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절 국제투자의 의미
제 2 절 국제투자의 형태
1. 국제수지표 기준에 의한 분류
2. 단기자본투자의 형태
3. 장기자본투자의 형태
4. 공공장기자본의 이동
제 3 절 국제자본이동의 원리
1. 국제투자의 원리
2. 국제수지상의 국제자본이동 원리
3. 국제자본이동의 영향
제 2 절 국제투자의 형태
1. 국제수지표 기준에 의한 분류
2. 단기자본투자의 형태
3. 장기자본투자의 형태
4. 공공장기자본의 이동
제 3 절 국제자본이동의 원리
1. 국제투자의 원리
2. 국제수지상의 국제자본이동 원리
3. 국제자본이동의 영향
본문내용
수 있고, 경상수지 적자인 경우 대외 채무의 증가로 해외로부터 투자를 유인하거나 차입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자료 : 「해외투자론」, 최백렬 저, 대경(2006), p.13>
3. 국제자본이동의 영향
국제자본이동은 화폐자본의 이동을 의미하는데 재화와 용역의 이동에 의해 완결되는 실물이전(real transfer)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첫째, 장기자본 차입국(유치국)은 국내 투자가 증대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승수효과를 통해 국민소득이 높아져 수입을 증가시키게 된다. 차입국의 수입증대는 다시 대출국(투자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의 수출을 증가시켜 소득수준을 증대시키고 결국은 상호간의 수입수요를 증가시키게 되는 유동성파급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둘째, 국제자본이동은 당사국 모두의 생산효과를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투자국에서 상대적으로 풍부한 생산요소인 자본이 현지국에서 상대적으로 풍부한 다른 생산요소인 노동 및 토지와 결합됨으로써 당사국 모두에 있어서 한계생산력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생산구조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차입자본의 이자 및 원금의 상환과정에서 일어나는 세계경기에의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첫 번째 경우의 역의 과정을 밟게 된다. 그 예로 앞서 도피적 자본이동에서 말한 바와 같이 1980년대 중남이 국가의 대외채무 문제와 1990년대 후반 동남아 외환위기 당시에 투자 원리금 회수 시에 겪었던 문제가 이에 속한다.
<참고자료 : 「해외투자론」, 최백렬 저, 대경(2006), p.13, 14>
[표1-8] 국제자본이동의 영향
국제자본 이동의 영향
- 국제자본이동은 화폐자본의 이동을 의미며 재화와 용역의 이동에 의해 완결되는 실물이전(real transfer)의 과정을 거침
실물이전 과정
① 장기자본 차입국(유치국)은 국내 투자가 증대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승수효과를 통해 국민소득이 높아져 수입을 증가시켜 대출국(투자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의 수출을 증가시켜 소득수준을 증대시키고 결국 상호간의 수입수요를 증가시키게 되는 유동성파급효과를 가져옴
② 국제자본이동은 당사국 모두의 생산효과를 증대시킴
- 투자국의 자본 + 현지국의 노동 및 토지와 결합해 한계생산력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생산구조의 변화를 가져옴
③ 외국자본 유입이 중단된다든지 대출국이 투자된 자본을 회수하려 할 경우 차입국의 대내외균형이 파괴되어 세계경제가 혼란으로 이어질 수도 있음.
<직접작성>
<참고자료 : 「해외투자론」, 최백렬 저, 대경(2006), p.13>
3. 국제자본이동의 영향
국제자본이동은 화폐자본의 이동을 의미하는데 재화와 용역의 이동에 의해 완결되는 실물이전(real transfer)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첫째, 장기자본 차입국(유치국)은 국내 투자가 증대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승수효과를 통해 국민소득이 높아져 수입을 증가시키게 된다. 차입국의 수입증대는 다시 대출국(투자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의 수출을 증가시켜 소득수준을 증대시키고 결국은 상호간의 수입수요를 증가시키게 되는 유동성파급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둘째, 국제자본이동은 당사국 모두의 생산효과를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투자국에서 상대적으로 풍부한 생산요소인 자본이 현지국에서 상대적으로 풍부한 다른 생산요소인 노동 및 토지와 결합됨으로써 당사국 모두에 있어서 한계생산력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생산구조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차입자본의 이자 및 원금의 상환과정에서 일어나는 세계경기에의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첫 번째 경우의 역의 과정을 밟게 된다. 그 예로 앞서 도피적 자본이동에서 말한 바와 같이 1980년대 중남이 국가의 대외채무 문제와 1990년대 후반 동남아 외환위기 당시에 투자 원리금 회수 시에 겪었던 문제가 이에 속한다.
<참고자료 : 「해외투자론」, 최백렬 저, 대경(2006), p.13, 14>
[표1-8] 국제자본이동의 영향
국제자본 이동의 영향
- 국제자본이동은 화폐자본의 이동을 의미며 재화와 용역의 이동에 의해 완결되는 실물이전(real transfer)의 과정을 거침
실물이전 과정
① 장기자본 차입국(유치국)은 국내 투자가 증대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승수효과를 통해 국민소득이 높아져 수입을 증가시켜 대출국(투자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의 수출을 증가시켜 소득수준을 증대시키고 결국 상호간의 수입수요를 증가시키게 되는 유동성파급효과를 가져옴
② 국제자본이동은 당사국 모두의 생산효과를 증대시킴
- 투자국의 자본 + 현지국의 노동 및 토지와 결합해 한계생산력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생산구조의 변화를 가져옴
③ 외국자본 유입이 중단된다든지 대출국이 투자된 자본을 회수하려 할 경우 차입국의 대내외균형이 파괴되어 세계경제가 혼란으로 이어질 수도 있음.
<직접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