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전통가옥
1. 전체로서의 기능
2. 가옥을 이루는 각 부분별 기능
1) 안방
2) 건넌방
3) 사랑방
4) 부엌
Ⅲ. 기와의 유래
1. 기와잇기 순서
2. 지붕의 종류
1) 맞배지붕
2) 팔작(합각)지붕
3) 우진각지붕
4) 솟을지붕
Ⅳ. 기와의 종류
Ⅴ. 기와의 역사
1. 고구려시대
1) 국내성 도읍기(AD3~AD427)
2) 평양도읍기(AD427~)
2. 백제시대
1) 한성도읍기( ? ~AD475)
2) 웅진도읍기(AD475~AD538)
3) 사비도읍기(AD538~AD660)
3. 신라시대
1) 기와의 전래
2) 백제와 고구려의 영향
4. 통일신라
1) 막새양식
2) 수막새에 새겨진 문양
3) 암막새의 생산
4) 다양한 기와 생산
5. 고려시대
1) 고구려적 요소
2) 귀목무늬
3) 청자기와 제작
6. 조선시대
1) 새로운 막새형 출현
2) 기와문화의 후퇴
Ⅵ. 초가집의 의의
Ⅶ. 초가집의 구성
1. 초가집의 지붕
2. 황토로 지워진 초가집
3. 초가집의 온돌방
4. 비가와도 견뎌내는 초가집
5. 경제적인 초가집
Ⅷ.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
1. 남부지방
2. 북부지방
3. 중부지방
4. 서부지방
5. 제주지방
참고문헌
Ⅱ. 전통가옥
1. 전체로서의 기능
2. 가옥을 이루는 각 부분별 기능
1) 안방
2) 건넌방
3) 사랑방
4) 부엌
Ⅲ. 기와의 유래
1. 기와잇기 순서
2. 지붕의 종류
1) 맞배지붕
2) 팔작(합각)지붕
3) 우진각지붕
4) 솟을지붕
Ⅳ. 기와의 종류
Ⅴ. 기와의 역사
1. 고구려시대
1) 국내성 도읍기(AD3~AD427)
2) 평양도읍기(AD427~)
2. 백제시대
1) 한성도읍기( ? ~AD475)
2) 웅진도읍기(AD475~AD538)
3) 사비도읍기(AD538~AD660)
3. 신라시대
1) 기와의 전래
2) 백제와 고구려의 영향
4. 통일신라
1) 막새양식
2) 수막새에 새겨진 문양
3) 암막새의 생산
4) 다양한 기와 생산
5. 고려시대
1) 고구려적 요소
2) 귀목무늬
3) 청자기와 제작
6. 조선시대
1) 새로운 막새형 출현
2) 기와문화의 후퇴
Ⅵ. 초가집의 의의
Ⅶ. 초가집의 구성
1. 초가집의 지붕
2. 황토로 지워진 초가집
3. 초가집의 온돌방
4. 비가와도 견뎌내는 초가집
5. 경제적인 초가집
Ⅷ.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
1. 남부지방
2. 북부지방
3. 중부지방
4. 서부지방
5. 제주지방
참고문헌
본문내용
겹쳐 이으면서 올라간다. 그리고 최 상단에는 용마름을 잇는다. 초가이엉을 해마다 이으면서 겹쳐지므로 비가 새지 않으므로 초가집은 무너지지 않는다.
5. 경제적인 초가집
초가집이 경제적이 다고 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초가집을 짓는데 쓰는 재료가 자연에서 어려움 없이 구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그래서 초가집을 지을 줄 알기만 한다면 돈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만들 수 있다.
Ⅷ.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
1. 남부지방
경상남·북도와 전라남북도 지방에 분포된 부엌 . 방 . 대청 .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평안도지방형처럼 일자형이나 기후 적 요인으로 대청이 첨가된 것이 특징이다. 남부지방형 초가는 一자형의 평면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간잡이는 3칸 또는 4칸 전퇴집으로 지어졌으며, 간혹 산간 지방에서는 2칸 오두막집(막살이집)도 있다. 이들의 주거공간에는 큰방, 작은방, 부엌으로 나누어지며, 부엌은 주로 왼쪽(남향집에서는 서쪽, 동향집은 남쪽방향)에 두고 큰방과 작은방 앞에는 툇마루를 깔아 사용했다. 그리고 대청이 있는 4칸 집일 경우에는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어 햇볕을 이용하여 따뜻한 방의 역할을 하게 한 것이 특징이며, 지붕의 줄매기는 일자매기를 많이 했다.
2. 북부지방
북부 지방의 초가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방의 배치가 전(田)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방들은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하여 복도나 마루가 없는 것이 이 지방 주택의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주방작업이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장소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공간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田)자형의 평면 형태는 함경도 지방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평안도 지방에서는 일부에서 가끔 찾아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이다. 그리고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의 경우는 일(一)자형으로 건물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함경도지방은 전자형 혹은 양통집 이라고도 불려지는 이 형은 함경남북도와 강원도지방에 분포되고 있다. 부엌과 정주간 사이에 아무런 칸막이벽이 없는데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 온돌바닥으로 그 고저마 달리 한 점이다. 또한 정주간에는 인접된 네 개의 온돌방들이 서로 그 벽을 공유하여 붙어 있는 것으로 이는 기후 적으로 혹독한 추위에 대한 방한 적 효과를 꾀한 것이다. 즉 겹집구조를 이룸으로써 방의 전후가 외기에 면할 때보다 열손실을 적게 하고자 의도한 것이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전면은 남향이 되나 후면은 북행이 됨으로써 균등한 일조, 일사를 이루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바닥을 마루로 한 소위 대청이 없다는 것이다. 평안도지방형은 평안남북도, 황해도 북부의 일부 지방에 분포된 것으로 부엌. 방. 방의 순으로 구성되어 일자형 혹은 외통집 이라고도 부른다. 남부지방형과 오일한 일자형이나 다음 대청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3. 중부지방
중부 지방의 초가는 주로 자형과 자형, 자형의 구조가 많다. 일부 지역에 있어서는 일(一)자형도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 산간 지방에서는 전(田)자형 주거도 가끔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주거의 평면 형태는 기후적으로 북부와 남부의 중간 지역에 해당함으로 양 지역의 평면형태가 절충된 형태로 지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중부형 초가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 일부 지역이중부형에 속한다. 중부지방형은 특히 개성을 중심으로 한 황해도와 경기도, 충청도 일부의 중부지방에 분포된 것으로 평안지방형에 대청과 방이 ┐자로 붙은 것이 다르다. 중부지방형에서는 부엌과 안방이 남행이 되므로써 일조, 일사에 유리하다. 서울지방에서는 중부지방형처럼 ┐자형으로 생겼으나 부엌이 꺽인 부분에 오고 대청과 건넌방이 앞쪽에 나오게 된다. 방위상 대부분 부엌이 동서로 면하게 되어 중부지방형에서 남향에 면하던 바와는 다르다.
4. 서부지방
서부지방은 전라남북도 지방과 충청도 일부지방으로서 남부 지방 一자형 3칸 초가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서부 해안 지방의 칸잡이는 네 칸 또는 다섯 칸잡이 집이 많이 지어졌다. 네 칸 집의 평면은 집 중앙에 주로 마루방을 두고 양쪽에 건넌방과 큰방을 두는 형식인데 이때 부엌은 왼편 머릿칸에 두고 머릿퇴를 달아 모방이나 정지 방을 만들어 사용한 집도 있다. 그리고 툇마루로 된 다섯 칸잡이 집에서는 주로 부엌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큰방과 건넌방을 두었으며, 지붕의 줄매기는 서해안 지방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마름모매기의 기법과 일자매기를 주로 했다
5. 제주지방
제주도는 특이한 기후와 문화를 지니고 있는 섬으로서 주택의 평면 형태는 남부나 서부 지방의 형태와 비슷한 일(一)자형과 북부 지방의 전(田)자형 초가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제주도지방형은 중앙에 대청인 상방을 두고 좌우에 자녀들 방인 작은 구들과 부모의 방인 큰 구들을 두고 큰 구들 북쪽에 고광을 두어 물품을 보관한다. 부엌인 정지는 일반적으로 작은 구들 앞쪽에 두는데 취사용 아궁이가 방고 연결되지 않은 것은 기후적 배려임을 알 수 있다. 상방과 큰 구들 앞에는 낭간이라는 툇마루가 붙어 있다. 그리고 따뜻한 지방이면서도 폐쇄적인 공간 구성의 평면 형태가 엿보이지만 각 방의 출입문은 대청(삼방)에서 각각 연결되고 있는 것이 타지방과 비교되는 점이며, 일부 방에는 온돌시설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이하다. 이는 부엌에 부뚜막 시설이 되어 있지 않고 밥 짓기와 난방 시설이 구분되어 밥 짓는 솥은 독립된 돌(화덕)위에 걸쳐 굴뚝 없이 바로 불을 지펴 밥을 짓도록 함으로써 구들과 전혀 상관없게 시설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붕의 재료는 주로 억새풀의 일종인 새 풀로 지붕을 이었으며, 강한 해풍을 막기 위해 지붕의 일자매기를 육지보다 촘촘히 매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 강영환(1991),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 강영환, 집으로 보는 우리문화 이야기, 웅진출판사
* 김영기(1998), 한국미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박영순 외(1998), 우리 옛집 이야기, 열화당
* 신영훈(1994), 한옥의 조형, 대원사
* 주남철(1994), 한국 건축의장, 일지사
* 홍형옥(1992), 한국 주거사, 민음사
5. 경제적인 초가집
초가집이 경제적이 다고 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초가집을 짓는데 쓰는 재료가 자연에서 어려움 없이 구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그래서 초가집을 지을 줄 알기만 한다면 돈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만들 수 있다.
Ⅷ. 지방별 초가집의 특징
1. 남부지방
경상남·북도와 전라남북도 지방에 분포된 부엌 . 방 . 대청 . 방이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평안도지방형처럼 일자형이나 기후 적 요인으로 대청이 첨가된 것이 특징이다. 남부지방형 초가는 一자형의 평면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간잡이는 3칸 또는 4칸 전퇴집으로 지어졌으며, 간혹 산간 지방에서는 2칸 오두막집(막살이집)도 있다. 이들의 주거공간에는 큰방, 작은방, 부엌으로 나누어지며, 부엌은 주로 왼쪽(남향집에서는 서쪽, 동향집은 남쪽방향)에 두고 큰방과 작은방 앞에는 툇마루를 깔아 사용했다. 그리고 대청이 있는 4칸 집일 경우에는 대청을 남쪽 방향으로 두어 햇볕을 이용하여 따뜻한 방의 역할을 하게 한 것이 특징이며, 지붕의 줄매기는 일자매기를 많이 했다.
2. 북부지방
북부 지방의 초가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방의 배치가 전(田)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방들은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하여 통하도록 하여 복도나 마루가 없는 것이 이 지방 주택의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주방작업이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장소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공간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田)자형의 평면 형태는 함경도 지방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평안도 지방에서는 일부에서 가끔 찾아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이다. 그리고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의 경우는 일(一)자형으로 건물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함경도지방은 전자형 혹은 양통집 이라고도 불려지는 이 형은 함경남북도와 강원도지방에 분포되고 있다. 부엌과 정주간 사이에 아무런 칸막이벽이 없는데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 온돌바닥으로 그 고저마 달리 한 점이다. 또한 정주간에는 인접된 네 개의 온돌방들이 서로 그 벽을 공유하여 붙어 있는 것으로 이는 기후 적으로 혹독한 추위에 대한 방한 적 효과를 꾀한 것이다. 즉 겹집구조를 이룸으로써 방의 전후가 외기에 면할 때보다 열손실을 적게 하고자 의도한 것이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전면은 남향이 되나 후면은 북행이 됨으로써 균등한 일조, 일사를 이루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바닥을 마루로 한 소위 대청이 없다는 것이다. 평안도지방형은 평안남북도, 황해도 북부의 일부 지방에 분포된 것으로 부엌. 방. 방의 순으로 구성되어 일자형 혹은 외통집 이라고도 부른다. 남부지방형과 오일한 일자형이나 다음 대청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3. 중부지방
중부 지방의 초가는 주로 자형과 자형, 자형의 구조가 많다. 일부 지역에 있어서는 일(一)자형도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 산간 지방에서는 전(田)자형 주거도 가끔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주거의 평면 형태는 기후적으로 북부와 남부의 중간 지역에 해당함으로 양 지역의 평면형태가 절충된 형태로 지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중부형 초가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 일부 지역이중부형에 속한다. 중부지방형은 특히 개성을 중심으로 한 황해도와 경기도, 충청도 일부의 중부지방에 분포된 것으로 평안지방형에 대청과 방이 ┐자로 붙은 것이 다르다. 중부지방형에서는 부엌과 안방이 남행이 되므로써 일조, 일사에 유리하다. 서울지방에서는 중부지방형처럼 ┐자형으로 생겼으나 부엌이 꺽인 부분에 오고 대청과 건넌방이 앞쪽에 나오게 된다. 방위상 대부분 부엌이 동서로 면하게 되어 중부지방형에서 남향에 면하던 바와는 다르다.
4. 서부지방
서부지방은 전라남북도 지방과 충청도 일부지방으로서 남부 지방 一자형 3칸 초가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서부 해안 지방의 칸잡이는 네 칸 또는 다섯 칸잡이 집이 많이 지어졌다. 네 칸 집의 평면은 집 중앙에 주로 마루방을 두고 양쪽에 건넌방과 큰방을 두는 형식인데 이때 부엌은 왼편 머릿칸에 두고 머릿퇴를 달아 모방이나 정지 방을 만들어 사용한 집도 있다. 그리고 툇마루로 된 다섯 칸잡이 집에서는 주로 부엌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 큰방과 건넌방을 두었으며, 지붕의 줄매기는 서해안 지방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마름모매기의 기법과 일자매기를 주로 했다
5. 제주지방
제주도는 특이한 기후와 문화를 지니고 있는 섬으로서 주택의 평면 형태는 남부나 서부 지방의 형태와 비슷한 일(一)자형과 북부 지방의 전(田)자형 초가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제주도지방형은 중앙에 대청인 상방을 두고 좌우에 자녀들 방인 작은 구들과 부모의 방인 큰 구들을 두고 큰 구들 북쪽에 고광을 두어 물품을 보관한다. 부엌인 정지는 일반적으로 작은 구들 앞쪽에 두는데 취사용 아궁이가 방고 연결되지 않은 것은 기후적 배려임을 알 수 있다. 상방과 큰 구들 앞에는 낭간이라는 툇마루가 붙어 있다. 그리고 따뜻한 지방이면서도 폐쇄적인 공간 구성의 평면 형태가 엿보이지만 각 방의 출입문은 대청(삼방)에서 각각 연결되고 있는 것이 타지방과 비교되는 점이며, 일부 방에는 온돌시설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이하다. 이는 부엌에 부뚜막 시설이 되어 있지 않고 밥 짓기와 난방 시설이 구분되어 밥 짓는 솥은 독립된 돌(화덕)위에 걸쳐 굴뚝 없이 바로 불을 지펴 밥을 짓도록 함으로써 구들과 전혀 상관없게 시설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붕의 재료는 주로 억새풀의 일종인 새 풀로 지붕을 이었으며, 강한 해풍을 막기 위해 지붕의 일자매기를 육지보다 촘촘히 매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 강영환(1991),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 강영환, 집으로 보는 우리문화 이야기, 웅진출판사
* 김영기(1998), 한국미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박영순 외(1998), 우리 옛집 이야기, 열화당
* 신영훈(1994), 한옥의 조형, 대원사
* 주남철(1994), 한국 건축의장, 일지사
* 홍형옥(1992), 한국 주거사, 민음사
추천자료
동해안 한옥
우리나라 한옥의 특징과 아파트와의 비교분석
우리나라 조세제도의 변천과정
일본의 주택 사정 조사분석 리포트
한국 건축 &그래핑
사는 곳의 문화 -마을, 안채, 안방이라는 코드
보성 강골마을
[세계의도시와건축]-손수지은 집- 서평
실내 디자인의 역사&트렌드와 가구회사의 실내 디자인 시장 전략 고찰
일본의 주거생활
[한옥][한옥 특징][한옥 상징성][한옥 구성공간][한옥 재료][환경][풍수지리][한옥 관련 제언...
[한옥][한옥 환경특성][한옥 기능적 분류][한옥 우수성][집터고르기][풍수지리]한옥의 성격, ...
북촌 한옥마을 탐방 보고서
한국 단청의 미-경기전을 다녀와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