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및 교육계획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및 교육계획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통합교육의 필요성

II. 통합교육의 이론적 배경
1. 통합교육의 정의
2.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배경
1) 이론적 배경
2) 역사적 배경
3. 장애아 통합교육의 의미
4. 장애아 통합교육을 받아야 하는 이유
5. 기본 전제
6. 기본 원칙

Ⅲ.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기대효과
1. 장애 유아 입장에서
2. 일반 유아 입장에서
3. 일반 교사 입장에서

Ⅳ.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모형들
1. 유아기 통합의 환경형태
2. 가능한 통합의 방법들

Ⅴ.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 절차
2. 조직 및 전달체계
3. 단위 사업(활동내용)
4. 수행인력 및 협력관계
5. 교구 및 교육환경 구성

Ⅵ. 일일, 주간, 년간 교육계획안 진행표
1. 일일 계획안(예시)
2. 주간 계획안(예시)
3. 연간 계획안(예시)

Ⅶ.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아동3
통합지원
오후
관내교육
(언어치료사 자유놀이시간에 개입)
관내교육
-가정활동과제배부
(2주에1회)
관내교육
(언어치료사 간식시간과 언어시간에 개입)
- 가정활동과제
수거
(2주에1회)
3. 연간 계획안(예시)

주 간
주 제
특별활동/행사
기 타
3
2주
3/9-14
유치원
*입학식
3주
3/16-21
유치원
*일반유치원 순회시작(초기방문)
*3/17 1차 월례 부모 교육
*3/19 통합반 부모교육①
*통합반회의
4주
3/23-28
친구
*3/26 통합반 부모교육②
4
1주
3/30-4/4

*4/2 통합반 부모교육③
*3/30, 4/3 1차 부모 참관 수업
*통합반회의
2주
4/6-11

*1차 부모상담
3주
4/13-18
나와 가족
*4/13-18 1차평가
*4/18 1차 가족모임
*통합반회의
4주
4/20-25
나와 가족
*4/20 1차 장거리현장학습-에버랜드
5주
4/27-5/2
나와 가족
*통합반회의
5
1주
5/4-9
어린이날
*5/4 어린이날 행사
2주
5/11-16
동네
*5/12 2차 월례 부모 교육
*5/13 1차 단거리 현장학습-백화점가기
*통합반회의
3주
5/18-23
동네
4주
5/25-30
동네
*5/25, 29 2차 부모 참관 수업
*5/27 2차 단거리 현장학습-우체국가기
*통합반회의
6
1주
6/1-6
동물
*6/1-6 2차 부모상담
2주
6/8-13
동물
*6/9 3차 월례 부모 교육
*6/10 2차 장거리 현장학습-동물원
*통합반회의
3주
6/15-20
음식
4주
6/22-27
음식
*통합반회의
7
1주
6/29-7/4
여름
*6/29, 7/3 3차 부모 참관 수업
2주
7/6-11
여름
*7/6-10 3차 부모상담
*통합반회의
3주
7/13-18
위생과안전
*7/13-15 여름캠프
4주
7/20-25
위생과 안전
*7/20-23 2차 평가
*7/24 여름가정학습기간 시작
*1학기 통합지원 마무리
*통합반회의
8
7/5주-8/2주
7/27-8/15
여름가정학습기간
*교실 청소
*2학기 준비
3주
8/17-23
산과 바다
*8/17 개학
*통합반회의
4주
8/24-29
산과 바다
*2학기 통합지원 시작

주 간
주 제
특별활동/행사
기 타
9
1주
8/31-9/5
교통기관
*교구구입
*통합반회의
2주
9/7-12
교통기관
*9/7, 11 4차 부모 참관 수업
*9/8 4차 월례 부모 교육
*9/9 3차 장거리 현장학습-63빌딩
3주
9/14-19
우리나라
*9/14-18 4차 부모상담
*통합반회의
4주
9/21-26
우리나라
10
1주
9/28-10/3
추석
*3차 평가 준비
*통합반회의
2주
10/5-10
추석
*3차 평가 준비
3주
10/12-17
세계
여러나라
*10/12-16 3차 평가
*통합반회의
4주
10/19-24
세계
여러나라
5주
10/26-31
우주
*10/31 2차 가족모임
*통합반회의
11
1주
11/2-7
가을
2주
11/9-14
가을
*11/11 3차 단거리 현장학습
*통합반회의
3주
11/16-21
기계와 도구
*11/16, 20 5차 부모 참관 수업
4주
11/23-28
기계와 도구
*11/23-27 5차 부모상담
*통합반회의
12
1주
11/30-12/5
겨울
2주
12/7-12
겨울
*12/8 5차 월례 부모교육
*통합반회의
3주
12/14-19
크리스마스
*12/14-15 겨울캠프
4주
12/21-26
크리스마스
*12/25 겨울가정학습기간 시작
*통합반회의
1
1-2주
12/28-1/16
겨울가정
학습기간
*교실청소
*다음학기 준비
*대상아동 및 유치원선정
3주
1/18-23
민속놀이
*1/18 개학
*통합반회의
4주
1/25-30
국민학교에 가려면
*1/25, 29 6차 부모 참관 수업
2
1주
2/1-6
국민학교에 가려면
*2/1-5 6차 부모상담
*2/1-5 4차 평가
*통합반회의
2주
2/8-13
졸업
*2/12 수료식
3-4주
2/15-
*금년도 통합지원 유치원 최종마무리
*입학전 부모교육
*새학기준비
*통합반회의
Ⅶ. 결 론
우리 나라 특수교육도 이제 본격적으로 통합교육이 시행되는 시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오류를 최소화하는 수많은 노력들 가운데 학교 현장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바로 단위 학교를 관리하는 학교 행정가들의 역할이다. 이들의 이해 수준과 실천 의지에 따라 많은 것들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장애를 문제로 보지 않고 하나의 개성으로 보고, 이들의 개성을 개발한다는 측면에서 장애 학생의 교육을 바라볼 수 있다면 장애유아 및 학생의 통합교육은 보다 성공적일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김삼섭(1996). 장애아 통합교육-비교교육학적 접근-. 서울: 양서원.
김승국(1999).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김영환, \"통합교육의 당위성과 실제\", 제 3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96년판, 1996, pp. 3-18.
유은연, \"통합된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II-사회성 발달과 놀이를 중심으로\", 월간유아, 14권 9호, 한국유아교육원, 1997년 9월, pp. 278-283.
이소현·박은혜,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1998, pp. 29-47.
존슨-마틴·아터마이어·해커(1990), \"장애유아를 위한 캐롤라이나 교육과정\", 최진희외 4인(역), 대한사회복지개발원, 1996.
최진희·류기연,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I : 함께 배워요\",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7, pp. 1-40.
최진희·유은연,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II : 함께 배워요\",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8, pp. 95-116, 132-136.
Hallahan & Kauffman, Exceptional Children :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5th Editon, Prentice-Hall, 1991, pp. 2-75.
Hallahan & Kauffman, Exceptional Children :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6th Editon, Prentice-Hall, 1994.
  • 가격2,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6.21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