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사의 그레고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닛사의 그레고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목적 및 동기
B. 연구방법과 한계

Ⅱ. 본론
A. 생애
B. 작품
1)작품
2)모세의 생애
3)아가서 강해
C. 신학사상
1)철학적 배경
2)신학적 배경
D. 교회사에 끼친 영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혼이 탈혼(e;kstasij)상태 중에서 피조물로서의 본성을 버리고 피조물이 아닌 것의 본성에까지 이를 수 있다는 것은 그레고리에 있어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피조물이 아닌 단계에는 오직 삼위만이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앤드루 라우스, 배성옥 역, 「석양 신비사상의 기원 - 플라톤에서 디오니시우스까지-」(왜관: 분도출판사, 2001), P128-129.
그레고리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강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단지 하나님 자신의 계시와 그의 사랑만이 하나님을 알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하였다. 이때 영혼은 하나님의 사랑에 응답하여 알 수 없는 하나님께로 가까이 가면 갈수록 한층 더 깊은 어두움 속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어두움을 통과하여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도달하는 것은 지식을 초월하는 방법으로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레고리의 신비신학은 다른 종류의 신비신학과 구별된다. 김수창, 「닛사의 그레고리오의 작품에 나타난 신비신학 연구:『모세의 생애』와 『아가서 강해』를 중심으로」, (수원가톨릭대학원. 2002), p20-21
D. 교회사에 끼친 영향
그레고리는 교회사에 있어 내면적인 영성생활, 특히 관상적 신비주의 및 신학적인 공헌을 남겼다. 그는 육체를 멸망 받을 대상으로만 생각하지 않고 하나님의 창조의 질서라고 보았다. 당시 영지주의자들이 육을 떠나 영의 세계에서만 구원받아도 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영을 지닌 몸이 된다고 보았다. 이것은 기독교사상에 있어서 닛사의 그레고리가 이룬 크나큰 공헌이다.
또한 그는 당시 신학이 아니면 하나님의 교회와 관련 없다고 생각하던 정통적인 신학적 입장에서 세속학문도 하나님의 교회를 위하여 아름답게 사용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교회사적 인식의 변화를 꾀했다.
그레고리의 사상은 신자와 교회가 추구해야 할 성화의 목표를 제시해주고 있다. 바로 영성 신학의 강조를 말하는 것이다.
그는 니케아에서 칼케돈 공의회에 이르는 초대교회의 삼위일체론과 기독론에 과한 신학적 논쟁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그를 포함한 캅파도키아의 세 교부들은 기독론, 성령론, 삼위일체론에 관심을 가지고 이단들과 더불어 계속적으로 논쟁한 가운데 오늘날 이 부분에 대한 정통 신학의 뼈대를 완성하였다.
기독교 신앙과 고전적인 그리스 철학적 전통을 종합한 동방교회의 신학자 그레고리는 후대에 주로 저술한 그의 글들은 초기수도원주의의 신학적 기초를 놓았으며 그의 영성신학은 영적인 진보와 상승, 진정한 기독교인의 삶에 수도원적인 정화와 성숙과 진보의 삶을 강조하기도 했다. 박찬희, 「Gregoy of Nyssa- 완전을 위한 영원한 상승」,(http://lord.kehc.org/chmain.htm, 2000)
Ⅲ. 결론
앞서 논했던 닛사의 그레고리에 생애에서부터 시작하여 그의 신학적 사상이 교회사에 끼친 영향까지 보게 되었다. 방대한 자료를 통하여 닛사의 그레고리를 연구한 것은 아니지만, 그가 교회사의 영성에 미친 영향은 실로 대단함을 알 수 있었다.
그레고리의 가정환경의 배경부터 그의 지성과 영성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왔으며, 또한 이러한 기본적인 것들이 신학적인 사상을 통하여 그는 삼위일체를 적립하였다. 더 나아가 남다른 신비신학을 적립하는데 이바지하였다. 특별히 그레고리는 교회 안에 신자의 영성을 강조하면서 기독교인의 삶의 정화와 성숙과 진보의 삶의 실천에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21세기를 걸어가고 있는 기독교인들은 지식은 넓어져 가지만 그 안에 영성은 전혀 없음을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올바른 분별력을 가졌다 할지라도 그 분별력이 영성을 통한 삶의 정화와 성숙이 없기 때문에 신앙적 실천으로 나타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그레고리의 신학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영성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부터 나오게 되고, 하나님을 아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을 알게 한다고 전한다. 즉, 현대의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의 사랑이 없는 신앙을 가지고 세상에 살아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성은 기독교 신앙의 필수이다. 이것은 하나님을 아는 것이며, 앎은 곧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게 한다. 이것이 교회사의 중심에 함께 하고 있었으며, 2000년 기독교 역사를 지탱하는 근본적인 힘이었다.
닛사의 그레고리를 통한 연구를 통하여 21C 기독교에 외칠 수 있는 단 한 가지의 결론은 하나님을 사랑할 수 있으며,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신앙을 굳건히 지킬 수 있는 영성의 회복이다. 영성의 회복이 일어날 때 후퇴는 생길 수 없으며, 전진과 삶의 정화와 실천이 이루어질 것이다.
참 고 문 헌
L. Bouyer, The Sprituality of the New Testment and the Fathers,
Johannes Quasten, Patrology, volume Ⅲ, Christian Classics, Inc., 1983,
하성수, 알렉산드리아 학파, 한국가톨릭대사전(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1985),
H.R.드롭너, 역)하성수, 「교부학」,(서울:분도출판사, 2001),
P,B,슈미트, 역)정기환,「교부학 개론」(서울: 컨콜디아사, 1993).
닛사의 그레고리오, 역)최익철, 「모세의 한 평생」, (서울:카톨릭다이제스트, 1993.)
이후정, 「신비주의 설교가 닛사의 그레고리」,(그 말씀:1996),
닛사의 그레고리, 역)최익철, 「모세의 생애」(서울: 가톨릭다이제스트, 1993).
앤드루 라우스, 역)배성옥 , 「석양 신비사상의 기원 - 플라톤에서 디오니시우스까지-」
(왜관: 분도출판사, 2001)
한스 폰 캄펜 하우젠, 역)김광식, 「희랍교부연구」, (대한기독교출판사, 1993)
송훈희, 「닛사의 그레고리우스가 말하는 영적성장의 개념」,(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김수창, 「닛사의 그레고리오의 작품에 나타난 신비신학 연구:『모세의 생애』와 『아가서 강해』를 중심으로」, (수원가톨릭대학원. 2002),
박찬희, 「Gregoy of Nyssa- 완전을 위한 영원한 상승」,(http://lord.kehc.org/chmain.htm, 2000)
김석환, 「닛사의 그레고리의 신학」(칼빈論壇 2002 pp.237-270 칼빈대학교 2003)

키워드

닛사,   그레고리,   교회사,   생애,   하나님,   있다,   신학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17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