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기 전에
Ⅱ. 소방의 역사
Ⅲ. 소방기본법
Ⅳ. 화재이론
Ⅴ. 연소이론
Ⅵ. 소화이론
Ⅶ. 인명구조론
Ⅷ. (의무소방 3차 면접) 소방관련 면접 문항 정리.
Ⅱ. 소방의 역사
Ⅲ. 소방기본법
Ⅳ. 화재이론
Ⅴ. 연소이론
Ⅵ. 소화이론
Ⅶ. 인명구조론
Ⅷ. (의무소방 3차 면접) 소방관련 면접 문항 정리.
본문내용
.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국무총리나 중앙안전대책본부장이 재난사태선포를 할 경우 반드시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사후재가를 받아야한다
8) 긴급구조
-중앙 긴급구조통제단: 소방방재청장이 단장을 맡는다. 긴급구조에 대한 사항을 총괄. 운영위원회 둘 수 있음
-지역긴급구조통제단: 소방본부장/소방서장이 단장을 맡는다. 지역의 긴급구조 사항을 총괄
9) 특별재난지역
-국가의 안녕을 위하여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중앙안전대책본부장은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에게 건의
-재정, 행정, 금융, 의료 상의 특별지원
Ⅳ. 화재이론
1. 화재: 소화의 필요성이 있는 연소현상
2. 화재의 분류: A급(일반화재), B급(유류화재), C급(전기화재), D급(금속화재), E급(가스화재)
3. 습도가 내려가면 왜 불이 날 확률이 높아지는가
1) 가연물이 건조해지기 때문입니다
4. 바람과 화재는 어떤 영향이 있는가
1) 풍속이 강할 때 연소속도가 빠르고 연소 면적도 커짐
5. 화재폭풍이란 무엇인가
1) 불기둥이 바람을 빨아들여 무섭게 타오르는 현상
6. 화상의 종류.
1) 1도 화장은 피부 표층에 국한되어 빨갛게 되는 가벼운 화상
2) 2도 화상은 피부 깊숙이 화열이 침투되어 물집이 생긴 것
3) 3도 화상은 피하지방 깊숙이 화열이 침투되어 조직이 괴사되는 것. 고통이 거의 없다
4) 4도 화상은 흑색화상으로 전기화재 등으로 피부가 탄화되는 것입니다
7. 인간의 피난본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1) 귀소본능: 일상 사용 경로에 의해 탈출 모색
2) 퇴피본능: 사고지점에서 멀어지려함
3) 지광본능: 밝은 곳을 따라 움직임
4) 좌회본능: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들이 그러함
5) 추종본능: 위급할 때 리더를 중심으로 뭉침
8. 봄철에 화재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
1) 실효습도 50퍼센트 이하에서 인하되기 쉽고, 40퍼센트 이하에서는 불이 잘 꺼지지 않음
2)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실효습도 50퍼센트 이하로 떨어지는 일수가 많고, 바람이 강함
3) 행락철을 맞아 화기 취급상 부주의
9. 여름철 화재의 주요원인
1) 냉방을 위한 에어컨이나 선풍기의 사용
2) 여름철 피워놓은 모기향
10. 겨울철 화재가 빈번한 이유
1) 습도가 낮아 물체가 건조하다
11. LNG와 LPG
1) LNG :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입니다.(액화하기 힘들어 관을 이용해 가정집 전달. 저렴. 공기보다 가벼워서 사고 위험이 낮다. )
2) LPG : 액화 석유 가스(LIQUID PATROLUM GAS)입니다,(액화가 쉬워 통에 넣어 전달. 공기보다 질량이 무겁다. 그래서 사고위험이 높다.)
12. 호우의 원인
1) 태풍, 장마전선, 남태평양 고기압
13. 실효습도
1) 물체의 건조도를 나타내는 지표
14. 화재 시 대피요령
1) 소화기 등을 이용해 초기소화 시도 - 119전화 - 사람들에게 알려 대피시킴 - 연기가 새어들면 낮은 자세로 손수건에 물을 묻혀 숨을 빠르게 쉬며, 침착하고 질서있게 대피 - 탈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사람 눈에 쉽게 띄는 창문, 베란다, 옥상 등으로 대피
15. 전기시설 이상 유무 확인
한국전기안전공사
Ⅴ. 연소이론
1. 연소란 무엇인가.
1) 가연물이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며 산화하는 현상
2. 활성화 에너지: 최소점화에너지
3. 연소의 양상.
1) 표면연소: 고체 상태 표면에 산소가 공급되어 연소
2) 불꽃연소: 고체가 융해 후 증발, 액체가 증발하거나, 기체에 산소가 공급되어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현상
3) 정상연소: 정상적으로 연소
4) 비정상연소: 폭발 등을 수반하는 일반적(정상적)이지 아니한 연소
5) 완전연소: 산소 공급이 충분
6) 불완전 연소: 산소 공급이 불충분
4. 연소의 3요소
1) 가연물질 +산소공급원 +점화원(활성화에너지) +화학적 연쇄반응
5. 가연물이 될 수 없는 것
1) 산소와 결합하지 못하는 것.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크세논 등)
2) 이미 산소와 결합해 산화반응 못 일으키는 것. (물, 이산화탄소,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오산화인, 삼산화황 등)
3) 산소와 화합해 발열반응 내지 않는 것 (질소, 질소 산화물 N2 등)
4) 자체가 연소하지 않는 것. (돌, 흙 등)
6. 자기반응성 물질
1) 분자 내에 가연물과 산소를 충분히 함유하고 있는 것
7. 점화원
1) 전기불꽃
2) 충격 및 마찰
3) 단열압축: 기체를 높은 압력으로 압축하면 온도가 상승하는데, 여기에 각종 오일이나 윤활유가 열분해되어 저온 발화물을 생성하며 발화물질이 발화하여 폭발
4) 나화 및 고온 표면: 나화란 화염을 가지고 있는 열 또는 화기
5) 정전기 불꽃
8. 정전기란?
1) 양전하와 음전하로 전하가 분리되어 일어나 발생한 과잉전하가 물체에 축적되는 현상
2) 대책: 접지시설 설치, 습도를 높임, 실내 공기 이온화, 전도체 물질 사용
9. 자연발화 방지법
1) 온도 낮춤, 습도 상승 피하기, 열이 쌓이지 않도록 퇴적, 공기유통을 잘 시키기.
10. 연소의 형태
1) 기체: 확산, 예혼합, 폭발
2) 액체: 증발, 분해
3) 고체: 표면, 증발, 분해, 자기연소
11. 연소용어
1) 인화점: 점화원을 투여 시 불붙는 최저온도
2) 착화점(발화점): 점화원 없는 상태에서 가열시 불붙는 온도
3) 연소점: 연소상태가 5초 이상 유지될 수 있는 온도
4) 연소범위: 가연증기와 공기와의 혼합 상태에서의 증기의 부피. 연소농도의 최저를 하한이라하고 최고한도를 상한이라 한다
5) 연소속도: 가연물질에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가 되면서 반응하여 연소생성물을 생성할 때의 반응속도
6) 비점: 증발이 일어날 때의 온도
7) 비열: 어떤 물질 1g의 온도를 올릴 때 필요한 열량
8) 점도: 액체의 응찹력
12. 연소의 확대
1) 전도: 열이 물체 통해 전달
2) 대류: 공기나 유체의 흐름에 의해 열이 이동
3) 복사: 가열되었을 때 방출하는 전자파
4) 비화: 불티
13. 이상연소현상
1) 역화: 연료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 보다 느릴 때 불꽃이 혼합관 속으로 빨려들어가 연소.
2) 선화: 연료가스의 분
8) 긴급구조
-중앙 긴급구조통제단: 소방방재청장이 단장을 맡는다. 긴급구조에 대한 사항을 총괄. 운영위원회 둘 수 있음
-지역긴급구조통제단: 소방본부장/소방서장이 단장을 맡는다. 지역의 긴급구조 사항을 총괄
9) 특별재난지역
-국가의 안녕을 위하여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중앙안전대책본부장은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에게 건의
-재정, 행정, 금융, 의료 상의 특별지원
Ⅳ. 화재이론
1. 화재: 소화의 필요성이 있는 연소현상
2. 화재의 분류: A급(일반화재), B급(유류화재), C급(전기화재), D급(금속화재), E급(가스화재)
3. 습도가 내려가면 왜 불이 날 확률이 높아지는가
1) 가연물이 건조해지기 때문입니다
4. 바람과 화재는 어떤 영향이 있는가
1) 풍속이 강할 때 연소속도가 빠르고 연소 면적도 커짐
5. 화재폭풍이란 무엇인가
1) 불기둥이 바람을 빨아들여 무섭게 타오르는 현상
6. 화상의 종류.
1) 1도 화장은 피부 표층에 국한되어 빨갛게 되는 가벼운 화상
2) 2도 화상은 피부 깊숙이 화열이 침투되어 물집이 생긴 것
3) 3도 화상은 피하지방 깊숙이 화열이 침투되어 조직이 괴사되는 것. 고통이 거의 없다
4) 4도 화상은 흑색화상으로 전기화재 등으로 피부가 탄화되는 것입니다
7. 인간의 피난본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1) 귀소본능: 일상 사용 경로에 의해 탈출 모색
2) 퇴피본능: 사고지점에서 멀어지려함
3) 지광본능: 밝은 곳을 따라 움직임
4) 좌회본능: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들이 그러함
5) 추종본능: 위급할 때 리더를 중심으로 뭉침
8. 봄철에 화재가 자주 발생하는 이유
1) 실효습도 50퍼센트 이하에서 인하되기 쉽고, 40퍼센트 이하에서는 불이 잘 꺼지지 않음
2)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실효습도 50퍼센트 이하로 떨어지는 일수가 많고, 바람이 강함
3) 행락철을 맞아 화기 취급상 부주의
9. 여름철 화재의 주요원인
1) 냉방을 위한 에어컨이나 선풍기의 사용
2) 여름철 피워놓은 모기향
10. 겨울철 화재가 빈번한 이유
1) 습도가 낮아 물체가 건조하다
11. LNG와 LPG
1) LNG : 액화 천연 가스(LIQUID NATURAL GAS) 입니다.(액화하기 힘들어 관을 이용해 가정집 전달. 저렴. 공기보다 가벼워서 사고 위험이 낮다. )
2) LPG : 액화 석유 가스(LIQUID PATROLUM GAS)입니다,(액화가 쉬워 통에 넣어 전달. 공기보다 질량이 무겁다. 그래서 사고위험이 높다.)
12. 호우의 원인
1) 태풍, 장마전선, 남태평양 고기압
13. 실효습도
1) 물체의 건조도를 나타내는 지표
14. 화재 시 대피요령
1) 소화기 등을 이용해 초기소화 시도 - 119전화 - 사람들에게 알려 대피시킴 - 연기가 새어들면 낮은 자세로 손수건에 물을 묻혀 숨을 빠르게 쉬며, 침착하고 질서있게 대피 - 탈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사람 눈에 쉽게 띄는 창문, 베란다, 옥상 등으로 대피
15. 전기시설 이상 유무 확인
한국전기안전공사
Ⅴ. 연소이론
1. 연소란 무엇인가.
1) 가연물이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며 산화하는 현상
2. 활성화 에너지: 최소점화에너지
3. 연소의 양상.
1) 표면연소: 고체 상태 표면에 산소가 공급되어 연소
2) 불꽃연소: 고체가 융해 후 증발, 액체가 증발하거나, 기체에 산소가 공급되어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현상
3) 정상연소: 정상적으로 연소
4) 비정상연소: 폭발 등을 수반하는 일반적(정상적)이지 아니한 연소
5) 완전연소: 산소 공급이 충분
6) 불완전 연소: 산소 공급이 불충분
4. 연소의 3요소
1) 가연물질 +산소공급원 +점화원(활성화에너지) +화학적 연쇄반응
5. 가연물이 될 수 없는 것
1) 산소와 결합하지 못하는 것.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크세논 등)
2) 이미 산소와 결합해 산화반응 못 일으키는 것. (물, 이산화탄소,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오산화인, 삼산화황 등)
3) 산소와 화합해 발열반응 내지 않는 것 (질소, 질소 산화물 N2 등)
4) 자체가 연소하지 않는 것. (돌, 흙 등)
6. 자기반응성 물질
1) 분자 내에 가연물과 산소를 충분히 함유하고 있는 것
7. 점화원
1) 전기불꽃
2) 충격 및 마찰
3) 단열압축: 기체를 높은 압력으로 압축하면 온도가 상승하는데, 여기에 각종 오일이나 윤활유가 열분해되어 저온 발화물을 생성하며 발화물질이 발화하여 폭발
4) 나화 및 고온 표면: 나화란 화염을 가지고 있는 열 또는 화기
5) 정전기 불꽃
8. 정전기란?
1) 양전하와 음전하로 전하가 분리되어 일어나 발생한 과잉전하가 물체에 축적되는 현상
2) 대책: 접지시설 설치, 습도를 높임, 실내 공기 이온화, 전도체 물질 사용
9. 자연발화 방지법
1) 온도 낮춤, 습도 상승 피하기, 열이 쌓이지 않도록 퇴적, 공기유통을 잘 시키기.
10. 연소의 형태
1) 기체: 확산, 예혼합, 폭발
2) 액체: 증발, 분해
3) 고체: 표면, 증발, 분해, 자기연소
11. 연소용어
1) 인화점: 점화원을 투여 시 불붙는 최저온도
2) 착화점(발화점): 점화원 없는 상태에서 가열시 불붙는 온도
3) 연소점: 연소상태가 5초 이상 유지될 수 있는 온도
4) 연소범위: 가연증기와 공기와의 혼합 상태에서의 증기의 부피. 연소농도의 최저를 하한이라하고 최고한도를 상한이라 한다
5) 연소속도: 가연물질에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가 되면서 반응하여 연소생성물을 생성할 때의 반응속도
6) 비점: 증발이 일어날 때의 온도
7) 비열: 어떤 물질 1g의 온도를 올릴 때 필요한 열량
8) 점도: 액체의 응찹력
12. 연소의 확대
1) 전도: 열이 물체 통해 전달
2) 대류: 공기나 유체의 흐름에 의해 열이 이동
3) 복사: 가열되었을 때 방출하는 전자파
4) 비화: 불티
13. 이상연소현상
1) 역화: 연료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 보다 느릴 때 불꽃이 혼합관 속으로 빨려들어가 연소.
2) 선화: 연료가스의 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