지 말아야 한다.” 위의 책, 47쪽.
필자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양날의 칼’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한쪽 날이 더욱 날카로워지기를 바랄뿐이다. 또한 필자는 대중들에게 이런 질문을 하고 싶다. 앞으로도 계속 브레이크 없이 전진만 해야 할 것인가? 잠깐의 휴식도 필요하지 않을까? 우리는 시간적 여유를 가지며 앞으로 다가올 u-사회를 위해 단단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경규권오병이경전이은종이호근조위덕, 『유비쿼터스 패러다임과 u-소사이어티』, 진한M&B, 2006년 10월 31일.
김동선,『정보화 사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진한M&B ,2004년 9월 10일.
김의박우경, 하원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신사회 시스템』, 노무라총합연구소, 2003년 2월 20일.
이장욱이홍주,『유비쿼터스 혁명』,이코_북, 2004년 9월 10일.
오길록,『경영과 컴퓨터』, 민컴, 2002년 9월.
이종화 박사 집필, 「u-사회 진입에 따른 전자감시와 프라이버시 침해」,『유비쿼터스 시대의 정보문화 쟁점과 정책과제』,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6년 12월.
이종화 박사 집필, 「RFID 태그 이용보편화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유비쿼터스 시대의 정보문화 쟁점과 정책과제』,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6년 12월.
민경배 교수, 「유비쿼터스 문명과 사이보그 시대의 사회적 쟁점」,경희대학교, 2005년.
횡단성, 전자감시사회에 대한 철학적 고찰, http://blog.naver.com/redshand.do, 2005년 7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