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개요
II. 시약 및 기구
III. 시약 제조
IV. 실험 방법
II. 시약 및 기구
III. 시약 제조
IV. 실험 방법
본문내용
itial potential: 1.0 V scan rate: 100 mV/s
switching potential: -0.5 V quiet time: 2 s
⑥ deoxygenation이 끝나면, supporting electrolyte의 CV를 얻는다.
⑦ working electrode를 증류수로 잘 씻은 후,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1 mM K3Fe(CN)6의 CV를 얻는다.
⑧ scan rate를 달리해 가면서 (25, 50, 75, 100 mV/s) CV를 얻는다.
⑨ 10 mM, 5.0 mM, 2.5 mM K3Fe(CN)6을 사용하여 농도에 따른 CV의 변화를 살핀다.
★ 주의 및 참고사항 ★
1) Cell 용액을 채울 때 (KNO3)과 시료용액의 높이가 비슷하도록 한다.
2) Reference electrode와 Working electrode는 거리가 가깝게 설치하고 Cell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3) 농도를 바꿀 때 마다 기준전극, 보조전극, 작업전극을 증류수로 깨끗이 헹군다.
그리고 실험할 농도의 용액 으로 헹군다.
4) 실험은 낮은 농도에서 높은 농도로 실행한다.
5) 각 농도에 따라서 current range를 적당하게 조절해 주어야 매끄러운 graph를 얻을 수 있다.
6) 전위를 주사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dummy상태로 둘 것
7) 기준, 작업, 보조 전극은 꼭 확인하고 연결한다.
8) Working 전극은 가장 나중에 설치하고 가정 먼저 제거한다.
9) 전극을 셀에 넣을 때는 다음 순서를 따른다.
설치 : 보조전극→기준전극→작업전극
분해 : 작업전극→기준전극→보조전극
switching potential: -0.5 V quiet time: 2 s
⑥ deoxygenation이 끝나면, supporting electrolyte의 CV를 얻는다.
⑦ working electrode를 증류수로 잘 씻은 후,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1 mM K3Fe(CN)6의 CV를 얻는다.
⑧ scan rate를 달리해 가면서 (25, 50, 75, 100 mV/s) CV를 얻는다.
⑨ 10 mM, 5.0 mM, 2.5 mM K3Fe(CN)6을 사용하여 농도에 따른 CV의 변화를 살핀다.
★ 주의 및 참고사항 ★
1) Cell 용액을 채울 때 (KNO3)과 시료용액의 높이가 비슷하도록 한다.
2) Reference electrode와 Working electrode는 거리가 가깝게 설치하고 Cell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3) 농도를 바꿀 때 마다 기준전극, 보조전극, 작업전극을 증류수로 깨끗이 헹군다.
그리고 실험할 농도의 용액 으로 헹군다.
4) 실험은 낮은 농도에서 높은 농도로 실행한다.
5) 각 농도에 따라서 current range를 적당하게 조절해 주어야 매끄러운 graph를 얻을 수 있다.
6) 전위를 주사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dummy상태로 둘 것
7) 기준, 작업, 보조 전극은 꼭 확인하고 연결한다.
8) Working 전극은 가장 나중에 설치하고 가정 먼저 제거한다.
9) 전극을 셀에 넣을 때는 다음 순서를 따른다.
설치 : 보조전극→기준전극→작업전극
분해 : 작업전극→기준전극→보조전극
추천자료
과학과 교수 학습지도안
당 센서 제작 및 당 측정 실험
[논문]FeS2양극 2차전지의 분말 입자 크기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순환전압전류법-분석화학
연료전지 백과사전 / 용어정리
(결과)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전기적 활성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확인
[전기분석화확] 순환전압전류법 (Cyclo Voltametry).pptx
[분석화학실험] (예비)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전기적 활성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확인
[Fe(CN)6]3- voltamogram PPT
분석화학 기기분석 Cyclic Voltammetry 실험 보고서 (학부 수석의 레포트 시리즈)
소개글