뜸.침.부황의 효과 및 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뜸.침.부황의 효과 및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등을 비롯한 각종의 난치병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단점
단백질 성분이 함유된 물질은 직사광선에 노출될 경우 단백질 변성을 가져 올 수 있습니다.
특이 체질에 따라 Allergy 반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다양한 시술방법에 따른 다양한 주입기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습니다.
침 방법
약침은 일정한 부위에 다량의 화학약물을 주입하는 주사와 달리 순수 한약재를 경혈에 극소량 주입함으로서 경락을 이용한 침치료의 방법과 약물을 경구 투여를 하는 대신에 경혈에 주입함으로써 치료의 신속함과 위장장애를 줄이고 원료 의약품을 절약함으로서 미래에 각광 받을 수 있는 신침요법입니다.
인체 전신의 경혈을 응용하며, 치료의 강도와 인체의 허실에 따라 약침액을 주입하는 깊이와 횟수가 달라질 수 있는 새로운 기법입니다.
따라서 약침은 한약제를 사용하여 침을 놓는 경혈 부위에 소량 주입함으로써 침의 자극효과와 한약의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부황
부항의 기본 원리는 음압(陰壓)이다.
즉, 빨아들이는 압축력을 이용하여 몸안의 나쁜 피나 나쁜 기운을 밖으로 끌어내는 데 있다고 할 수 있고, 음압을 이용한 부항요법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랑받아 온 민간요법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그 효과는 어혈 제거, 기혈의 순환을 돕는 등을 들 수 있지요.
부항요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습부항과 건부항이 그것입니다.
습부항은 사혈(瀉血)요법이라고도 하는데 침으로 환부나 통증의 있는 부위를 찔러 약간의 피를 뽑아내는 방법으로서 주로 민간인들의 행해온 방법으로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오히려 피를 뽑지 않은 건부황요법이 전문적인 지식이 더 필요하다고 할까요?
왜냐면 그것은 경혈(침 놓는 자리)을 중심으로 행하기 때문입니다.
부항에 대해 다른 분께 설명 드린 것이 있으니 옮겨 적기로 하지요.
부항이란?
항아리를 붙인다는 뜻입니다.
부황요법은 동서 고금을 막론 오래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져 왔습니다.
예전에는 소의 뿔을 이용하여 관을 만들어 사용했던 탓으로 \'각법\' , 또는 흡각요법이라고합니다.
부항요법은 열 또는 음압장치를 이용해서 부항기 안에 음압을 만들어 피부에 붙임으로써 물리적 자극을 주어 피를 뽑거나 울혈을 일으켜 병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그 원리는 피부의 표면에 부항 단지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흡착하는 방법을 씁니다.
부항요법에 쓰이는 기구
도자기나 유리로 만든 부항기, 최근에는 음압장치를 한 부항기와 음압펌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사용됩니다.
부항요법의 종류
일반적으로 습부항법과 건부항법으로 나눕니다.
습부항법은 침이나 삼릉침 등으로 해당하는 부위를 찔러 피부에 구멍을 낸 다음에 그 자리에 부항기를 붙여 피를 약간 뽑아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각종의 통증, 관절통, 여드름, 종기 등의 치료에 활용되고 또는 부항을 붙일 자리에 약물을 주사한 후 부항기를 붙이는 약침부항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건부항법은 침을 놓지 않고 그대로 목적처에 부항을 붙이는 방법을 쓰는데, 이는 혈관을 확장하고 근육을 자극하여 기혈순환을 돕는 효과를 노립니다.
이 방법은 피부에 탄력을 주고 지방의 대사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합니다.
음압법의 종류
화관법(火罐法)
부항에 종이, 솜, 작은 알코올 면구(棉球)를 점화한 후 그 위에 부항을 덧씌워서 흡착시키는 방법
수관법(水罐法)
죽관(竹罐)을 남비에 넣고 물을 부어 끊인 후 관을 기울여 핀셋으로 집어내어 물을 버리고 관이 뜨거울 때 피부에 씌우는 방법
배기법(排氣法)
부항 내에 공기를 빼내어 음압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일 많이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배기법에는 수동식과 전동식이 있는데 수동식은 안전한 반면 압력이 약해 일정하지 않고 전동식은 온열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시술방법
부항요법은 등이나 팔, 다리 부분을 많이 시술합니다.
습부황은 부항단지를 소독한 후 소독된 침으로 목적하는 부위를 찔러 그 자리에 부황단자를 붙이고 음압시켜 5 - 10분 후 피를 뽑은 후 해체시켜 환부를 깨끗이 다시 소독하고 맨소래담이나 바셀린연고를 바릅니다.
건부황은 경혈(침놓는 자리)에 시술하는 요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부황을 붙이고자 하는 부위에 부황단지를 소독한 후 붙이고 음압시켜 5 - 10분 해체시켜 다시 환부를 소독하고 맨소래담을 바르시면 좋습니다.
등 부분은 건부황요법으로 목아래부터 허리, 아래, 골반 위부분까지 시술하는 방법을 씁니다.
적응증
일반적인 적응증은 타박상으로 인한 어혈제거, 근육통, 요통 등 근골격계 질환에 많이 이용되지만 두통, 복통, 소화불량, 월경통 등의 내과적인 기능이상에도 응용됩니다.
부황요법의 효과
1. 피가 맑아지고 기혈의 소통이 잘되어, 적혈구, 백혈구의 증혈 촉진 효과
1. 근육의 통증을 풀어주고 자각 증상을 없애 주는 효과
1. 혈행이 촉진되어 항병력의 증진효과
1. 인체내의 정체되어 있는 독소 요인의 찌꺼기를 체외로 배출시키는 효과
1. 소화 작용이 왕성해지고 변비통 개선
1. 신경의 조화 안정으로 수면 개선
1. 안면 피부 색이 고와지는 등
부황요법시 일어나는 반응
이상 혈액의 정도가 심하면 보통 흑자색의 색소(色素)반응을 나타냅니다.
압통(壓痛)오는 반응은 피하에 노폐물이 많이 머물고 있다는 증거로 보고 있습니다.
부항요법은 혈액순환이 안되는 부위일수록 자국이 심하게 남는 경향이 있어 종아리나 팔부위등 밖으로 보이는 곳이 흉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2주 정도 계속하면 치료효과가 나타나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져 자국이 남지 않게 된다 합니다.
금기 및 주의사항
1. 안면부나 복부, 가슴 부분은 시술하지 안는것이 좋습니다.
1. 강한 흡인력으로 시술할 시 모공이 커져 딸기의 표피처럼 응고(凝固) 반응이 생기고 엷은 자색을 띠는 자반(紫班)반응, 물집처럼 생기는 수포(水泡)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음압을 적용해야 합니다.
1. 고열, 경련성 질환, 피부의 과민 반응자, 임산부에게는 시술하지 말아야 합니다.
1. 사혈(瀉血) 요법은 빈혈증세가 있거나 항응고제를 사용하는 경우 행하지 말아야 하며, 침이나 부항의 소독을 철저히 하여 감염에 주의해야 됩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3.07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