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간호사의 권유 없이 스스로 미술치료 활동에 2회 참여하였으나, 독서모임, 음악치료은 여전히 참여를 꺼림. (부분적 달성)
단기목표
1.입원 2일차부터 간호사와의 면담 중 시선을 피하던 행동이 줄어들었으며, “네”, “괜찮아요” 등의 단답 응답을 보임. (달성)
2.면담에서 “여기 오니까 생각이 많아져요”라고 말하며 자신의 감정 표현을 시도하며 이후 면담 시 “혼자 있는 건 익숙하지만 외로운 건 싫어요”라는 감정적 진술도 관찰됨. (달성)
3.면회 시 어머니와 약 10분간 대화를 이어갔으며, 면담 중 “엄마, 나 요즘 조금 괜찮아졌어”라고 말함. (달성)
4.병동 복도에서 자주 산책하거나 식사 후 휴게 공간에 머무는 모습 관찰됨. (달성)
5.미술치료 활동에 대상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함. (달성)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박혜자 외 (2019).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출판사.
· 김조자 외 (2023).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현문사.
· 김성재 외, 정신간호총론, 현문사, 2020.
· 김지은, 이영은 (2018). 우울증 환자의 사회적 고립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정신간호학회지,
· 박은정, 한수정 (2019). 정신질환자의 사회적 기술 훈련(SST) 프로그램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이연희 외 (2020). 중증 우울증 환자의 간호중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정신간호학회지,
· 국립정신건강센터 (2021). 『정신건강 간호사를 위한 사례 중심 실무 지침서』
단기목표
1.입원 2일차부터 간호사와의 면담 중 시선을 피하던 행동이 줄어들었으며, “네”, “괜찮아요” 등의 단답 응답을 보임. (달성)
2.면담에서 “여기 오니까 생각이 많아져요”라고 말하며 자신의 감정 표현을 시도하며 이후 면담 시 “혼자 있는 건 익숙하지만 외로운 건 싫어요”라는 감정적 진술도 관찰됨. (달성)
3.면회 시 어머니와 약 10분간 대화를 이어갔으며, 면담 중 “엄마, 나 요즘 조금 괜찮아졌어”라고 말함. (달성)
4.병동 복도에서 자주 산책하거나 식사 후 휴게 공간에 머무는 모습 관찰됨. (달성)
5.미술치료 활동에 대상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함. (달성)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박혜자 외 (2019).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출판사.
· 김조자 외 (2023).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현문사.
· 김성재 외, 정신간호총론, 현문사, 2020.
· 김지은, 이영은 (2018). 우울증 환자의 사회적 고립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정신간호학회지,
· 박은정, 한수정 (2019). 정신질환자의 사회적 기술 훈련(SST) 프로그램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이연희 외 (2020). 중증 우울증 환자의 간호중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정신간호학회지,
· 국립정신건강센터 (2021). 『정신건강 간호사를 위한 사례 중심 실무 지침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