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II.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적 배경
A. 아우구스티누스의 시대적 배경과 출생
1. 시대적 배경
2. 출생과 성장
B.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
1. 교회론
2. 신론
3. 은총론

III.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
A. 제 1장
B. 제 2장
C. 제 3장
D. 제 4장

IV. 기독교교육의 의미
A. 신학의 하부영역의 의미
B. 독립학문의 의미
C. 상호 영향을 주는 관계

V.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이 현대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
A. 기독교교육과 신학
B. 기독교교육과 사회
C. 기독교교육철학

V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들 수 있도록 설명 뿐 아니라 그들을 설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적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개인 또는 집단에 대하여 어떠한 사실을 설득하여 그것을 받아드리게 하는 것은 교육적, 선교적인 마인드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교육의 사회영역에서 드러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을 통하여 기독교교육의 수사학의 영역, 즉 설명과 설득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고 바라볼 수 있다.
기독교교육철학
교육에서 철학의 입장은 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철학적 입장을 통하여 교육자의 마인드와 방법에 커라단 방향성을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에서 나타는 기독교교육철학의 영향은 바로 제 1권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권에서는 기독교교육의 목적과 관련된 부분을 다루고 있는데 우리들이 행복을 찾는, 즉 믿음의 대상과 목적이 바로 하나님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것은 기독교교육철학에서 교육의 목적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현대의 기독교교육에서 교육의 목적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사랑하는 것으로 크게 틀을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 서 나타난 하나님의 대한 사랑의 정당성과 교육의 목적은 현재의 기독교교육에서도 유효한 모습을 그릴 수 있다.
결론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을 통한 기독교교육의 영역은 독립학문의 성격을 띠며 신학과 영향을 주는 관계라고 정리할 수 있다. 기독교교육은 신학의 하부영역 보다는 교육학의 성격도 짙게 나타내고 있으며 신학 안에서 그것에 관련된 내용을 가르치는 수준을 뛰어 넘어 신학의 밖에서 가르침을 통해 신학을 교육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어느 학문이 더 중요하고, 더 우월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동일하게 서로 영향을 끼쳐야 한다. 그 이유로는 앞에서 살펴본 본론의 내용을 생각하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기독교교육은 그들의 교제가 바로 성서가 되기 때문이다. 즉, 기독교의 세계관을 어느 것 보다도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성서이기에 이것을 교육의 도구로 삼고 기독교로 전도하는 것이다. 신학의 목적은 이단과 구별할 수 있도록 정통성을 갖는 것과 함께 하나님의 뜻, 즉 복음전파의 뜻을 실현하여 전도하는 것에 의미도 있다. 이러한 측면을 살펴본다면 기독교교육은 성서를 가지고 전도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이것 자체가 바로 전도의 방법이 될 수 있기에 기독교교육과 신학의 관계가 따로 분류되어 있지만 서로 영향을 주는 관계라고 봐야한다.
기독교교육과 신학의 관계를 정리하여 기독교교육과 신학, 기독교교육과 사회, 기독교교육철학의 부분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교육론」이 영향을 미치고 또한 앞으로도 기독교교육의 계속하여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그의 저서를 통하여 현재의 불완전한 기독교교육의 장과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하나의 방도이다. 어떻게 보면 기존의 있던 내용을 첨가하는 부분일 수도 있지만 기독교교육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며, 특히나 고대의 사람들, 즉 아우구스티누스도 그의 저서를 통해 강조된 것처럼 우리들은 현재의 것을 더욱 보완하고 앞으로도 새로운 주제를 가지고 현재의 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온고지신이라는 말이 있다. 옛 것을 익히면 새로운 것을 알 수 있다는 말이다. 현재 기독교교육과 신학의 관계가 어영부영한 테두리에 있었다면 정확한 영역을 정하여 서로의 통합적 학문 교류와 연구가 발전되고, 비단 신학 뿐 아니라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여러 학문들과 간 학문적인 연구로 기독교교육의 장과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우리들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를 통하여서 간 학문적인 연구를 찾아 볼 수 있었고, 이제는 우리들이 기독교교육의 옛것을 알고 새로운 것을 창출할 수 있는 기독교교육자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논문
추현희, “아우구스티누스와 도나투스주의와의 논쟁에 나타난 문제들의 교회사적 의미” (석사학위논문,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국외
Home, Jesus, the Master Teacher, X.
국내
박종석 외 「기독교교육의 시선 」 (서울: 만남과 나눔, 2005)
선한용, “고백록을 이해하기 위한 안내” 「고백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차종순, 「교회사」 (서울: 대한 예수교장로회출판부, 1992)
번역
좌야승야「어거스틴과 그의 사상」 엄두섭 역(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3)
I. C. Henerr, ed., 「폴 티힐리의 그리도교 사상가」 송기득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3)
James M. Lee, \"The Authenic Source of Religious Instruction,\" Thompson Religious Education and Theology, 100-197
J. L. Gonzalez 「간추린 교회사」 주제용 역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8)
J. L. Gonzalez 「초대교회사」 서영일 역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87)
Lawrence O. Richards, \"Experiencing Reality Together: Toward the Impossible Dream,\" Norma H. Thompson, ed,. Religious Education and Theology (Birminghamm, Ala. :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2), 198-217; 손승희 역, 「종교교육과 신학」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0)
P. Brown, 「어거스틴의 생애와 사상」 차종순 역(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2)
Robett W. Pazmino Foundational Issues in Christian Education: An Introduction in Evangelical Perspectives, 박경순 역, 「기독교 교육의 기초: 복음주의적인 시각으로 바라본 기독교 교육 입문서」 (서울: 디모데, 2003), 215-250
St. Augustinus 「DE DOCTRINA CHRISTIANA」김종흡 옮김 (경기도: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2.17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