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펜서(Herbert Spencer , 1820~1903) : 현대 교육과정 논의의 시작
2. 맥머리형제 (Charles A. McMurry, 1857~1929 . Frank W. McMurry,1862~1936)
:교육과정과 수업의 접합
3. 듀이(John Dewey, 1859~1952): 아동중심 교육과정 논의의 구체화
4. 바빝과 챠터스 :교육과정 구성의 과학화
5. 뉼런(Jesse Newlon) : 교사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6. 캐스웰(Hollis L. Caswell) : 수업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7. 타일러(Ralph W. Tyler :1902~1994)
: 20세기 교육과정 논의의 거대한 디딤과 걸림
8. 8년 연구(the Eight Year Study) :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사례
2. 맥머리형제 (Charles A. McMurry, 1857~1929 . Frank W. McMurry,1862~1936)
:교육과정과 수업의 접합
3. 듀이(John Dewey, 1859~1952): 아동중심 교육과정 논의의 구체화
4. 바빝과 챠터스 :교육과정 구성의 과학화
5. 뉼런(Jesse Newlon) : 교사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6. 캐스웰(Hollis L. Caswell) : 수업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7. 타일러(Ralph W. Tyler :1902~1994)
: 20세기 교육과정 논의의 거대한 디딤과 걸림
8. 8년 연구(the Eight Year Study) :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사례
본문내용
을 다섯가지로 나눔
① 직접적 자기보존에 기여하는 활동
② 생활에 필요한 물질획득에 도움이 되는 간접적 자기보존에 기여하는 활동
③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관한 활동
④ 적절한 사회적, 정치적 관계 유지에 관련한 활동
⑤ 생활의 여가를 즐기는 활동
⇒과학을 가르치도록 주장함
- 지육론 ( 가치있는 지식 곧 과학을 어떻게 가르치느냐를 상술)
: 교육 방법론으로 발달심리학의 관점에서 인간 발달 과정을 주장함으로써 교 사들이 따라야 할 아동 지도 원리를 제시한다.
① 단순한 것으로부터 복잡한 것으로
② 막연한 지식으로부터 명확한 지식으로
③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④ 개인의 지식 생성 과정은 종족의 지식 생성 과정을 반복
⑤ 체험에서 이론으로
⑥ 자기 발전의 과정으로
⑦ 아동의 흥미에 기초
- 덕육론 :개체발생은 종족발생을 반복한다는 원리에 입각. 즉 아동기는 인류발 달단계로 보면 원시단계에 가깝기 때문에 관용과 자연의 상벌에 의 해 아동의 자연적 성장을 기대하고 자율적인 도덕률을 형성하도록 도와야 함. 건강유지는 일종의 도덕적 의무라고까지 강조함.
-스펜서의 교육론
: 근대사회에 필요한 교육을 매우 기능적으로 정의. 교육을 지, 덕, 체를 기 르는 것으로 하되 과학적 기반을 지닌 교육 주장. 오랜 훈육과 암송에 치 우친 고전어 교육에 쐐기를 박고, 근대적 의미의 교과를 학교의 교육과정의 중심에 들어앉게 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함. 그의 교육과정론은 교육과정 논 의의 핵심이 가르칠만 한 것이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며, 이를 결정할 때에는 어떤 정당화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를 잘 보여준 선구적 위치에 있 음. 1918년 미국의 중등학교 7대 교육목표에 직접적 영향을 줌.
2. 맥머리형제 (Charles A. McMurry, 1857~1929 . Frank W. McMurry,1862~1936)
:교육과정과 수업의 접합
- 맥머리형제: 초등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하다가 1890년 독일 예나대학에 유학 하여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 헤르바르트(J. Herbert)
*헤르바이트주의자: 철학적 심리학적 연구결과를 적용.
*교육목적 : 도덕적 행위에 있으며, 교육은 문화의 최고수준을 개인에게 부여함 으로써 생활을 준비시키는 것. 역사나 문학과 같은 교과는 도덕적 이상발달에 무엇보다도 효과적이므로 역사와 문화를 통해 학습자 는 올바른 생각으로 인도되고 좋은관심에 따라 동기화되고 삶에 부여된 의무를 적절히 수행해 내도록 준비된다.
*교수의 핵심을 학생들의 인지적 성장을 가져올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는 것으 로 봄. (인지적 기반이 있어야 새로운 사상(事象)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기 때문)
헤르바이트는 그 과정을 제시에 의한 명확화, 비교에 의한 연합, 조직에 의한 체 계화, 적용에 의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헤르바르트 제자 질러 (T. Ziller) : 수업의 5단계
① 준비 : 수업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관련사실들을 회상시켜 새로운 수업에 필요한 마음의 틀을 정비하는 단계
② 제시 : 읽기, 강의, 토론, 실험, 문제제기 등을 통해 새로운 사실과 경험을 접하게 하는 단계
③ 연합비교추상 :
새로운 내용을 토론해석 하며, 기존의 경험과 관련시켜보아 비교, 분류, 차례로 나열, 공통된 특징 찾기, 이를 통해 일반적 원칙을 어렴풋이 나마 감지하는 단계
④ 일반화 : 앞에서 찾은 일반적 원리들을 확정하여 진술하는 단계
⑤ 적용 : 일반적 원리들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여 해석하거나 특별한 상황이 나 사례들에 대입하여 판단해 보는 단계
- 맥머리 형제의 교육에 대한 이론
1.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
헤르바르트(도덕적 발달이 교육의 목적이라 봄)보다 한차원 높여서 선량한 시 민의 도리를 다하도록 아동을 유도하려는 의도와, 사회에 대한 현명한 신체 적사회적도덕적 적응까지 포함하였다.
2. 교육적 가치가 가장 높은 것은 어떤 교과인가? :
초기; 문학- 미적지적 고양을 가져와 연합을 이루는데 가장 효과적인 공부
지리- 가장 보편적이고 구체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공부
후기; 학습자의 생각을 표현해 주는 교과와 다른 사람의 생각을 수용하고 생
각할 거리를 제공해 주는 교과로 구분. 학교 공부의 약 절반( 초보적 읽기,쓰기 철자법,문법,음악,산수,만들기 등)은 그동기와 지속하는 힘을
얻기위해 다른 절반(자연연구, 과학, 산업기술, 농업, 공민, 현대어 등)에
의존한다고 봄.
3. 교과는 교수방법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
교과내용은 그것을 가르치는 알맞은 방법을 요구한다고 봄. 아동은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각 분야의 이런 요소를 갖고 생각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함.
4. 가장 좋은 학습결과를 낳는 학습순서는 어떻게 정할까? :
교과는 나이의 발달단계에 따라 맞는 수준이 있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특정 역사시기의 인간사가 상응하는 발달단계의 아동에게는 가장 큰 호소력이 있 다고봄. 1923년에 가서야 개인과 문명의 발달단계 상응론이 교과의 배치순서 에 맞지 않는다는것을 깨닫게 되지만 아동의 사고형식과 학교공부를 관련짓 는 것이 여전히 커다란 문제였다.
5. 교육과정을 가장 잘 조직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학교공부를 생활에 근거하여 조직하라는 것이었다.
- 교육과정 핵심 문제를 교육조직에 필요한 올바른 중심을 선정하는 것으로 봄.
집중의 원리, 상호관련 원리
- 학습경험의 조직을 교육과정의 주된 관심사로 봄. 오늘날 군대의 교육훈련이나 헌터(M. Hunter)의 교수법에 영향을 줌.
-20세기 교육과정 :
전통적 교과과정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배경에서 시작됨.
*클로바이트: 교육과정의 역사를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를 둘러싼 서로 다른 이익집단들의 견해의 충돌과정으로 설명함.
네 집단으로 분류함 (교육과정의 핵심을 제공)
① 엘리어트(Charles A. Eliot, 1834~1926)로 대표되는 전통적 인문주의자
: 인문학관련과목과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가치와 문화의 전수.
② 홀(G. Stanley Hall, 1844~1929)로 대표되는 아동 중심주의자
: 아동을 학교에 적응시켜야 한다는 것을 반대하고 ,학교가 아동에게 맞춰야 함.
③ 바
① 직접적 자기보존에 기여하는 활동
② 생활에 필요한 물질획득에 도움이 되는 간접적 자기보존에 기여하는 활동
③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관한 활동
④ 적절한 사회적, 정치적 관계 유지에 관련한 활동
⑤ 생활의 여가를 즐기는 활동
⇒과학을 가르치도록 주장함
- 지육론 ( 가치있는 지식 곧 과학을 어떻게 가르치느냐를 상술)
: 교육 방법론으로 발달심리학의 관점에서 인간 발달 과정을 주장함으로써 교 사들이 따라야 할 아동 지도 원리를 제시한다.
① 단순한 것으로부터 복잡한 것으로
② 막연한 지식으로부터 명확한 지식으로
③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④ 개인의 지식 생성 과정은 종족의 지식 생성 과정을 반복
⑤ 체험에서 이론으로
⑥ 자기 발전의 과정으로
⑦ 아동의 흥미에 기초
- 덕육론 :개체발생은 종족발생을 반복한다는 원리에 입각. 즉 아동기는 인류발 달단계로 보면 원시단계에 가깝기 때문에 관용과 자연의 상벌에 의 해 아동의 자연적 성장을 기대하고 자율적인 도덕률을 형성하도록 도와야 함. 건강유지는 일종의 도덕적 의무라고까지 강조함.
-스펜서의 교육론
: 근대사회에 필요한 교육을 매우 기능적으로 정의. 교육을 지, 덕, 체를 기 르는 것으로 하되 과학적 기반을 지닌 교육 주장. 오랜 훈육과 암송에 치 우친 고전어 교육에 쐐기를 박고, 근대적 의미의 교과를 학교의 교육과정의 중심에 들어앉게 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함. 그의 교육과정론은 교육과정 논 의의 핵심이 가르칠만 한 것이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며, 이를 결정할 때에는 어떤 정당화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를 잘 보여준 선구적 위치에 있 음. 1918년 미국의 중등학교 7대 교육목표에 직접적 영향을 줌.
2. 맥머리형제 (Charles A. McMurry, 1857~1929 . Frank W. McMurry,1862~1936)
:교육과정과 수업의 접합
- 맥머리형제: 초등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하다가 1890년 독일 예나대학에 유학 하여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 헤르바르트(J. Herbert)
*헤르바이트주의자: 철학적 심리학적 연구결과를 적용.
*교육목적 : 도덕적 행위에 있으며, 교육은 문화의 최고수준을 개인에게 부여함 으로써 생활을 준비시키는 것. 역사나 문학과 같은 교과는 도덕적 이상발달에 무엇보다도 효과적이므로 역사와 문화를 통해 학습자 는 올바른 생각으로 인도되고 좋은관심에 따라 동기화되고 삶에 부여된 의무를 적절히 수행해 내도록 준비된다.
*교수의 핵심을 학생들의 인지적 성장을 가져올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는 것으 로 봄. (인지적 기반이 있어야 새로운 사상(事象)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기 때문)
헤르바이트는 그 과정을 제시에 의한 명확화, 비교에 의한 연합, 조직에 의한 체 계화, 적용에 의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헤르바르트 제자 질러 (T. Ziller) : 수업의 5단계
① 준비 : 수업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관련사실들을 회상시켜 새로운 수업에 필요한 마음의 틀을 정비하는 단계
② 제시 : 읽기, 강의, 토론, 실험, 문제제기 등을 통해 새로운 사실과 경험을 접하게 하는 단계
③ 연합비교추상 :
새로운 내용을 토론해석 하며, 기존의 경험과 관련시켜보아 비교, 분류, 차례로 나열, 공통된 특징 찾기, 이를 통해 일반적 원칙을 어렴풋이 나마 감지하는 단계
④ 일반화 : 앞에서 찾은 일반적 원리들을 확정하여 진술하는 단계
⑤ 적용 : 일반적 원리들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여 해석하거나 특별한 상황이 나 사례들에 대입하여 판단해 보는 단계
- 맥머리 형제의 교육에 대한 이론
1.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
헤르바르트(도덕적 발달이 교육의 목적이라 봄)보다 한차원 높여서 선량한 시 민의 도리를 다하도록 아동을 유도하려는 의도와, 사회에 대한 현명한 신체 적사회적도덕적 적응까지 포함하였다.
2. 교육적 가치가 가장 높은 것은 어떤 교과인가? :
초기; 문학- 미적지적 고양을 가져와 연합을 이루는데 가장 효과적인 공부
지리- 가장 보편적이고 구체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공부
후기; 학습자의 생각을 표현해 주는 교과와 다른 사람의 생각을 수용하고 생
각할 거리를 제공해 주는 교과로 구분. 학교 공부의 약 절반( 초보적 읽기,쓰기 철자법,문법,음악,산수,만들기 등)은 그동기와 지속하는 힘을
얻기위해 다른 절반(자연연구, 과학, 산업기술, 농업, 공민, 현대어 등)에
의존한다고 봄.
3. 교과는 교수방법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
교과내용은 그것을 가르치는 알맞은 방법을 요구한다고 봄. 아동은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각 분야의 이런 요소를 갖고 생각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함.
4. 가장 좋은 학습결과를 낳는 학습순서는 어떻게 정할까? :
교과는 나이의 발달단계에 따라 맞는 수준이 있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특정 역사시기의 인간사가 상응하는 발달단계의 아동에게는 가장 큰 호소력이 있 다고봄. 1923년에 가서야 개인과 문명의 발달단계 상응론이 교과의 배치순서 에 맞지 않는다는것을 깨닫게 되지만 아동의 사고형식과 학교공부를 관련짓 는 것이 여전히 커다란 문제였다.
5. 교육과정을 가장 잘 조직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학교공부를 생활에 근거하여 조직하라는 것이었다.
- 교육과정 핵심 문제를 교육조직에 필요한 올바른 중심을 선정하는 것으로 봄.
집중의 원리, 상호관련 원리
- 학습경험의 조직을 교육과정의 주된 관심사로 봄. 오늘날 군대의 교육훈련이나 헌터(M. Hunter)의 교수법에 영향을 줌.
-20세기 교육과정 :
전통적 교과과정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배경에서 시작됨.
*클로바이트: 교육과정의 역사를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를 둘러싼 서로 다른 이익집단들의 견해의 충돌과정으로 설명함.
네 집단으로 분류함 (교육과정의 핵심을 제공)
① 엘리어트(Charles A. Eliot, 1834~1926)로 대표되는 전통적 인문주의자
: 인문학관련과목과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가치와 문화의 전수.
② 홀(G. Stanley Hall, 1844~1929)로 대표되는 아동 중심주의자
: 아동을 학교에 적응시켜야 한다는 것을 반대하고 ,학교가 아동에게 맞춰야 함.
③ 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