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활자기의 종류
(1) 동양식기
(2) 서양식기
2. 문양
3. 제작과정
4. 감정하는 방법
5. 행남자기의 종류
(1) 동양식기
(2) 서양식기
2. 문양
3. 제작과정
4. 감정하는 방법
5. 행남자기의 종류
본문내용
계절을 통해 색이 변하지 않는 것 때문에 군자의 품격이나 절개의 상징으로 비유되며 기형에 특징적으로 나타난 것은 고려시대이며 조선시대 백자에 문양으로 나타났다.
-> 포도문
포도문양의 상징적인 뜻은 장수, 다남, 다복, 부귀이다.
-> 소나무문
소나무의 한결같은 푸르름이 상징하는 것은 지조, 의리, 절개이다. 소나무의 절개나 장수의 상징보다는 탈속의 풍류를 상징하는 의미를 갖는 그림이 있다.
-> 모란문(牧丹紋)
모란꽃은 크고 화려해서 부귀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고려청자에서 간결하게 도안화된 모란 무늬가 다양하게 사용되기 시작, 조선시대에는 민화풍의 회화적인 목단문이 많이 나타난다.
-> 서조문
새그림은 옛사람들이 바라던 가정의 화목과 신분상승에의 용감, 또는 안락한 노후와 장생불사등의 현실적 염원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화조문(花鳥紋)
자연 섭리의 조화를 작품속에 표현하고자 할대, 꽃과 새는 매우 자연스런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꽃과 새는 동과 정, 음과 양의 대비와 조화를 표현 하는 소재로도 적절하다.
-> 돌림문
기물의 둘레에 띠 장식이 된 문양을 말한다. 농경 생활에서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며 전시대에 걸쳐 나타난다. 완자문 卍자 ,亞자 문양은 불교적 의 미로 이해되며, 부귀, 장수를 의미한다.
-> 운기문(雲氣紋)
우주의 일부나 현상을 형상화한 것으로 동양은 스키타이 청동기 문화, 유라시아계 유목민족의 동물양식과 기하학적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3. 제작과정
① 제 토(製土) : 도자기를 만드는 흙을 여러번 반죽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운반, 보관한다.
② 성 형(成形) : 원통형 도토를 가지고 전동 물레를 이용하여 작품의 기본적 모양을 만든 다.
③ 건 조(乾燥) : 밀폐된 실내 건조실에서 서서히 건조한다.
④ 장 식(裝飾) : 1차장식(성형직후 건조과정 중에 하는 장식), 2차장식(초벌구이 이후에 하 는 장식), 3차장식(재벌구이 이후에 전사지등의 부착으로 하는 장식) 등으 로 나뉜다.
⑤ 초벌구이 : 애벌구이라고도 하며 섭씨 800도를 전후하여 초벌구이를 한다.
⑥ 시 유(施釉) : 유약을 입히는 과정으로 작품의 형태, 용도에 따라 적절한 유약을 시유한 다.
⑦ 재벌구이 : 도자기 제조공정 중 마지막 과정으로 섭씨 1,300도를 전후해서 소성한다.
4. 감정하는 방법
<생활도자기 고르는 방법>
도자기를 구매할 때 도자기의 용도를 정확히 파악한 후 색상이나 질감, 크기, 사용되는 장소, 설거지의 용이함을 살펴보고 개인의 개성과 계절감각을 살린 도자기를 구매하여야 한다.
좋은 도자기는 흡수율이 없고, 열에 오래 견뎌야 하며, 반투명의 순백색으로 투광성이 좋아야 합니다. 도자기의 바닥(굽)이 매끄럽게 다듬어져 흔들림이 없어야 하고 커피잔과 같이 입술이 닿는 부분이있는 도자기는 그 부분이 거칠거나 부담스럽지 않은 두께가 좋다.
담겨지는 음식(한식, 양식 등)과의 색상대비도와 주위 환경(식탁, T테이블등) 분위기와 맞는지를 살펴본다. 음식물을 담는 그릇은 유약표면에 잔금(크랙)과 핀홀현상이 없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조각이나 상감부분이 두드러지게 돌출되어 있는 것은 대량으로 그릇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손 위에 올려놓고 손가락으로 튕겨 보아서 맑은 소리가 나는가를 보며 고온에서 소성이 된 것일수록 맑은 소리가 나며 기물자체의 강도가 높기 때문에 잘 깨지지 않는다. 도자기 표면과 내면에 흠이나 상처가 없는지를 잘 살펴보고 골라야 한다.
표면을 손으로 쓰다듬었을 때 부드럽게 느껴지는 것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자기그릇을 살 때에는 도금 상태 및 무늬가 선명한지를 살펴야하며 또한 접시는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모서리를 두드려서 경쾌한 소리를 내야 합니다. 그리고 평평한 면에 뒤집어서 바닥이 하늘을 향하게 놓으면 접시의 뒤틀림이 정도를 볼 수 있습니다. 뒤틀림의 정도가 적을 수록 좋은 제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자기 사용법>
좋은 도자기는 세월이 흐르면 흐를수록 그 진가를 발휘하게 되는데 여러분도 지금부터 구입하게 되는 도자기를 골동품으로 만들어 보십시오. 새로 구입한 도자기는 제조와 유통과정에서 불순물이 묻기 때문에 먼저 물에 세제를 풀어 깨끗이 씻어 내야 한다.
그 다음 한 줌의 소금을 넣은 물에 한번 삶은 뒤에 사용하면 잘 갈라지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세척하실 때 거칠거나 금속성의 수세미를 사용하시면 제품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니, 반드시 미온수에 부드러운 행주나 스펀지에 중성세제를 묻혀서
-> 포도문
포도문양의 상징적인 뜻은 장수, 다남, 다복, 부귀이다.
-> 소나무문
소나무의 한결같은 푸르름이 상징하는 것은 지조, 의리, 절개이다. 소나무의 절개나 장수의 상징보다는 탈속의 풍류를 상징하는 의미를 갖는 그림이 있다.
-> 모란문(牧丹紋)
모란꽃은 크고 화려해서 부귀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고려청자에서 간결하게 도안화된 모란 무늬가 다양하게 사용되기 시작, 조선시대에는 민화풍의 회화적인 목단문이 많이 나타난다.
-> 서조문
새그림은 옛사람들이 바라던 가정의 화목과 신분상승에의 용감, 또는 안락한 노후와 장생불사등의 현실적 염원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화조문(花鳥紋)
자연 섭리의 조화를 작품속에 표현하고자 할대, 꽃과 새는 매우 자연스런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꽃과 새는 동과 정, 음과 양의 대비와 조화를 표현 하는 소재로도 적절하다.
-> 돌림문
기물의 둘레에 띠 장식이 된 문양을 말한다. 농경 생활에서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며 전시대에 걸쳐 나타난다. 완자문 卍자 ,亞자 문양은 불교적 의 미로 이해되며, 부귀, 장수를 의미한다.
-> 운기문(雲氣紋)
우주의 일부나 현상을 형상화한 것으로 동양은 스키타이 청동기 문화, 유라시아계 유목민족의 동물양식과 기하학적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3. 제작과정
① 제 토(製土) : 도자기를 만드는 흙을 여러번 반죽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운반, 보관한다.
② 성 형(成形) : 원통형 도토를 가지고 전동 물레를 이용하여 작품의 기본적 모양을 만든 다.
③ 건 조(乾燥) : 밀폐된 실내 건조실에서 서서히 건조한다.
④ 장 식(裝飾) : 1차장식(성형직후 건조과정 중에 하는 장식), 2차장식(초벌구이 이후에 하 는 장식), 3차장식(재벌구이 이후에 전사지등의 부착으로 하는 장식) 등으 로 나뉜다.
⑤ 초벌구이 : 애벌구이라고도 하며 섭씨 800도를 전후하여 초벌구이를 한다.
⑥ 시 유(施釉) : 유약을 입히는 과정으로 작품의 형태, 용도에 따라 적절한 유약을 시유한 다.
⑦ 재벌구이 : 도자기 제조공정 중 마지막 과정으로 섭씨 1,300도를 전후해서 소성한다.
4. 감정하는 방법
<생활도자기 고르는 방법>
도자기를 구매할 때 도자기의 용도를 정확히 파악한 후 색상이나 질감, 크기, 사용되는 장소, 설거지의 용이함을 살펴보고 개인의 개성과 계절감각을 살린 도자기를 구매하여야 한다.
좋은 도자기는 흡수율이 없고, 열에 오래 견뎌야 하며, 반투명의 순백색으로 투광성이 좋아야 합니다. 도자기의 바닥(굽)이 매끄럽게 다듬어져 흔들림이 없어야 하고 커피잔과 같이 입술이 닿는 부분이있는 도자기는 그 부분이 거칠거나 부담스럽지 않은 두께가 좋다.
담겨지는 음식(한식, 양식 등)과의 색상대비도와 주위 환경(식탁, T테이블등) 분위기와 맞는지를 살펴본다. 음식물을 담는 그릇은 유약표면에 잔금(크랙)과 핀홀현상이 없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조각이나 상감부분이 두드러지게 돌출되어 있는 것은 대량으로 그릇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손 위에 올려놓고 손가락으로 튕겨 보아서 맑은 소리가 나는가를 보며 고온에서 소성이 된 것일수록 맑은 소리가 나며 기물자체의 강도가 높기 때문에 잘 깨지지 않는다. 도자기 표면과 내면에 흠이나 상처가 없는지를 잘 살펴보고 골라야 한다.
표면을 손으로 쓰다듬었을 때 부드럽게 느껴지는 것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자기그릇을 살 때에는 도금 상태 및 무늬가 선명한지를 살펴야하며 또한 접시는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모서리를 두드려서 경쾌한 소리를 내야 합니다. 그리고 평평한 면에 뒤집어서 바닥이 하늘을 향하게 놓으면 접시의 뒤틀림이 정도를 볼 수 있습니다. 뒤틀림의 정도가 적을 수록 좋은 제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자기 사용법>
좋은 도자기는 세월이 흐르면 흐를수록 그 진가를 발휘하게 되는데 여러분도 지금부터 구입하게 되는 도자기를 골동품으로 만들어 보십시오. 새로 구입한 도자기는 제조와 유통과정에서 불순물이 묻기 때문에 먼저 물에 세제를 풀어 깨끗이 씻어 내야 한다.
그 다음 한 줌의 소금을 넣은 물에 한번 삶은 뒤에 사용하면 잘 갈라지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세척하실 때 거칠거나 금속성의 수세미를 사용하시면 제품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니, 반드시 미온수에 부드러운 행주나 스펀지에 중성세제를 묻혀서
추천자료
현대 한국의 문자생활에 대해
현대사회에서 가족생활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시설의 사회화 즉 생활시설의 바람직한 개방화를 위한 방법에 대해 의견을 나누십시오
[사회과학] 영유아기 아동의 기본 생활 영역 지도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왜 그렇게 생각...
가족생활주기와 그 시기의 발달과제에 대해 알아보고 가족상담의 중요성에 대한 본인의 의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공부조인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대해 논하시오
바른 어문생활에 대해
가족생활교육에서 가치교육 접근방법 중 가치 교화접근과 가치무시접근을 취할 때 장점과 단...
현대인에게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 서술.
방통대 생활 속의 경제 중간과제 B형 시장과 정부의 관계에 대해 논하시오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우리들의 심리적 작용의 측면에 대해 이론과 접목시켜 논의하시오.
생활 속에서 노인의 삶에 대해 잘 관찰하는 시간을 가진 후, 현대사회의 노인의 욕구를 반영...
[생활주기영양학] 건강한 임신을 위한 가임기 및 임신부의 올바른 영양관리 방법, 임신부와 ...
노인복지론)노인여가생활의 필요성과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