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농업
1. 조선전기의 자연환경
2. 조선전기의 노동력
3. 조선전기의 노동수단
4. 조선전기의 노동대상
Ⅱ.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토지 세금제도
Ⅲ.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군대
Ⅳ.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성리학
Ⅴ.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통치 체제 성립
1. 중앙 통치 체제의 성립
2. 지방 행정제도의 성립
참고문헌
1. 조선전기의 자연환경
2. 조선전기의 노동력
3. 조선전기의 노동수단
4. 조선전기의 노동대상
Ⅱ.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토지 세금제도
Ⅲ.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군대
Ⅳ.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성리학
Ⅴ.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통치 체제 성립
1. 중앙 통치 체제의 성립
2. 지방 행정제도의 성립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농업,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토지세금제도,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군대,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성리학,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통치체제성립 분석
Ⅰ.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농업
1. 조선전기의 자연환경
2. 조선전기의 노동력
3. 조선전기의 노동수단
4. 조선전기의 노동대상
Ⅱ.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토지 세금제도
Ⅲ.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군대
Ⅳ.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성리학
Ⅴ.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통치 체제 성립
1. 중앙 통치 체제의 성립
2. 지방 행정제도의 성립
참고문헌
Ⅰ.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농업
1. 조선전기의 자연환경
먼저 조선전기의 여러 자연현상 중에서 농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기후였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상학 연구 수준으로는 당시의 기후가 오늘날의 그것과 어떻게 달랐었는지를 완벽하게 밝혀내기는 어렵다. 단지 당시의 기후가 오늘날의 그것과 유사하다고 가정할 때 우리는 건조지수를 통해본 한국의 기후가 중국과 일본의 중간자적 성격을 가졌었다고 일단 파악할 수 있겠다. 따라서 우리는 당시의 기후가 중국과 맞먹는 봄가뭄(春旱)과 일본을 능가하는 여름 장마(夏雨), 그리고 작물의 월동이 곤란할 만큼 추운 겨울을 가졌었다고 추정할 수 있겠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황토와 다른 토양조건, 그리고 평야보다는 산이 월등하게 많아서 대부분의 농사작업이 계곡간에 위치한 경사지에서 전개되었으리란 조건도 중요할 것이다. 그에 따라 15세기의 농업은 이러한 특유의 자연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치열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사정은 이 시대 농업의 기본적인 성격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2. 조선전기의 노동력
조선전기의 농민들의 계급구성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전에 우리는 먼저 이 시대의 인구수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의 권태환 등의 연구는 조선초기의 인구를 약 400500만명 정도로 추정하였다. 그에 비해 필자 등은 1392년의 인구가 대략 750만명이었는데, 이 인구가 1592년경에는 1,012만명으로 증가하였고 그 인구성장율은 약 0.15 0.20%였다고 추정하였다. 비교적 정확한 추정이 가능한 조선말기의 인구수(1910년; 약 1,750명)와 비교할 때, 조선전기의 인구는 약 그 절반정도의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이처럼 조선전기는 조선후기에 비해 낮은 인구밀도를 가졌다. 더구나 조선전기의 인구밀도도 심대한 지역격차를 보였는데, 특히 하삼도의 그것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밀도를 보였다.
3. 조선전기의 노동수단
다음으로 역축, 농구, 토지개량 설비 등을 하나 하나 검토해봄으로서 이 시대 노동수단의 역사적 성격을 살펴보자. 조선전기의 주요한 역축은 바로 소였다. 조선전기 재지사족층의 농장경영에 사용된 대농법을 주로 기술하였던 농사직설에서는 반드시 두 마리의 소가 한 셋트로서 작업에 동원되었을 정도로 풍부하게 사용되었다. 그에 비해 당시 경기도 지역 빈농층의 농법을 기술한 금양잡록(衿陽雜錄)에서는 100가(家)가 사는 마을에 농사일을 맡을 수 있는 소가 겨우 몇 마리뿐이라고 기술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전기 농업이 소를 풍부히 구사하는 노동생산성 중심의 대농법과 그렇지 못한 열악한 소농법으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한 이중구조는 농구분석에서도 더욱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조선전기의 농구체계는 다양한 우경구(牛耕具)와 수경구(手耕具)가 각각 분화 발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명백하게 드러내 보였다. 이른바 선진기술로 편집된 농사직설에서는 보(有僻反轉黎) 발외(作條黎)등의 다양한 종류의 경려(耕犁)와 축력농구가 등장하였는데 비해, 소빈농층의 경기작업에서는 보
Ⅰ.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농업
1. 조선전기의 자연환경
2. 조선전기의 노동력
3. 조선전기의 노동수단
4. 조선전기의 노동대상
Ⅱ.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토지 세금제도
Ⅲ.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군대
Ⅳ.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성리학
Ⅴ.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통치 체제 성립
1. 중앙 통치 체제의 성립
2. 지방 행정제도의 성립
참고문헌
Ⅰ. 조선전기(조선시대전기)의 농업
1. 조선전기의 자연환경
먼저 조선전기의 여러 자연현상 중에서 농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기후였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상학 연구 수준으로는 당시의 기후가 오늘날의 그것과 어떻게 달랐었는지를 완벽하게 밝혀내기는 어렵다. 단지 당시의 기후가 오늘날의 그것과 유사하다고 가정할 때 우리는 건조지수를 통해본 한국의 기후가 중국과 일본의 중간자적 성격을 가졌었다고 일단 파악할 수 있겠다. 따라서 우리는 당시의 기후가 중국과 맞먹는 봄가뭄(春旱)과 일본을 능가하는 여름 장마(夏雨), 그리고 작물의 월동이 곤란할 만큼 추운 겨울을 가졌었다고 추정할 수 있겠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황토와 다른 토양조건, 그리고 평야보다는 산이 월등하게 많아서 대부분의 농사작업이 계곡간에 위치한 경사지에서 전개되었으리란 조건도 중요할 것이다. 그에 따라 15세기의 농업은 이러한 특유의 자연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치열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사정은 이 시대 농업의 기본적인 성격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2. 조선전기의 노동력
조선전기의 농민들의 계급구성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전에 우리는 먼저 이 시대의 인구수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의 권태환 등의 연구는 조선초기의 인구를 약 400500만명 정도로 추정하였다. 그에 비해 필자 등은 1392년의 인구가 대략 750만명이었는데, 이 인구가 1592년경에는 1,012만명으로 증가하였고 그 인구성장율은 약 0.15 0.20%였다고 추정하였다. 비교적 정확한 추정이 가능한 조선말기의 인구수(1910년; 약 1,750명)와 비교할 때, 조선전기의 인구는 약 그 절반정도의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이처럼 조선전기는 조선후기에 비해 낮은 인구밀도를 가졌다. 더구나 조선전기의 인구밀도도 심대한 지역격차를 보였는데, 특히 하삼도의 그것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밀도를 보였다.
3. 조선전기의 노동수단
다음으로 역축, 농구, 토지개량 설비 등을 하나 하나 검토해봄으로서 이 시대 노동수단의 역사적 성격을 살펴보자. 조선전기의 주요한 역축은 바로 소였다. 조선전기 재지사족층의 농장경영에 사용된 대농법을 주로 기술하였던 농사직설에서는 반드시 두 마리의 소가 한 셋트로서 작업에 동원되었을 정도로 풍부하게 사용되었다. 그에 비해 당시 경기도 지역 빈농층의 농법을 기술한 금양잡록(衿陽雜錄)에서는 100가(家)가 사는 마을에 농사일을 맡을 수 있는 소가 겨우 몇 마리뿐이라고 기술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전기 농업이 소를 풍부히 구사하는 노동생산성 중심의 대농법과 그렇지 못한 열악한 소농법으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한 이중구조는 농구분석에서도 더욱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조선전기의 농구체계는 다양한 우경구(牛耕具)와 수경구(手耕具)가 각각 분화 발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명백하게 드러내 보였다. 이른바 선진기술로 편집된 농사직설에서는 보(有僻反轉黎) 발외(作條黎)등의 다양한 종류의 경려(耕犁)와 축력농구가 등장하였는데 비해, 소빈농층의 경기작업에서는 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